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기열전에 들어가면서
사기열전의 내가 읽은 내용과 나의 생각
사기열전의 내가 읽은 내용과 나의 생각
본문내용
못하는 사람을 병들었다고 한다고 했습니다. 저는 가난것이지 병들지 않았습니다.\"라고 말하였다.
(강설: 그 사람의 형색만을 보고 판단한 자공이 잘못을 한 것 같다. 말은 항시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 한다.)
상군열전
10. p137 옛것을 따르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 의심스러워 하면서 행동하면 공명이 따르지 않고, 의심스러워하면서 사업을 하면 성공할 수 없습니다. 또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난 행동을 하는 자는 원래 세상 사람들의 비난을 받게 마련이며, 남들이 모르는 지혜를 가진자는 반드시 사람들에게 오만하다는 비판을 듣게 마련입니다. 어리석은 자는 이미 이루어진 일도 모르지만, 지혜로운자는 일이 시작되기 전에 압니다, 백성들은 일을 시잘할 때에 더불어 상의 할 수 없으나, 일이 성공하면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가장 놓은 덕을 강구하는 자는 세상과 타협하지 않으며, 큰공을 이루는 자는 뭇 사람과 사의하지 않습니다.그런까닭에 성인은 나라를 강하게 할 수 있으면 구태여 예것을 본뜨지 않았고, 백성들을 이곱게 할 수 있으면 예날의 예악 제도를 좇지 않았습니다.\"
(강설 : 위에 말대로 뛰어나면 비난받고, 지혜를 가지면 오만하다하고 사람들은 자기 보다
뛰어난 사람들을 왜 비난하고 손가락질 하며 왜 부정적인 시선을 알 수가 없다.)
두지가 말하였다.
\"100배의 이로움이 없으면 법을 고쳐서는 안 되며, 10배의 효과가 없으면 그릇을 바꿔서는 안 됩니다. 옛것을 본받으면 허물이 엇고 예법을 따르면 사악함이 없습니다.\"
위앙이 말했다.
\"세상을 다스리는 데는 한 가지 길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그 나라에 편하면 예날 법을 본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은나라 탕왕과 주나라 무왕은 예법을 따르지 않았지만 제왕의 일을 이루었고, 하나라 걸왕과 은나라 주왕은 예법을 바꾸지 않았지만 멸망한 것이다....\"
이말을 듣고 효공은 법을 바꾸었다.
(강설: 예법을 계속 유지 한다 하여도 나라에 이로움이 없으면 바꾸는 것이고, 법을 바꾸었을때 이로움이 있고 효과가 크다면 또다시 바꾸지 않고 남는 것이고,,,그러나 중국은 수차례 법을 바꾸었다. 법을 바꾼 후 진나라는 천하를 통일 했다고 한다. 허나 15년만에 진나라는 망하였다.)
11. p140 법은 위에서 부터 지켜야 한다.
법이 바뀌고 시행된지 1년만에 태자가 법을 어기게 되자 위앙은 이렇게 말했다.
\"법이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는 것은 위에서 부터 이것을 지키지 않기
(강설: 그 사람의 형색만을 보고 판단한 자공이 잘못을 한 것 같다. 말은 항시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 한다.)
상군열전
10. p137 옛것을 따르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 의심스러워 하면서 행동하면 공명이 따르지 않고, 의심스러워하면서 사업을 하면 성공할 수 없습니다. 또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난 행동을 하는 자는 원래 세상 사람들의 비난을 받게 마련이며, 남들이 모르는 지혜를 가진자는 반드시 사람들에게 오만하다는 비판을 듣게 마련입니다. 어리석은 자는 이미 이루어진 일도 모르지만, 지혜로운자는 일이 시작되기 전에 압니다, 백성들은 일을 시잘할 때에 더불어 상의 할 수 없으나, 일이 성공하면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가장 놓은 덕을 강구하는 자는 세상과 타협하지 않으며, 큰공을 이루는 자는 뭇 사람과 사의하지 않습니다.그런까닭에 성인은 나라를 강하게 할 수 있으면 구태여 예것을 본뜨지 않았고, 백성들을 이곱게 할 수 있으면 예날의 예악 제도를 좇지 않았습니다.\"
(강설 : 위에 말대로 뛰어나면 비난받고, 지혜를 가지면 오만하다하고 사람들은 자기 보다
뛰어난 사람들을 왜 비난하고 손가락질 하며 왜 부정적인 시선을 알 수가 없다.)
두지가 말하였다.
\"100배의 이로움이 없으면 법을 고쳐서는 안 되며, 10배의 효과가 없으면 그릇을 바꿔서는 안 됩니다. 옛것을 본받으면 허물이 엇고 예법을 따르면 사악함이 없습니다.\"
위앙이 말했다.
\"세상을 다스리는 데는 한 가지 길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그 나라에 편하면 예날 법을 본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은나라 탕왕과 주나라 무왕은 예법을 따르지 않았지만 제왕의 일을 이루었고, 하나라 걸왕과 은나라 주왕은 예법을 바꾸지 않았지만 멸망한 것이다....\"
이말을 듣고 효공은 법을 바꾸었다.
(강설: 예법을 계속 유지 한다 하여도 나라에 이로움이 없으면 바꾸는 것이고, 법을 바꾸었을때 이로움이 있고 효과가 크다면 또다시 바꾸지 않고 남는 것이고,,,그러나 중국은 수차례 법을 바꾸었다. 법을 바꾼 후 진나라는 천하를 통일 했다고 한다. 허나 15년만에 진나라는 망하였다.)
11. p140 법은 위에서 부터 지켜야 한다.
법이 바뀌고 시행된지 1년만에 태자가 법을 어기게 되자 위앙은 이렇게 말했다.
\"법이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는 것은 위에서 부터 이것을 지키지 않기
추천자료
신라의 복식에 대하여
향가의 전반적인 이해와 고찰
안민가 연구
고려 전기의 문학과 작가
[떡][떡의 의미][떡의 역사][떡의 분류][떡의 영양][떡의 성분][전통음식][한국전통음식][송...
우리나라 기생과 황진이fp
검도의 역사와 경기규칙 및 검도 유래, 검법
[족보][가계기록][조상][성씨][시조][가문][족보이전의 가계기록][족보의 의의][족보의 역사]...
[벼농사][벼농사 기원][벼농사 시대별 역사][벼 생육환경][벼농사 기술][이앙법][견종법][농...
[효도]효(효도)의 어원, 효(효도)의 의미, 효사상(효도사상)의 유래, 효사상(효도사상)의 이...
[고전문학][설화][고전][문학][소설][고전소설]고전문학과 설화, 고전문학과 장르, 고전문학...
무령왕릉
견당사(遣唐使)와 신라의 해상무역
부모교육 4학년 B형) 부모교육의 역사를 서구의 부모교육과 우리나라의 부모교육을 비교하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