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Introduction
1. 실험목적
2. 이론적 배경
3. 재료
4. 방법
※ References
1. Result
2. Discussion
1. 실험목적
2. 이론적 배경
3. 재료
4. 방법
※ References
1. Result
2. Discussion
본문내용
lock으로 가열되지 않게 하고 잡을 때는 반대편을 잡지 않도록 주의한다. 아무 생각없이 손으로 잡았다가 뜨거워서 슬라이드 글라스를 놓쳤는데 다행히도 슬라이드 글라스가 깨지지 않아 그대로 실험을 계속하였다. 그 후 fuchsin을 슬라이드에 골고루 뿌려주고 다시 heat block에서 3~5분간 가열하였다. fuchsin의 phenol 성분이 결핵균의 지질을 용해시키고 염색시양이 세포내가 들어가도록 해주어 붉은색으로 염색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3% HCl-ETOH를 이용하여 탈색과정을 2회 실시하였다. 이는 일단 항산성균이 염색 되면 acid alcohol로도 탈색이 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미생물을 거의 완전히 탈색시키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탈색을 너무 오래하게 되면 항산성균까지 탈색이 되어 Methylene Bule로 염색하여도 구별할 수 없게 된다. 탈색과정 후 Methylene Bule 염색을 1분간 실시하였는데 이 대조 염색 또한 너무 오랫동안 하면 항산성균의 구별이 어려워질 수도 있을 것 같다. Tap water를 한 후 공기중에 건조 시켜 400배 현미경으로 검경하였다.
메틸렌블루 염색
fuchsin 염색
메틸렌블루 염색
fuchsin 염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