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퇴계이황의 생애
Ⅱ. 이황의 사상적 배경
1) 이기론(理氣論)
2) 심성론(心性論)
Ⅲ. 이황의 교육사상
1) 교육목적
2) 교육내용
3) 교육의 방법
Ⅳ. 현대에 주는 시사점
【 참고자료 】
Ⅱ. 이황의 사상적 배경
1) 이기론(理氣論)
2) 심성론(心性論)
Ⅲ. 이황의 교육사상
1) 교육목적
2) 교육내용
3) 교육의 방법
Ⅳ. 현대에 주는 시사점
【 참고자료 】
본문내용
는 것으로 볼 때 그것은 결코 둘이 아니고 하나이다. 지(知)와 행(行)은 이점에서 보면 이즉일(二卽一)이다. 이러한 불가상리(不可相離) 관계 속에서도 지행(知行)은 각기 그 독자성을 잃지 않는다. 그에 의하면 지식은 지적 해결을 구하려는 것이 아니다. 사색과 더불어 실행이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고 이러한 지(知)와 행(行)은 경(敬)에다 그 밑바탕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황은 지(知)와 행(行)의 밑바탕이 되는 경(敬)을 교육방법론의 궁극적인 추축(樞軸)으로 행동과 실천의 생활을 중시하는 인본주의적 교육을 강조하였고, '격물치지(格物致知)' '궁리(窮理 )'의 원리를 바탕으로 종합적이고 분석적인 교육방법을 취하였다.
(8) 심신휴양(心身休養)
이황은 학문의 길에 각고(刻苦)도 중요하나 심신의 휴양과 여가선용 또한 중요하다고 하였다. 각고(刻苦)와 휴양의 둘은 서로 도와 나갈 때 비로소 완전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이황의 교육인간학은 지·덕·체가 하나로 융합된 전인교육이었고, 문장이나 지식만을 위한 편중교육으로서 후세의 성리학도와는 다름을 알 수 있다. 이황의 교학(敎學)논의에서 찾을 수 있는 방법의 원리는 자아주체의 자율적 교육의지이다.
Ⅳ. 현대에 주는 시사점
(1) 퇴계의 교육 철학은 전인교육 방향성과 관련성이 깊다.
퇴계의 교육 목적은 당시의 시류들이 일반적으로 교육의 목적을 과거 급제에 두고, 일신의 안락과 영예만을 추구한 풍조에 비하여 그는 인(仁)을 체득한 성인(聖人)이 되게 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그는 지육(智育), 덕육(德育), 체육(體育)이 하나로 융합된, 현대교육에서 말하는 전인교육과 상통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입시나 취직을 위한 지식위주의 편중된 교육으로부터 인격의 조화를 이룩하는 전인교육을 부르짖는 오늘의 교육이념에서 그 참뜻을 다시 한 번 음미해야 할 것이다.
(2) 퇴계의 교육 철학 중 개성 존중 교육방법은 현대 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학습의 개인차를 인정한 민주적인 방법에 시사를 주고 있다.
퇴계는 선천적인 기질의 차이와 후천적인 환경과 노력의 차이에 의해 개인차가 있음을 인정하여 개성에 맞는 개별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현재 우리 교육이 강조하는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개성의 실현이라는 교육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유념해야 할 교육자의 자세라 볼 수 있다. 이러한 교육관은 퇴계가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이라는 근대적 정신을 그의 교육 철학에 담고 있었음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며 이는 오늘날의 민주적 교육의 개념과 상통하는 것이다(손직호,1999).
(3) 학문방법과 교육원리에서는 실천적이고 체득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교육에 있어서 교과서의 체계적 특징이나 내용을 간략하게 보여주기 위해 도설(圖設)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지와 함께 반드시 행이 호진(互進)되어야 함을 강조한 실천교육이었고, 학생 개개인의 개성과 능력을 존중한 개성존중 교육이었으며, 지덕체의 조화를 이룬 인격의 형성을 추구한 전인교육의 원리를 사용하였다(김근수,2000).
(4) 인격적 접촉을 통한 교육자의 솔선수범하는 교육방법 제시하였다.
퇴계는 스스로 그의 생애를 사람됨의 길을 닦는 인격의 산 교과서였을 뿐만 아니라 그의 문인교육은 이로써 일관하였다. 퇴계의 교육은 바로 이러한 정신의 눈뜸과 만남에서 문인들의 인격이 비약적으로 고양되는 그런 교육이었다. 그러나 한 번도 남의 교사임을 자처하지는 않았다. 그는 인격적인 도야를 통한 교육을 솔선수범하였다. 퇴계의 교실은 엄하지만 자애로움이 충만된 봄바람이 감도는 곳이었다. 이러한 겸양의 덕, 교육자로서의 사랑, 탁월한 교육방법 등은 오늘날 우리가 발굴하여야 할 값진 교육적 전통이기도 하다(김선욱,2003).
【 참고자료 】
두산동아(2001)「이황」
윤사순(1986)「퇴계철학의 연구」고려대학교 출판부
이경식(1997)「퇴계학 연구논총」2,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김근수(2000)「退溪 李滉의 道德敎育論」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김선욱(2003)「退溪 李滉의 敎育思想 硏究」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손직호(1999)「退溪 李滉의 敎育 哲學」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양경자(2003)「퇴계 이황의 교육사상 연구」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이은영(2006)「退溪敎育의 內容과 方法에 대하여」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장정훈(1998)「退溪 李滉의 敎育思想 硏究」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허대열(1996)「退溪 李滉의 聖學十圖에 나타난 敎育思想」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이황은 지(知)와 행(行)의 밑바탕이 되는 경(敬)을 교육방법론의 궁극적인 추축(樞軸)으로 행동과 실천의 생활을 중시하는 인본주의적 교육을 강조하였고, '격물치지(格物致知)' '궁리(窮理 )'의 원리를 바탕으로 종합적이고 분석적인 교육방법을 취하였다.
(8) 심신휴양(心身休養)
이황은 학문의 길에 각고(刻苦)도 중요하나 심신의 휴양과 여가선용 또한 중요하다고 하였다. 각고(刻苦)와 휴양의 둘은 서로 도와 나갈 때 비로소 완전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이황의 교육인간학은 지·덕·체가 하나로 융합된 전인교육이었고, 문장이나 지식만을 위한 편중교육으로서 후세의 성리학도와는 다름을 알 수 있다. 이황의 교학(敎學)논의에서 찾을 수 있는 방법의 원리는 자아주체의 자율적 교육의지이다.
Ⅳ. 현대에 주는 시사점
(1) 퇴계의 교육 철학은 전인교육 방향성과 관련성이 깊다.
퇴계의 교육 목적은 당시의 시류들이 일반적으로 교육의 목적을 과거 급제에 두고, 일신의 안락과 영예만을 추구한 풍조에 비하여 그는 인(仁)을 체득한 성인(聖人)이 되게 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그는 지육(智育), 덕육(德育), 체육(體育)이 하나로 융합된, 현대교육에서 말하는 전인교육과 상통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입시나 취직을 위한 지식위주의 편중된 교육으로부터 인격의 조화를 이룩하는 전인교육을 부르짖는 오늘의 교육이념에서 그 참뜻을 다시 한 번 음미해야 할 것이다.
(2) 퇴계의 교육 철학 중 개성 존중 교육방법은 현대 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학습의 개인차를 인정한 민주적인 방법에 시사를 주고 있다.
퇴계는 선천적인 기질의 차이와 후천적인 환경과 노력의 차이에 의해 개인차가 있음을 인정하여 개성에 맞는 개별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현재 우리 교육이 강조하는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개성의 실현이라는 교육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유념해야 할 교육자의 자세라 볼 수 있다. 이러한 교육관은 퇴계가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이라는 근대적 정신을 그의 교육 철학에 담고 있었음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며 이는 오늘날의 민주적 교육의 개념과 상통하는 것이다(손직호,1999).
(3) 학문방법과 교육원리에서는 실천적이고 체득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교육에 있어서 교과서의 체계적 특징이나 내용을 간략하게 보여주기 위해 도설(圖設)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지와 함께 반드시 행이 호진(互進)되어야 함을 강조한 실천교육이었고, 학생 개개인의 개성과 능력을 존중한 개성존중 교육이었으며, 지덕체의 조화를 이룬 인격의 형성을 추구한 전인교육의 원리를 사용하였다(김근수,2000).
(4) 인격적 접촉을 통한 교육자의 솔선수범하는 교육방법 제시하였다.
퇴계는 스스로 그의 생애를 사람됨의 길을 닦는 인격의 산 교과서였을 뿐만 아니라 그의 문인교육은 이로써 일관하였다. 퇴계의 교육은 바로 이러한 정신의 눈뜸과 만남에서 문인들의 인격이 비약적으로 고양되는 그런 교육이었다. 그러나 한 번도 남의 교사임을 자처하지는 않았다. 그는 인격적인 도야를 통한 교육을 솔선수범하였다. 퇴계의 교실은 엄하지만 자애로움이 충만된 봄바람이 감도는 곳이었다. 이러한 겸양의 덕, 교육자로서의 사랑, 탁월한 교육방법 등은 오늘날 우리가 발굴하여야 할 값진 교육적 전통이기도 하다(김선욱,2003).
【 참고자료 】
두산동아(2001)「이황」
윤사순(1986)「퇴계철학의 연구」고려대학교 출판부
이경식(1997)「퇴계학 연구논총」2,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김근수(2000)「退溪 李滉의 道德敎育論」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김선욱(2003)「退溪 李滉의 敎育思想 硏究」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손직호(1999)「退溪 李滉의 敎育 哲學」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양경자(2003)「퇴계 이황의 교육사상 연구」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이은영(2006)「退溪敎育의 內容과 方法에 대하여」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장정훈(1998)「退溪 李滉의 敎育思想 硏究」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허대열(1996)「退溪 李滉의 聖學十圖에 나타난 敎育思想」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추천자료
-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경} 철학의 성립과 전개
- 이퇴계와 현대생활
- 이황의 사상의 현대적 의미 찾기
- 송시열의 학문세계
- 실학사상과 김정희의 실사구시
- 조선성리학의 성립과 사단칠정론
-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4단원 읽기와 토의 기출문제(교사용)
- 가치교육의 필요성과 발전방향
- [주리론][주리철학][주리론(주리철학) 이론][주리론(주리철학) 종경정신][전거수사]주리론(주...
- 역사의 은죽(隱竹) - 죽유(竹牖) 오운(吳澐)의 대하여
- [동양철학, 인간해방, 윤리사상, 도덕성, 진보, 공자, 공구, 동양, 철학, 동양사회사상, 맹자...
- [교훈글][이야기][명상][인내심][인간가치]교훈글 사례1(이야기), 교훈글 사례2(명상), 교훈...
-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