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문헌고찰
1.개념
2.분류
3.역학
4.원인
5.증상
6.진단
7.경과 및 예후
8.치료
◈ 간호력 및 면담
◈ 진단검사
◈ Medication
◈ 간호과정
◈ 참고문헌
1.개념
2.분류
3.역학
4.원인
5.증상
6.진단
7.경과 및 예후
8.치료
◈ 간호력 및 면담
◈ 진단검사
◈ Medication
◈ 간호과정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점진적
-병전인격이 사회적으로 부적절했던 사람에게서 나타남
3. 역학
정신분열증의 평생유병률(lifetime prevalence)
-전세계적으로 전인구의 1% 정도로 보고
-최고 미국의 ECA 연구는 1∼1.9%로 보고
-우리나라에서의 조사는 약 0.5% 이하로 보고
발생빈도(incidence) =일정 기간 동안 발생되는 새 환자의 비율
- 전연령층에서 인구 1,000 명당 0.3∼1.2명(전체적으로 1.0명)
발병률이 가장 높은 연령층 및 남녀 차
- 남자의 경우 15∼24세(평균 21.4세), 여자는 25∼34세(평균 26.8세)
- 남자보다 여자가 늦다
- 발병률의 남녀 차이는 거의 없음
- 최근 드물지만 45세 이후에 발병하는 소위 late onset schizophrenia도 보고
경향
-우리나라의 경우 입원환자는 남자가 많은 경향
-미혼이 많으며 결혼했어도 자녀도 적은 경향
가족력
-1촌(10%), 부모가 모두 정신분열증일 때의 자녀(40%),
일란성 쌍생아(40-50%), 이란성 쌍생아(14%)
하향이동가설(downward drift hypothesis)
-Hollingshead 와 Redlich 의 연구(1958)
-일반적으로 낮은 사회경제적 계층에서 정신분열증이 많음
→병 때문에 환자들이 사회경제적으로 실패하여 낮은 계층으로 몰락하기 때문
문화적 차이에 따른 질병의 양상
-문화적 차이는 발생빈도에는 별 영향이 없고 단지 질병의 양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됨(발생비도는 국가와 민족에 무관하게 일정)
-추세 :과거에 비해 긴장형은 감소되고 망상형이 증가하며,
-망상의 내용 : 종교적이고 원시적인 것에서 현실적이고 건조한 것으로 바뀜
-아프리카 지역에는 서구보다 혼란형(파과형)이 많다고 한다.
-정신분열증 환자는 술, 정신자극제 등 물질남용을 같이 가지고 있는 수가 많다.
-정신분열증 환자는 담배를 많이 피운다
이유→ nicotine이 항정신병 약물의 대사를 촉진하기 때문이거나,
dopamine 활성을 자극하여 약물 유도성 추체외로계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라 추측
4. 정신분열증의 원인
◈ 개관
정신 분열증의 원인에 대한 학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원인으로 밝혀지진 원인이 없는 이유 첫째. 개념이 확실하지 않다. 둘째. 여러 가능한 원인의 개별적 영향력 측정이 어렵다. 셋째. 병의 진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들을 원인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현재 정신 분열증의 지배적 견해는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
복합적 원인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 문화적 및 인류학적 측면
◈ 생물학적 원인 1. 유전 :정신 분열증이 생물학적 원인에 의한 것이라는 점은 그 병이 유전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타당성을 갖는다. 곧 정신 분열증은 개인이 정신 분열증 환자와 얼마나 유전적으로 가깝냐에 따라 발병 정도가 커지는 것이지 환경적으로 가깝냐와는 큰 상관관계를 갖지 않는다. 가족 연구 내지 친족 연구들을 보면 일반인들의 정신분열증 이환 위험률은 0.3-2.8%인데 비해 환자의 부모는 0.2-12%, 동기간에는 3-14%이다. 부모 중 한 사람이 정신분열증일 경우 그 자녀들 중에 는 8-18%의 이환 위험률을 보이며 양친이 모두 환자일 경우 그 자녀들의 이환 위험률은 15-55%로 보고되고 있다. 쌍둥이 연구에서는 한 쪽이 환자일 경우 다른 한 쪽에서 정신분열증이 나타날 수 있는 일치율은 일란성의 경우 69-86% 였고, 이란성은 2-17%였다.
2. 생화학적 요인
: 생화학적 원인은 곧 신체내 신경 전달 물질이 정신 분열증의 원인으로 작용함
을 의미한다. 도파민 가설 (Dopamine theory) 이 가장 지배적이다.
도파민 가설
(1) 정신 분열증=> 도파민 활동이 과열된 상태
약물=> 도파민 차단제: D2 수용체에 결합하는 항정신병 약물
<악화된 상태: 도파민 활동 과열>
↓ (약물 투여)
<호전된 상태: 도파민 활동 억제>
(2) 뇌에 도파민 전달을 강화시키는 amphetamine 이나 cocaine을 먹으니
정신 분열증과 유사한 증상을 야기했다. 3. 대뇌 구조의 기능 :정상인과 정신 분열자간의 대뇌 구조 차이를 통해 정신 분열증의 원인으로서 대뇌 구조 손상을 들 수 있다. :뇌 단층 촬영에서 10%-50%의 정신 분열증 환자들이 측내실의 확대를
보이고 10%-35%에서 대뇌 피질의 위축을 나타내었다. =====>>대뇌구조의 손상이 정신 분열증을 유도한 원인이다. 4. 기타 요인 :기타 생물학적 원인으로는 virus 감염에 의한다는 이론과 뇌에 대한
자가 면역 질환에 있다는 이론이 있다. :virus 감염 가능성이 높은 계절(겨울)에 정신 분열증 환자가 많이 태어나고
병원 입원자 수도 많다.
◈ 심리학적 원인 -심리학적 측면에서는 정신 분열증 환자의 인격이 광범위하게 퇴행되어 있다고 봄. 정신발달 단계상 제 1 단계인 영아기, (Freud의 구순기)에 인격 수준이 고착되어,
살아가면서 조금만 감당하기 어려운 스트레스에 부딪히더라도 쉽게 제1단계로
퇴행해 버림
곧 정신 분열증 환자는 몸과 정신의 연령이 다른 상태 -심리학자 H.S.Sullian
:정신 분열증이 정신 내부의 갈등보다는 인간 관계의 장애로 일어난다고 주장
최초의 인간 관계를 맺는 어머니가 정신 분열증이면 아이도 육아 과정에서
제대로 된 인간 관계를 맺지 못해 결국 신뢰성을 잃고 자기 통제를 하지 못하는 정신 분열증 환자가 된다
-가족이론
:어머니의 역할을 잘 못 했을 때 그 아이에게 정신 분열증 이 생긴다는 이론. 가족이론에 입각했을 때 어머니가 역할을 잘못한 가족 내의 의사 소통 =>이중 구속 :서로 상이한 언어적 소통과 비언어적 소통이 동시에 부과되 는 것.
그로인해 아이는 그 사이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다가 방황, 갈등, 불안하게되고 결국 사회적 판별능력과 의사소통을 획득하지 못해
정신 분열증 환자가 된다. 예> 아이의 싸움을 대하는 엄마의 태도
◈ 사회 문화적 및 인류학적 원인 -통계적으로 사회 경제적 상태에 따라 정신 분열증 환자의 빈도가 큰 차이를보임
이를 사회적 원인 가설이라 일
-병전인격이 사회적으로 부적절했던 사람에게서 나타남
3. 역학
정신분열증의 평생유병률(lifetime prevalence)
-전세계적으로 전인구의 1% 정도로 보고
-최고 미국의 ECA 연구는 1∼1.9%로 보고
-우리나라에서의 조사는 약 0.5% 이하로 보고
발생빈도(incidence) =일정 기간 동안 발생되는 새 환자의 비율
- 전연령층에서 인구 1,000 명당 0.3∼1.2명(전체적으로 1.0명)
발병률이 가장 높은 연령층 및 남녀 차
- 남자의 경우 15∼24세(평균 21.4세), 여자는 25∼34세(평균 26.8세)
- 남자보다 여자가 늦다
- 발병률의 남녀 차이는 거의 없음
- 최근 드물지만 45세 이후에 발병하는 소위 late onset schizophrenia도 보고
경향
-우리나라의 경우 입원환자는 남자가 많은 경향
-미혼이 많으며 결혼했어도 자녀도 적은 경향
가족력
-1촌(10%), 부모가 모두 정신분열증일 때의 자녀(40%),
일란성 쌍생아(40-50%), 이란성 쌍생아(14%)
하향이동가설(downward drift hypothesis)
-Hollingshead 와 Redlich 의 연구(1958)
-일반적으로 낮은 사회경제적 계층에서 정신분열증이 많음
→병 때문에 환자들이 사회경제적으로 실패하여 낮은 계층으로 몰락하기 때문
문화적 차이에 따른 질병의 양상
-문화적 차이는 발생빈도에는 별 영향이 없고 단지 질병의 양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됨(발생비도는 국가와 민족에 무관하게 일정)
-추세 :과거에 비해 긴장형은 감소되고 망상형이 증가하며,
-망상의 내용 : 종교적이고 원시적인 것에서 현실적이고 건조한 것으로 바뀜
-아프리카 지역에는 서구보다 혼란형(파과형)이 많다고 한다.
-정신분열증 환자는 술, 정신자극제 등 물질남용을 같이 가지고 있는 수가 많다.
-정신분열증 환자는 담배를 많이 피운다
이유→ nicotine이 항정신병 약물의 대사를 촉진하기 때문이거나,
dopamine 활성을 자극하여 약물 유도성 추체외로계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라 추측
4. 정신분열증의 원인
◈ 개관
정신 분열증의 원인에 대한 학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원인으로 밝혀지진 원인이 없는 이유 첫째. 개념이 확실하지 않다. 둘째. 여러 가능한 원인의 개별적 영향력 측정이 어렵다. 셋째. 병의 진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들을 원인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현재 정신 분열증의 지배적 견해는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
복합적 원인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 문화적 및 인류학적 측면
◈ 생물학적 원인 1. 유전 :정신 분열증이 생물학적 원인에 의한 것이라는 점은 그 병이 유전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타당성을 갖는다. 곧 정신 분열증은 개인이 정신 분열증 환자와 얼마나 유전적으로 가깝냐에 따라 발병 정도가 커지는 것이지 환경적으로 가깝냐와는 큰 상관관계를 갖지 않는다. 가족 연구 내지 친족 연구들을 보면 일반인들의 정신분열증 이환 위험률은 0.3-2.8%인데 비해 환자의 부모는 0.2-12%, 동기간에는 3-14%이다. 부모 중 한 사람이 정신분열증일 경우 그 자녀들 중에 는 8-18%의 이환 위험률을 보이며 양친이 모두 환자일 경우 그 자녀들의 이환 위험률은 15-55%로 보고되고 있다. 쌍둥이 연구에서는 한 쪽이 환자일 경우 다른 한 쪽에서 정신분열증이 나타날 수 있는 일치율은 일란성의 경우 69-86% 였고, 이란성은 2-17%였다.
2. 생화학적 요인
: 생화학적 원인은 곧 신체내 신경 전달 물질이 정신 분열증의 원인으로 작용함
을 의미한다. 도파민 가설 (Dopamine theory) 이 가장 지배적이다.
도파민 가설
(1) 정신 분열증=> 도파민 활동이 과열된 상태
약물=> 도파민 차단제: D2 수용체에 결합하는 항정신병 약물
<악화된 상태: 도파민 활동 과열>
↓ (약물 투여)
<호전된 상태: 도파민 활동 억제>
(2) 뇌에 도파민 전달을 강화시키는 amphetamine 이나 cocaine을 먹으니
정신 분열증과 유사한 증상을 야기했다. 3. 대뇌 구조의 기능 :정상인과 정신 분열자간의 대뇌 구조 차이를 통해 정신 분열증의 원인으로서 대뇌 구조 손상을 들 수 있다. :뇌 단층 촬영에서 10%-50%의 정신 분열증 환자들이 측내실의 확대를
보이고 10%-35%에서 대뇌 피질의 위축을 나타내었다. =====>>대뇌구조의 손상이 정신 분열증을 유도한 원인이다. 4. 기타 요인 :기타 생물학적 원인으로는 virus 감염에 의한다는 이론과 뇌에 대한
자가 면역 질환에 있다는 이론이 있다. :virus 감염 가능성이 높은 계절(겨울)에 정신 분열증 환자가 많이 태어나고
병원 입원자 수도 많다.
◈ 심리학적 원인 -심리학적 측면에서는 정신 분열증 환자의 인격이 광범위하게 퇴행되어 있다고 봄. 정신발달 단계상 제 1 단계인 영아기, (Freud의 구순기)에 인격 수준이 고착되어,
살아가면서 조금만 감당하기 어려운 스트레스에 부딪히더라도 쉽게 제1단계로
퇴행해 버림
곧 정신 분열증 환자는 몸과 정신의 연령이 다른 상태 -심리학자 H.S.Sullian
:정신 분열증이 정신 내부의 갈등보다는 인간 관계의 장애로 일어난다고 주장
최초의 인간 관계를 맺는 어머니가 정신 분열증이면 아이도 육아 과정에서
제대로 된 인간 관계를 맺지 못해 결국 신뢰성을 잃고 자기 통제를 하지 못하는 정신 분열증 환자가 된다
-가족이론
:어머니의 역할을 잘 못 했을 때 그 아이에게 정신 분열증 이 생긴다는 이론. 가족이론에 입각했을 때 어머니가 역할을 잘못한 가족 내의 의사 소통 =>이중 구속 :서로 상이한 언어적 소통과 비언어적 소통이 동시에 부과되 는 것.
그로인해 아이는 그 사이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다가 방황, 갈등, 불안하게되고 결국 사회적 판별능력과 의사소통을 획득하지 못해
정신 분열증 환자가 된다. 예> 아이의 싸움을 대하는 엄마의 태도
◈ 사회 문화적 및 인류학적 원인 -통계적으로 사회 경제적 상태에 따라 정신 분열증 환자의 빈도가 큰 차이를보임
이를 사회적 원인 가설이라 일
키워드
추천자료
경부 임파선염 환아 (Acute Lymphadenitis of face) case study
보건소 보건진료소 간호과 실습시 사례연구 독거노인 문제에 대한 Case Study
[국제마케팅] AT & T 사례, Case study(케이스 스터다)
NICU 미숙아(Prematurity)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난소출혈 케이스 스터디 Ovarian Bleeding case study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경추 추간판 탈출증 케이스 (HERNIATED CERVICAL DISC) case study.pptx
간호학과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 MI)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
[의약학] [성인간호학][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담석증의 식사요법, 증상, 진단, 담석증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
정신간호학 MR(정신지체), 조현병 케이스 스터디 (Schizophrenia Case Study) - 이름 : 장O진...
충수절제술(충수돌기절제술/appendectomy)과 관련된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입...
정신간호학 - Paranoid Schizophrenia (망상형, 편집형 정신분열증) Case Study
폐부종 (pulmonary edema) - 폐부종 케이스 스터디, 폐부종 CASE STUDY, pulmonary edema 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