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교육사상가 주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교육사상가 주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육목적과 역할

3. 교육내용
1) 소학(小學)
2) 대학(大學)

4. 학습방법
1) 居敬窮理
2) 學思力行
3) 因材施敎
4) 循序漸進

본문내용

주자는 대학을 15세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大學章句序》, 卷七十六, \"及其十有五年, 則自天子之元子衆子, 以至公卿大夫元士之適, 與凡民俊秀, 皆入大學, 敎之以窮理正心修己治人之道\".
15세 이후, 군왕, 사대부의 자제에서 평민의 자제 중 준수한 자, 모두는 대학에 입학하여야 한다.(이 시기에는) 궁리, 정심, 수기, 치인의 도를 가르쳐야 한다.
15세 이후의 대학의 단계는 소학단계에서 익힌 것들을 심화발전시켜 이치를 밝히는(明其理)단계라고 할 수 있다. 대학은 학생들의 학습수준에 따라 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의 순서로 학습하는 단계이다. 주자는 대학단계에서 학생들이 명명덕(明明德)을 익혀 善에 이르도록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사물의 이치를 밝히는 것이 곧 대학의 교육방법이자 교육목표임을 강조한 것이다. 주자는 대학에서 《論語》,《孟子》,《大學》,《中庸》, 즉 사서를 주요 교육내용으로 삼았는데, 그는 학생들이 쉽게 사서를 이해할 수 있도록 각 경서를 직접 해석하여 가르쳤다. 주자는 사서 외에도 오경을 대학의 주요 교재로 사용하였는데, 그 순서는 사서가 먼저였으며, 사서를 읽은 후 오경을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주자가 대학단계에서 해석하고 가르친 사서와 오경은 오늘날까지 경서 해석의 기준이 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주자의 대학교육은 사서와 오경을 중심으로, 소학단계에서 익힌 것들을 심화시켜 이치를 밝히는 단계였다. 주자는 소학과 대학의 교육내용에서 공통적으로 도덕교육을 강조했으며, 군자, 성현을 교육목표로 삼았다. 그의 관점은 계급적이어서 폭넓은 교육의 기회를 주지는 못했으나, 학생들의 신체적, 정신적 발달을 고려해 교육내용을 구분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바로 이 점이 주자가 중국 고대교육사에서 높이 평가되는 이유이다.
4. 학습방법
주자는 교육활동 중, 학습방법을 매우 중시하여,《四書集注》를 통해 “교육성법(敎育成法: 성공적인 학습방법)”이 분명히 있음을 주장하였다. 주자는
《孟子集注》, 盡心, \"道有定體, 敎有成法\".
도에 형식이 반드시 있듯이 학습에도 성공적인 방법이 있다.
라고 하였다. 그는 어렵지도 쉽지도 않은 적절한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학습방법이라고 하였다. 주자는 학습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강조하였다.
《孟子集注》, 告子, \"事必有法, 然後可成, 師舍是則無以敎, 弟子舍是則無以學\".
일에는 반드시 방법이 있고, (그 방법을 따라야

키워드

교육사상,   주자,   성리학,   철학,   임용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4.29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31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