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와인을 선택한 이유
2. 와인의 역사
Ⅱ.본론-유럽 중 대표적인 지역의 와인의 비교
1.프랑스 와인을 찾아서
1)샴페인 산지 샹빠뉴를 찾아서
2)고급 와인산지 보르도를 찾아서
3)부르고뉴 지방의 와인을 찾아서
4)꼬냑의 향기를 찾아서
5)프랑스 와인의 4가지 품질 등급
2.이태리 와인을 찾아서
1)이태리 와인의 특징
2)피에몬떼(Piedmont) 지역의 와인
3)토스카나(Toscana/Tuscany)지역의 와인
4)이탈리아 와인의 라벨
3.독일 와인을 찾아서
1)독일 와인의 특징
2)독일의 와인 지역들
3)독일 와인의 라벨 읽기
4.와인 알고 마시면 즐겁고 맛있다.
1)와인 두배로 즐기는 법
2)와인에 대한 상식
Ⅲ.결론
1. 이글을 마치며...
1. 와인을 선택한 이유
2. 와인의 역사
Ⅱ.본론-유럽 중 대표적인 지역의 와인의 비교
1.프랑스 와인을 찾아서
1)샴페인 산지 샹빠뉴를 찾아서
2)고급 와인산지 보르도를 찾아서
3)부르고뉴 지방의 와인을 찾아서
4)꼬냑의 향기를 찾아서
5)프랑스 와인의 4가지 품질 등급
2.이태리 와인을 찾아서
1)이태리 와인의 특징
2)피에몬떼(Piedmont) 지역의 와인
3)토스카나(Toscana/Tuscany)지역의 와인
4)이탈리아 와인의 라벨
3.독일 와인을 찾아서
1)독일 와인의 특징
2)독일의 와인 지역들
3)독일 와인의 라벨 읽기
4.와인 알고 마시면 즐겁고 맛있다.
1)와인 두배로 즐기는 법
2)와인에 대한 상식
Ⅲ.결론
1. 이글을 마치며...
본문내용
안동소주 기법으로 생산된 술에 안동소주라는 이름을 붙이듯이 프랑스에서는 명칭을 엄격히 규제하여 타지역의 발포성 포도주에는 샹빠뉴라는 이름을 절대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있다.
④ 고기에는 적포도주, 생선에는 백포도주?
잘못된 상식은 아니다. 이것이 무난한 어울림이 될 수는 있겠으나 역시 취향에 따라 마시면 그만이다.
⑤ 비싼 포도주만이 좋은 포도주이다?
대부분 상질의 포도주는 값이 비싸다. 그러나 부담 없는 가격의 포도주 중에서도 얼마든지 좋은 포도주를 선택해 마실 수 있다. 프랑스의 보르도, 부르고뉴 이외의 지역에도 눈을 돌려보면 의외의 놀라운 포도주가 많이 있다.
3) 와인 에티켓
우선 와인을 냉장고에 넣은 후 온도를 화이트와인의 경우는 섭씨 12~14도, 레드와인의 경우는 섭씨 16~18도 정도의 가장 적절한 온도로 만든다. 와인은 잔의 2/3 정도까지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따라야하며 와인 잔을 손에 들고 받는 것은 정식 매너가 아니다. 와인은 잔에서 비워지기 전에 채워주어야 한다. 와인을 따를 때는 와인이 병 입구에서 흐르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병을 약간 돌리면서 들어올린다. 와인 잔을 잡을 때는 손잡이(다리)를 잡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체온으로 인해 와인이 덥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와인을 따를 때에는 반드시 사람의 오른편에서 따르고, 시계반대 방향으로 여성의 잔부터 따라주고 다시 시계방향으로 남자에게 따른다. 잔은 반드시 테이블 위에 놓인 상태로 받으며, 이때 잔에 손을 대지 않는다.
와인 마시는 방법이 바로 유럽에서는 그들의 식탁문화의 모든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특히 프랑스 같은 경우에는 와인이 바로 그들의 음주문화이고 식탁문화라고 한다. 유럽의 식탁문화를 보면 식사용도에 따라서 와인의 종류가 틀릴 정도이다. 식사 전에 식욕을 돋구기 위해 마시는 아페리티프 와인(와인의 이름이 아니라 와인을 나누는 종류임)으로 주로 샴페인이나 달지 않은 셰리를 마신다고 합니다. 그리고 보통와인으로 불리는게 테이블 와인인데 입안을 헹궈내어 다음에 나오는 음식 맛을 잘 볼 수 있기 위해서 마신다고 합니다. 왜냐면 우리나라와는 틀리게 유럽은 음식을 먹는데 오랜시간이 걸리고 계속해서 음식이 나옵니다. 우리나라 콩글리쉬로 그걸 코스요리라고들 하지요. 거기다가 유럽사람들은 잘먹는게 큰복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음식맛을 잘보기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와인입니다. 그리고 식사를 마친후에 아이들이 아이스크림으로 디저트를 하듯이 디저트 와인을 마신다고 합니다. 만약 유럽에 가서 와인을 물마시듯이 원 샷을 한다거나 와인을 잔 가득 따르는 행동 이라든지 취해서 비틀거리거나 하는 행동 같은 것을 하면 식탁 문화에 어긋나는 무례한 사람이 된다. 그만큼 유럽에서의 와인 문화는 중요한 것이라는 걸 알 수 있다. 그리고 남의 집에 초대를 받았을때는 자기가 마실 와인을 한병들고 가는게 좋다고 합니다.
Ⅲ.결론
1. 이글을 마치며...
먼저 와인에 대해서 알기 위해서 포도에 대해서 알아야 됐고, 포도에 대해서 알다보니깐 포도는 따뜻한 지방에서 자라며 포도의 재배 조건을 알기 위해서는 각 나라 지방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야만 했습니다. 그리고 와인에 대해서 며칠 조사하면서 느낀건데 와인종류가 이렇게 많을 줄은 정말 몰랐고 프랑스 와인만이 세계에서 최고라는 생각도 다시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독일에서 얼린 포도로 만든 아이스바인이나 썩은 포도로 만든 포도주인 베렌 아우스베제를 만들어 내는데 대해서는 독일인들의 뛰어난 생각에 감탄했습니다. 거기다가 이탈리아의 와인이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다는데 놀라웠습니다. 언제나 우리 고정관념으로는 프랑스하면 와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듭니다.
가장 특이한 것은 오래 묵을수록 좋은 몇 안되는 물건중 하나가 바로 술인것 같습니다. 오래된 와인은 몇백만원씩 한다니깐요. 그건 솔직히 맛보다도 희귀성으로 인해서 그렇게 높은 가격을 쳐준다고 합니다.
이것 말고도 우리나라 포도주라든지 세계 곳곳에 전 나라에서 포도주가 생산되고있기는 했는데 솔직히 제가 먹어봤을 때 우리나라 포도주는 아직은 와인이라고 말하기가 힘들 정도로 그냥 말그대로 포도주라고 밖에 말을 못하겠습니다. 모라고 그럴까 포도소주라고나 할까. 우리나라 사람들 술 소비량이 세계에서도 어느 나라에 뒤지지는 않는데, 상위층을 노린 고품질의 와인을 만들어 내서 우리나라 주류 산업에 도움이 되는 행동을 주류업계에서 한번 생각해보면 어떨까 이상한 생각도 해보았습니다. 모든걸 예술로 평가하는 프랑스 와인 역시 그들만의 문화가 있었고 에티켓이 있었습니다. 마시는 법이나 따르는 법까지 주도라고나 할까요. 이번 레포트를 하면서 와인에 대해서 참 많은 것을 알게 되서 좋았던 것 같습니다.
인터넷 참고자료
http://www.wine21.com http://www.wineartok.com
http://my.netian.com/~meta2013/wine.html http://www.petitefrance.co.kr
http://dir.search.daum.net http://www.dionysoswine.co.kr/
http://www.winekorea.cc/ http://www.wineseoul.co.kr/
http://tau.postech.ac.kr/~kyun/ http://www.remy.co.kr/
http://www.ohcorea.co.kr http://www.naver.com
http://www.daum.net http://www.nate.com
도서
와인을 알면 비즈니스가 즐겁다./ 김기재 지음 / 세종서적 / 2002년6월
와인 알고 마시면 두배로 즐겁다./ 김준철, 나가이 히토시 저 / 국내서 / 2000년2월
와인 / 김준철저 / 국내서 / 2003년2월
한손에 잡히는 와인 [(주)베스트홈] / Kenshi Hirokane 저 / 번역서 / 2001-10-01
와인학개론 [백산출판사 (P/S Publishing)] / 김성혁, 김진국 저 / 국내서 / 2002-03-10
와인 - 빛깔있는 책들 251 [대원사] / 손진호 저 / 국내서 / 2003-03-26
④ 고기에는 적포도주, 생선에는 백포도주?
잘못된 상식은 아니다. 이것이 무난한 어울림이 될 수는 있겠으나 역시 취향에 따라 마시면 그만이다.
⑤ 비싼 포도주만이 좋은 포도주이다?
대부분 상질의 포도주는 값이 비싸다. 그러나 부담 없는 가격의 포도주 중에서도 얼마든지 좋은 포도주를 선택해 마실 수 있다. 프랑스의 보르도, 부르고뉴 이외의 지역에도 눈을 돌려보면 의외의 놀라운 포도주가 많이 있다.
3) 와인 에티켓
우선 와인을 냉장고에 넣은 후 온도를 화이트와인의 경우는 섭씨 12~14도, 레드와인의 경우는 섭씨 16~18도 정도의 가장 적절한 온도로 만든다. 와인은 잔의 2/3 정도까지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따라야하며 와인 잔을 손에 들고 받는 것은 정식 매너가 아니다. 와인은 잔에서 비워지기 전에 채워주어야 한다. 와인을 따를 때는 와인이 병 입구에서 흐르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병을 약간 돌리면서 들어올린다. 와인 잔을 잡을 때는 손잡이(다리)를 잡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체온으로 인해 와인이 덥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와인을 따를 때에는 반드시 사람의 오른편에서 따르고, 시계반대 방향으로 여성의 잔부터 따라주고 다시 시계방향으로 남자에게 따른다. 잔은 반드시 테이블 위에 놓인 상태로 받으며, 이때 잔에 손을 대지 않는다.
와인 마시는 방법이 바로 유럽에서는 그들의 식탁문화의 모든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특히 프랑스 같은 경우에는 와인이 바로 그들의 음주문화이고 식탁문화라고 한다. 유럽의 식탁문화를 보면 식사용도에 따라서 와인의 종류가 틀릴 정도이다. 식사 전에 식욕을 돋구기 위해 마시는 아페리티프 와인(와인의 이름이 아니라 와인을 나누는 종류임)으로 주로 샴페인이나 달지 않은 셰리를 마신다고 합니다. 그리고 보통와인으로 불리는게 테이블 와인인데 입안을 헹궈내어 다음에 나오는 음식 맛을 잘 볼 수 있기 위해서 마신다고 합니다. 왜냐면 우리나라와는 틀리게 유럽은 음식을 먹는데 오랜시간이 걸리고 계속해서 음식이 나옵니다. 우리나라 콩글리쉬로 그걸 코스요리라고들 하지요. 거기다가 유럽사람들은 잘먹는게 큰복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음식맛을 잘보기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와인입니다. 그리고 식사를 마친후에 아이들이 아이스크림으로 디저트를 하듯이 디저트 와인을 마신다고 합니다. 만약 유럽에 가서 와인을 물마시듯이 원 샷을 한다거나 와인을 잔 가득 따르는 행동 이라든지 취해서 비틀거리거나 하는 행동 같은 것을 하면 식탁 문화에 어긋나는 무례한 사람이 된다. 그만큼 유럽에서의 와인 문화는 중요한 것이라는 걸 알 수 있다. 그리고 남의 집에 초대를 받았을때는 자기가 마실 와인을 한병들고 가는게 좋다고 합니다.
Ⅲ.결론
1. 이글을 마치며...
먼저 와인에 대해서 알기 위해서 포도에 대해서 알아야 됐고, 포도에 대해서 알다보니깐 포도는 따뜻한 지방에서 자라며 포도의 재배 조건을 알기 위해서는 각 나라 지방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야만 했습니다. 그리고 와인에 대해서 며칠 조사하면서 느낀건데 와인종류가 이렇게 많을 줄은 정말 몰랐고 프랑스 와인만이 세계에서 최고라는 생각도 다시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독일에서 얼린 포도로 만든 아이스바인이나 썩은 포도로 만든 포도주인 베렌 아우스베제를 만들어 내는데 대해서는 독일인들의 뛰어난 생각에 감탄했습니다. 거기다가 이탈리아의 와인이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다는데 놀라웠습니다. 언제나 우리 고정관념으로는 프랑스하면 와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듭니다.
가장 특이한 것은 오래 묵을수록 좋은 몇 안되는 물건중 하나가 바로 술인것 같습니다. 오래된 와인은 몇백만원씩 한다니깐요. 그건 솔직히 맛보다도 희귀성으로 인해서 그렇게 높은 가격을 쳐준다고 합니다.
이것 말고도 우리나라 포도주라든지 세계 곳곳에 전 나라에서 포도주가 생산되고있기는 했는데 솔직히 제가 먹어봤을 때 우리나라 포도주는 아직은 와인이라고 말하기가 힘들 정도로 그냥 말그대로 포도주라고 밖에 말을 못하겠습니다. 모라고 그럴까 포도소주라고나 할까. 우리나라 사람들 술 소비량이 세계에서도 어느 나라에 뒤지지는 않는데, 상위층을 노린 고품질의 와인을 만들어 내서 우리나라 주류 산업에 도움이 되는 행동을 주류업계에서 한번 생각해보면 어떨까 이상한 생각도 해보았습니다. 모든걸 예술로 평가하는 프랑스 와인 역시 그들만의 문화가 있었고 에티켓이 있었습니다. 마시는 법이나 따르는 법까지 주도라고나 할까요. 이번 레포트를 하면서 와인에 대해서 참 많은 것을 알게 되서 좋았던 것 같습니다.
인터넷 참고자료
http://www.wine21.com http://www.wineartok.com
http://my.netian.com/~meta2013/wine.html http://www.petitefrance.co.kr
http://dir.search.daum.net http://www.dionysoswine.co.kr/
http://www.winekorea.cc/ http://www.wineseoul.co.kr/
http://tau.postech.ac.kr/~kyun/ http://www.remy.co.kr/
http://www.ohcorea.co.kr http://www.naver.com
http://www.daum.net http://www.nate.com
도서
와인을 알면 비즈니스가 즐겁다./ 김기재 지음 / 세종서적 / 2002년6월
와인 알고 마시면 두배로 즐겁다./ 김준철, 나가이 히토시 저 / 국내서 / 2000년2월
와인 / 김준철저 / 국내서 / 2003년2월
한손에 잡히는 와인 [(주)베스트홈] / Kenshi Hirokane 저 / 번역서 / 2001-10-01
와인학개론 [백산출판사 (P/S Publishing)] / 김성혁, 김진국 저 / 국내서 / 2002-03-10
와인 - 빛깔있는 책들 251 [대원사] / 손진호 저 / 국내서 / 2003-03-26
추천자료
와인과 다인
와인의종류와분류, 차의종류와 분류
칠레와인
대한민국 토종 와인 마주앙, 국내 와인 시장 점유율 30% 달성하라!!
미국와인의 이해
우리나라의 와인과 문화 - 현재 우리나라 와인의 실태조사
[와인산업] 와인시장 현황과 향후 전망 보고서
[와인산업] 와인시장 현황과 향후 전망.PPT
복지국가유형별 출산정책과 한국의 출산정책의 지향점 모색 연구 - 미국, 프랑스, 독일, 스웨...
와인wine과 문화,샤또 무통 로칠드 라벨,디오니스와 와인데이,와인과 영화(와인 미라클),와인...
[보육학개론] 세계 보육현장을 가다. 여러나라(프랑스,독일,스웨덴)의 보육에 대해
[와인] 와인의 정의, 고급와인의 구성요건, 와인의 제조공정과 보관요령(와인보관방법)
화이트와인과 레드와인의 포도품종 및 대표와인
유럽의 음식문화 - 유럽의 음식 문화, 나라별 음식 문화,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스페인,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