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 고찰
1) 아동의 신체사정
2) 아동의 간호중재
3) 단계별 성장발달의 평균 달성기준과 대상아동과의 비교
4)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Ⅱ. 본 론
1) 간호사정
2) 간호문제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Ⅲ. 결 론
1) 연구 결과를 총정리
2) 실습하면서 느낀점 - 제언
※ 참고 문헌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 고찰
1) 아동의 신체사정
2) 아동의 간호중재
3) 단계별 성장발달의 평균 달성기준과 대상아동과의 비교
4)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Ⅱ. 본 론
1) 간호사정
2) 간호문제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Ⅲ. 결 론
1) 연구 결과를 총정리
2) 실습하면서 느낀점 - 제언
※ 참고 문헌
본문내용
⑨ 빨기를 중단시키는 기술
- 유륜과 입술 사이에 손가락을 넣어 빨기를 중단시킨다.
⑩ 수유 후에는 트림을 시켜, 수유 후 구토를 방지하고, 수유 중에 삼킨 공기가 식도로 잘 빠져나오고 수유액이 십이지장 으로 잘 내려가게 하기 위하여 오른쪽으로 눕혀서 상체를 15~30도 정도 높혀 베개로 등을 지지해준다.
인공영양
우유농도
① 처음에는 5%포도당액을 3~5ml/kg(보통 총량 10~20ml)먹이면서 흡철, 연하, 구역 반사를 관찰한다.
②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 3시간 후에 1/2농도의 조제유를 먹이면서 수유반응을 관찰한 후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3시간 후에 전농도 우유를 먹인다.
점적속도
1초에 1방울, 방울간 간격 5-6cm
소독법
① 무균조작법 - 기구를 따로 끓인 후 조제유를 병에 붓는 방법
가정에서의 조유에 응용, 안전하고, 편리
② 종말살균법 - 잘 씻은 포유병에 조합한 분유를 넣고 25분
동안 끓여서 살균하는 방법으로 병원이나
유아원 등에서 사용
수유시 주의사항
① 물을 끓인 후 약 50~60도로 식힌 후 물 40ml를 먼저 젖병에 붓는다. 깎아서 잰 분유 2스푼을 젖병에 담고 흔들어서 섞는다
② 조제유 수유 - 3~4시간마다 2~3온스
③ 먹고 남은 분유는 세균 증식의 좋은 매개체가 되므로 즉시 버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
목적
① 생후 4~6개월이 되면서 모유나 분유가 성장 발달에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소를 충족시키지 못함에 따라 이유식을 통하여 영양소를 보충하는 의미 외에도 씹고 삼키는 훈련은 운동발달, 두뇌발달과도 관련된다.
시기
①이유식 초기 ; 생후4개월-생후6개월
②이유식 중기 ; 생후7개월-생후8개월
③이유식 후기 ; 생후9개월-생후11개월
방법
① 이유식은 밥을 먹기 위한 하나의 준비과정입니다. 그러므로 젖병을 사용하는 것 보다는 그릇에 개어 떠먹이는 것이 권장됩니다.
② 아기들은 처음 새로운 음식에 대한 거부감이 있으므로 잘 안 먹거나 혀로 밀어 내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러 번 반복 하다보면 자연히 익숙해지고 맛을 들이게 됩니다.
③ 처음에는 1-2스푼정도 먹이고 아기의 소화상태(정상 변을 보는지)를 관찰하면서 한 스푼씩 차츰 늘려 갑니다. (조급한 마음에 억지로 먹이려고 하면 아기가 이유식을 거부하거나 잘 먹는다고 많이 먹일 경우 소화능력이 부족해 변비나 설사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④ 먹이는 과정에 아기의 몸이나 입 주위에 알러지 반응이 나타나면 먹이는 것을 중단하고 관찰합니다
억제대
종류,적응증
1.종류
① 재킷 억제
- 등 부분에 아동이 조작할 수 없도록 끈이 달려 있다. 어린이 침대의 하부구조에 안전 하게 묶어 놓은 긴 끈은 아동이 침대 안에 있을 수 있게한다.
② 마미억제 또는 포대기
- 영아나 어린 아동에게 정맥천자, 인후검사, 위관영양처럼 머리와 목을 포함하는 검사치료를 위해서 단기간 억제가 필요하면, 마미장치가 효과적이다.
③ 팔과 다리 억제
- 치료절차동안 하나 이상의 사지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또는 치유를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 될 수 있다. (과도한 압력, 바싹 죄어지는 것, 또는 조직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패드를 대어줘야 한다.)
④ 팔꿈치 억제
- 아동이 팔꿈치를 구부리거나 머리나 얼굴을 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의사항
- 간호사는 억제의 필요성 유무를 사정 할 필요가 있다.
① 아동의 적절한 준비, 아동에 대한 부모나 직원의 감독, 주입장치처럼 상처입기 쉬운 부위의 적절한 보호가 이루어진다면, 되도록 억제를 피한다.
② 간호사는 아동의 발달정도, 정신상태, 다른 사람이나 자신에 대한 잠재적인 위협,그리고 안전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③ 억제를 적용하기 전에 의사의 처방이 필요하다.
④ 억제대는 위험이 있으므로 억제의 목적이 달성되고 잇는지 확인위해 1~2시간마다 체크하고 기록해야 하며, 정확하게 적용해야하고, 순환, 감각, 피부통합성에 손상이 없어야 한다.
⑤ 끈 형태의 억제대는 난간이아니라 침대나 침대의 틀에 묶어야 한다.
투약법
경구투약
연령별 투약방법
- 대부분의 약물들을 용해시키거나 녹여서 사용한다.
① 영유아에게는 단단한 약물들이 흡인의 위험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추천되지 않는다.
②대부분의 아동용 약물들은 투약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맛이 있을 뿐 아니라 색깔도 좋게 준비된다.
③간호사는 일단 구강 투약물의 맛을 보아야 한다. 이런 방식은 아동이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해주고, 언제라도 이 맛을 위장 할 수 있다.
④대부분의 소아과 약물은 점적하거나 점적기로 준다. (알약은 갈아서 사용가능)
주의사항
- 흡인을 예방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①영아일 경우 반쯤 기울인 자세로 약물은 스푼, 플라스틱 컵, 점적기나 바늘 없는 주사기로 입안에 넣어준다.
②점적기나 주사기로 영아의 혀 위로 주는 것이 가장 놓다.
③내용물은 소량씩 천천히 주고, 아동은 조금씩 삼키도록 준다.
근육주사
부위별에 따른 특성
① 외측광근 - 많은 주사량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넓고 발달
좌골신경손상이 오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② 복측둔근 - 중요한 신경과 혈관으로부터 자유롭다.
보다 많은 양을 수용할 수 있다.
건강관련 전문가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부위이다.
③ 삼각근 - 둔근보다 흡수가 빠르다.
근육이 작다. 0.5~1ml에 한해서 주사할 수 있다.
주의사항
① 어린아동과 영아에게 보통 1ml정도 투여하는 것이 최적용량
② 아동이 주사를 맞을 때 반응은 예측하기 어렵고, 완벽하게 협조해 주기를 기대해서는 안된다.
③ 필요시 누군가 아동을 껴안아주는 도움이 발마직하다.
④ 등쪽 둔근은 영아와 어린 아동에게 안전한 부위로 선택하기에는 미흡한 곳이다.
⑤ 할일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가능하다면 아동이 무엇을 도울 수 있는지도 설명한다.
⑥ 여러 부위를 돌아가며 주사한다.
⑦ 아동을 눕히거나 앉힌 자세로 둔다. 아동이 서 있게 하면 안된다.
⑧ 빠른 동작으로 바늘을 삽입하고, 금기 사항이 아니면 90도 각도로 주사를 놓는다.
정맥주사
부위
① 말초정맥부위 - 손등, 전주와, 두피정맥
② 발족의 복제정맥
③ 중심정맥부위 - 카
- 유륜과 입술 사이에 손가락을 넣어 빨기를 중단시킨다.
⑩ 수유 후에는 트림을 시켜, 수유 후 구토를 방지하고, 수유 중에 삼킨 공기가 식도로 잘 빠져나오고 수유액이 십이지장 으로 잘 내려가게 하기 위하여 오른쪽으로 눕혀서 상체를 15~30도 정도 높혀 베개로 등을 지지해준다.
인공영양
우유농도
① 처음에는 5%포도당액을 3~5ml/kg(보통 총량 10~20ml)먹이면서 흡철, 연하, 구역 반사를 관찰한다.
②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 3시간 후에 1/2농도의 조제유를 먹이면서 수유반응을 관찰한 후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3시간 후에 전농도 우유를 먹인다.
점적속도
1초에 1방울, 방울간 간격 5-6cm
소독법
① 무균조작법 - 기구를 따로 끓인 후 조제유를 병에 붓는 방법
가정에서의 조유에 응용, 안전하고, 편리
② 종말살균법 - 잘 씻은 포유병에 조합한 분유를 넣고 25분
동안 끓여서 살균하는 방법으로 병원이나
유아원 등에서 사용
수유시 주의사항
① 물을 끓인 후 약 50~60도로 식힌 후 물 40ml를 먼저 젖병에 붓는다. 깎아서 잰 분유 2스푼을 젖병에 담고 흔들어서 섞는다
② 조제유 수유 - 3~4시간마다 2~3온스
③ 먹고 남은 분유는 세균 증식의 좋은 매개체가 되므로 즉시 버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
목적
① 생후 4~6개월이 되면서 모유나 분유가 성장 발달에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소를 충족시키지 못함에 따라 이유식을 통하여 영양소를 보충하는 의미 외에도 씹고 삼키는 훈련은 운동발달, 두뇌발달과도 관련된다.
시기
①이유식 초기 ; 생후4개월-생후6개월
②이유식 중기 ; 생후7개월-생후8개월
③이유식 후기 ; 생후9개월-생후11개월
방법
① 이유식은 밥을 먹기 위한 하나의 준비과정입니다. 그러므로 젖병을 사용하는 것 보다는 그릇에 개어 떠먹이는 것이 권장됩니다.
② 아기들은 처음 새로운 음식에 대한 거부감이 있으므로 잘 안 먹거나 혀로 밀어 내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러 번 반복 하다보면 자연히 익숙해지고 맛을 들이게 됩니다.
③ 처음에는 1-2스푼정도 먹이고 아기의 소화상태(정상 변을 보는지)를 관찰하면서 한 스푼씩 차츰 늘려 갑니다. (조급한 마음에 억지로 먹이려고 하면 아기가 이유식을 거부하거나 잘 먹는다고 많이 먹일 경우 소화능력이 부족해 변비나 설사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④ 먹이는 과정에 아기의 몸이나 입 주위에 알러지 반응이 나타나면 먹이는 것을 중단하고 관찰합니다
억제대
종류,적응증
1.종류
① 재킷 억제
- 등 부분에 아동이 조작할 수 없도록 끈이 달려 있다. 어린이 침대의 하부구조에 안전 하게 묶어 놓은 긴 끈은 아동이 침대 안에 있을 수 있게한다.
② 마미억제 또는 포대기
- 영아나 어린 아동에게 정맥천자, 인후검사, 위관영양처럼 머리와 목을 포함하는 검사치료를 위해서 단기간 억제가 필요하면, 마미장치가 효과적이다.
③ 팔과 다리 억제
- 치료절차동안 하나 이상의 사지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또는 치유를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 될 수 있다. (과도한 압력, 바싹 죄어지는 것, 또는 조직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패드를 대어줘야 한다.)
④ 팔꿈치 억제
- 아동이 팔꿈치를 구부리거나 머리나 얼굴을 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의사항
- 간호사는 억제의 필요성 유무를 사정 할 필요가 있다.
① 아동의 적절한 준비, 아동에 대한 부모나 직원의 감독, 주입장치처럼 상처입기 쉬운 부위의 적절한 보호가 이루어진다면, 되도록 억제를 피한다.
② 간호사는 아동의 발달정도, 정신상태, 다른 사람이나 자신에 대한 잠재적인 위협,그리고 안전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③ 억제를 적용하기 전에 의사의 처방이 필요하다.
④ 억제대는 위험이 있으므로 억제의 목적이 달성되고 잇는지 확인위해 1~2시간마다 체크하고 기록해야 하며, 정확하게 적용해야하고, 순환, 감각, 피부통합성에 손상이 없어야 한다.
⑤ 끈 형태의 억제대는 난간이아니라 침대나 침대의 틀에 묶어야 한다.
투약법
경구투약
연령별 투약방법
- 대부분의 약물들을 용해시키거나 녹여서 사용한다.
① 영유아에게는 단단한 약물들이 흡인의 위험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추천되지 않는다.
②대부분의 아동용 약물들은 투약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맛이 있을 뿐 아니라 색깔도 좋게 준비된다.
③간호사는 일단 구강 투약물의 맛을 보아야 한다. 이런 방식은 아동이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해주고, 언제라도 이 맛을 위장 할 수 있다.
④대부분의 소아과 약물은 점적하거나 점적기로 준다. (알약은 갈아서 사용가능)
주의사항
- 흡인을 예방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①영아일 경우 반쯤 기울인 자세로 약물은 스푼, 플라스틱 컵, 점적기나 바늘 없는 주사기로 입안에 넣어준다.
②점적기나 주사기로 영아의 혀 위로 주는 것이 가장 놓다.
③내용물은 소량씩 천천히 주고, 아동은 조금씩 삼키도록 준다.
근육주사
부위별에 따른 특성
① 외측광근 - 많은 주사량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넓고 발달
좌골신경손상이 오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② 복측둔근 - 중요한 신경과 혈관으로부터 자유롭다.
보다 많은 양을 수용할 수 있다.
건강관련 전문가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부위이다.
③ 삼각근 - 둔근보다 흡수가 빠르다.
근육이 작다. 0.5~1ml에 한해서 주사할 수 있다.
주의사항
① 어린아동과 영아에게 보통 1ml정도 투여하는 것이 최적용량
② 아동이 주사를 맞을 때 반응은 예측하기 어렵고, 완벽하게 협조해 주기를 기대해서는 안된다.
③ 필요시 누군가 아동을 껴안아주는 도움이 발마직하다.
④ 등쪽 둔근은 영아와 어린 아동에게 안전한 부위로 선택하기에는 미흡한 곳이다.
⑤ 할일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가능하다면 아동이 무엇을 도울 수 있는지도 설명한다.
⑥ 여러 부위를 돌아가며 주사한다.
⑦ 아동을 눕히거나 앉힌 자세로 둔다. 아동이 서 있게 하면 안된다.
⑧ 빠른 동작으로 바늘을 삽입하고, 금기 사항이 아니면 90도 각도로 주사를 놓는다.
정맥주사
부위
① 말초정맥부위 - 손등, 전주와, 두피정맥
② 발족의 복제정맥
③ 중심정맥부위 - 카
추천자료
모성 간호학 - 분만장 실습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실습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실습 췌장암(pancreatic cancer)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 정형외과병동 실습-척추궁 절제술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학][DDST][DDST적용][DDST분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 폐렴(Pneumonia) & 천식(Asthma) 케이스 스터디(CaseStudy)
[여성간호학실습] 자궁근종 Laparoscopic myomectomy 근종절제술 케이스 스터디(CaseStudy)
[노인간호학 실습] 치매 dementia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간호학과 실습 - 골절 케이스 스터디
간호학과 실습- 폐렴 케이스 스터디
정신간호학 실습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Alcohol Dependence 알코올 의존증, 알코올 중독 ...
성인간호학실습 A+받은 os 척추협착증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 간호과정, 출처 등 기...
정형외과실습 대퇴경부 대퇴골 골절 케이스 스터디 femur neck fx fracture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