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놀이의 개념
2. 놀이의 특성
3. 놀이와 학습
4. 놀이와 교육
5. 놀이와 평가
6. 놀이와 치료
7. 놀이와 어린이 발달
8. 놀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9.사회극적놀이
10. 참고문헌
2. 놀이의 특성
3. 놀이와 학습
4. 놀이와 교육
5. 놀이와 평가
6. 놀이와 치료
7. 놀이와 어린이 발달
8. 놀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9.사회극적놀이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영역에서 인형을 안고 부모 놀이를 하고 있다. 유아들은 모두 5~6개의 인형을“아기”라고 하고 돌보고 있는 “부모”역할을 하고 있다. 교사는 유아들과 함께 놀이한다.
교사:(안고 있는 인형에게 엄마같은 목소리로)자, 얘야 저녁 먹자, 배고프지?(아기가 대답하는 듯 아기같은 목소리로) 나 지금 안먹어요 배 안 고파, 놀고싶어.
아동A: (어른스런 목소리로 교사의 인형에게) 안돼, 지금 먹어야 해, 그렇게 계속 안 먹으면 너는 병이 날 꺼야.
교사: (엄마같은 목소리로 다시)너네 집 아기는 어때? 배고프다고 하지 않니? 아기한테 물어봐.
아동A: (자기 인형에게) 너도 배고프지, 아가? (아기같은 목소리로 대답한다.) 아뇨. 우리 놀고 있다니까요. 저녁 안먹을 거예요.(아동,B에게 자신의 목소리로) 수잔, 우리 애들이 저녁 안 먹으려고 한다고 하자, 응?
아동B: 좋아, 우리 집 애도 밥 안 먹는다고 한다.
아동A:(걱정스러운 어른 목소리로) 얘가 왜 이러는 지 모르겠네요. 밥을 먹어야 하는데요.
아동B:(아동 A의 말에 응답하며) 맞아요, 밥을 계속 안 먹으면 텔레비전을 오늘 저녁에 못 보게 해야겠어요.
다른 아이가 인형을 안고 와서 다양한 톤의 목소리를 내며 놀이에 합류한다. 교사는 몇 분 후 놀이에서 빠져나온다.
사회극적 놀이의 또 다른 언어적 특징은 한 아동이 역할에 따라 다른 유형의 언어를 사용하는 “역할 바꾸기”이다. 부모 역할을 할 때는 성인의 어른스러운 목소리와 문장을 사용하다가 놀이 친구와 협상할 때는 자기 자신의 목소리를 낸다. 역할 바꾸기는 아동이 상황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해야 하는 학교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Lindfors, 1987) 친구와 이야기할 때, 구두 시험을 볼 때, 혹은 소리내어 읽기를 할 때 아동들은 각각 다른 톤의 목소리를 낸다.
교사는 이러한 사회극적 놀이에서 다른 인물에게 말하기와 역할놀이를 하면서 억양과 문장을 다양하게 사용하도록 고무함으로써 역할 바꾸기를 강화할 수 있다.
2세아 두 명이 극놀이영역에서 각자 설거지하고 전화받고 인형 옷 입히기를 하면서 놀이하고 있다. 서로 대화나 협동, 연합이 없는 병행놀이 상태이다. 설거지를 하는 유아에게 교사가 이야기한다.
교사: 레베카, 도와줄 사람이 없니? 음... 제이미가 도와주면 되겠는데,
아동A: 네, (둘러보고는)제이미가 도와주면 돼요.
교사: 도와달라고 해볼래? 그러면 도와줄 것 같은데.
아동A: 제이미, 이리 와서 설거지 좀 도와줘, 너무 많아서 도와줘야 해. 같이 설거지하자.
아동B: (전화를 받는 시늉을 한다. A의 목소리를 못들은 것 같다) 뭐라고요?
아동A: 이리 와, 제이미.
교사: 제이미는 듣지 못했어, 네가 다시 말해줘야겠는데, 그러면 들을 수 있을 거야.
아동A: 제이미, 와서 설거지 같이 안 할래? 부엌을 깨끗이 정리해야 해.
아동B: (관심없는 목소리로) 싫어.
교사: 제이미, 레베카에게 왜 도와줄 수 없는지 말해주겠니? 너도 굉장히 바쁜것 같은데
아동B: 레베카, 난 지금 전화해야 돼.
교사: 전화를 다하고 나면 레베카를 도와줄 수 있겠다.
아동 B는 전화를 끊고 아동 A를 도와준다. 두 아이는 설거지를 같이 하고 교사는 놀이에서 빠져나온다.
위의 예화에서 교사는 아동간의 대화를 촉진시켰다. 교사가 아동들에게 해준 말은 또래 관계를 형성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교사는 아동 A에게는 친구의 관심을 끌고 도움을 친절하게 청할 수 있도록, 아동 B에게는 거절의 이유를 설명할 수 있도록 촉진하였다. 이런 행동은 긍정적인 또래 관계 형성에 중요하다. (Dodge, 1983)
2) 사회적 상호작용
교사가 단지 개방적인 방법으로 함께 놀이해 주는 것만으로도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화할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수도 있다. 교사는 매력적인 놀이 친구이다. 교사가 놀이에 개입하면 아동들은 교사 주변으로 모여들게 된다. 사회성이 부족한 아동들도 교사와는 상호작용하기 쉽다. 또래로부터 무시되고 소외되는 아동들도 참여할 수 있고, 수줍음이 많은 아동들도 교사가 격려하여 주면 놀이에 쉽게 참여할 수 있다.
아래 예화는 교사의 놀이 개입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한 아이가 극놀이영역에서 인형 옷을 입혔다 벗겼다 하면서 혼자놀이를 하고 있다. 이 아이는 곁에서 놀이하고 있는 다른 몇 명의 아이들과 상호작용하거나 쳐다보지 않는다. 교사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개입한다.
교사: 아기가 배고프지 않을까? 음식을 만들어야겠는데.
아동A: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않고, 옷 입히기만을 계속 한다.)
교사: 아기가 배고프다고 하면, 선생님한테 말해 줘. 부엌에서 음식을 만들어 줄 수 있거든.
(부엌으로 가서 프라이팬과 접시를 꺼내와서 아동 A옆에서 놀이를 한다.)
아동A: (교사에게 다가가서) 아기가 배고프대요.
교사: 그래? 어떤 음식을 만들어 줄까? (접시 쪽으로 가서 주방용품들을 꺼낸다)
아동A: 아기 음식이요.
아동B: (교사에게 다가와서) 여기요, 제가 음식을 만들게요.
교사: 샐리와 같이 하지 않을래? 선생님은 아기를 안아주고 있을게. (인형을 흔들며 재운다)
아동B: 알았어요, 샐리, 칼 어디 있어?
아동A: 내가 쓰고 있어, (아동C에게서 다른 플라스틱 칼을 받아 건네준다.) 이거 ㅆ.
아동B: 아기 이름이 뭐야?
아동A: 르완다야.
아동B: 르완다, 저녁 다 됐다.
세 아동들과 교사는 함께 앉아 저녁식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아동 B와 아동 C는 아동 A와 교사와 질문과 대화를 나눈다. 아동 A는 고개를 끄덕이거나 한두 마디로 대답을 한다. 교사가 놀이에서 빠진 후에도 아동 A는 다른 아이들과 정리하는 시간까지 계속 놀이한다.
3)문해 놀이와 주제-환상 규칙
사회극적 놀이에서 아동들이 문해 관련 활동을 많이 한다는 발견으로 인해서 놀이전문가들은 문해 개입 전략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전략 중 하나는 교사가 문해적 소품들-책, 벽면 게시물, 기타 인쇄자료를 제공하고, 가작놀이 맥락에서 이 소품들에 대한 사용을 촉진하거나 모델링해주는 것이다. 이런 개입을 통해서 아동들의 자발적 문해 활동의 양과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아동들의
교사:(안고 있는 인형에게 엄마같은 목소리로)자, 얘야 저녁 먹자, 배고프지?(아기가 대답하는 듯 아기같은 목소리로) 나 지금 안먹어요 배 안 고파, 놀고싶어.
아동A: (어른스런 목소리로 교사의 인형에게) 안돼, 지금 먹어야 해, 그렇게 계속 안 먹으면 너는 병이 날 꺼야.
교사: (엄마같은 목소리로 다시)너네 집 아기는 어때? 배고프다고 하지 않니? 아기한테 물어봐.
아동A: (자기 인형에게) 너도 배고프지, 아가? (아기같은 목소리로 대답한다.) 아뇨. 우리 놀고 있다니까요. 저녁 안먹을 거예요.(아동,B에게 자신의 목소리로) 수잔, 우리 애들이 저녁 안 먹으려고 한다고 하자, 응?
아동B: 좋아, 우리 집 애도 밥 안 먹는다고 한다.
아동A:(걱정스러운 어른 목소리로) 얘가 왜 이러는 지 모르겠네요. 밥을 먹어야 하는데요.
아동B:(아동 A의 말에 응답하며) 맞아요, 밥을 계속 안 먹으면 텔레비전을 오늘 저녁에 못 보게 해야겠어요.
다른 아이가 인형을 안고 와서 다양한 톤의 목소리를 내며 놀이에 합류한다. 교사는 몇 분 후 놀이에서 빠져나온다.
사회극적 놀이의 또 다른 언어적 특징은 한 아동이 역할에 따라 다른 유형의 언어를 사용하는 “역할 바꾸기”이다. 부모 역할을 할 때는 성인의 어른스러운 목소리와 문장을 사용하다가 놀이 친구와 협상할 때는 자기 자신의 목소리를 낸다. 역할 바꾸기는 아동이 상황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해야 하는 학교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Lindfors, 1987) 친구와 이야기할 때, 구두 시험을 볼 때, 혹은 소리내어 읽기를 할 때 아동들은 각각 다른 톤의 목소리를 낸다.
교사는 이러한 사회극적 놀이에서 다른 인물에게 말하기와 역할놀이를 하면서 억양과 문장을 다양하게 사용하도록 고무함으로써 역할 바꾸기를 강화할 수 있다.
2세아 두 명이 극놀이영역에서 각자 설거지하고 전화받고 인형 옷 입히기를 하면서 놀이하고 있다. 서로 대화나 협동, 연합이 없는 병행놀이 상태이다. 설거지를 하는 유아에게 교사가 이야기한다.
교사: 레베카, 도와줄 사람이 없니? 음... 제이미가 도와주면 되겠는데,
아동A: 네, (둘러보고는)제이미가 도와주면 돼요.
교사: 도와달라고 해볼래? 그러면 도와줄 것 같은데.
아동A: 제이미, 이리 와서 설거지 좀 도와줘, 너무 많아서 도와줘야 해. 같이 설거지하자.
아동B: (전화를 받는 시늉을 한다. A의 목소리를 못들은 것 같다) 뭐라고요?
아동A: 이리 와, 제이미.
교사: 제이미는 듣지 못했어, 네가 다시 말해줘야겠는데, 그러면 들을 수 있을 거야.
아동A: 제이미, 와서 설거지 같이 안 할래? 부엌을 깨끗이 정리해야 해.
아동B: (관심없는 목소리로) 싫어.
교사: 제이미, 레베카에게 왜 도와줄 수 없는지 말해주겠니? 너도 굉장히 바쁜것 같은데
아동B: 레베카, 난 지금 전화해야 돼.
교사: 전화를 다하고 나면 레베카를 도와줄 수 있겠다.
아동 B는 전화를 끊고 아동 A를 도와준다. 두 아이는 설거지를 같이 하고 교사는 놀이에서 빠져나온다.
위의 예화에서 교사는 아동간의 대화를 촉진시켰다. 교사가 아동들에게 해준 말은 또래 관계를 형성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교사는 아동 A에게는 친구의 관심을 끌고 도움을 친절하게 청할 수 있도록, 아동 B에게는 거절의 이유를 설명할 수 있도록 촉진하였다. 이런 행동은 긍정적인 또래 관계 형성에 중요하다. (Dodge, 1983)
2) 사회적 상호작용
교사가 단지 개방적인 방법으로 함께 놀이해 주는 것만으로도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화할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수도 있다. 교사는 매력적인 놀이 친구이다. 교사가 놀이에 개입하면 아동들은 교사 주변으로 모여들게 된다. 사회성이 부족한 아동들도 교사와는 상호작용하기 쉽다. 또래로부터 무시되고 소외되는 아동들도 참여할 수 있고, 수줍음이 많은 아동들도 교사가 격려하여 주면 놀이에 쉽게 참여할 수 있다.
아래 예화는 교사의 놀이 개입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한 아이가 극놀이영역에서 인형 옷을 입혔다 벗겼다 하면서 혼자놀이를 하고 있다. 이 아이는 곁에서 놀이하고 있는 다른 몇 명의 아이들과 상호작용하거나 쳐다보지 않는다. 교사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개입한다.
교사: 아기가 배고프지 않을까? 음식을 만들어야겠는데.
아동A: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않고, 옷 입히기만을 계속 한다.)
교사: 아기가 배고프다고 하면, 선생님한테 말해 줘. 부엌에서 음식을 만들어 줄 수 있거든.
(부엌으로 가서 프라이팬과 접시를 꺼내와서 아동 A옆에서 놀이를 한다.)
아동A: (교사에게 다가가서) 아기가 배고프대요.
교사: 그래? 어떤 음식을 만들어 줄까? (접시 쪽으로 가서 주방용품들을 꺼낸다)
아동A: 아기 음식이요.
아동B: (교사에게 다가와서) 여기요, 제가 음식을 만들게요.
교사: 샐리와 같이 하지 않을래? 선생님은 아기를 안아주고 있을게. (인형을 흔들며 재운다)
아동B: 알았어요, 샐리, 칼 어디 있어?
아동A: 내가 쓰고 있어, (아동C에게서 다른 플라스틱 칼을 받아 건네준다.) 이거 ㅆ.
아동B: 아기 이름이 뭐야?
아동A: 르완다야.
아동B: 르완다, 저녁 다 됐다.
세 아동들과 교사는 함께 앉아 저녁식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아동 B와 아동 C는 아동 A와 교사와 질문과 대화를 나눈다. 아동 A는 고개를 끄덕이거나 한두 마디로 대답을 한다. 교사가 놀이에서 빠진 후에도 아동 A는 다른 아이들과 정리하는 시간까지 계속 놀이한다.
3)문해 놀이와 주제-환상 규칙
사회극적 놀이에서 아동들이 문해 관련 활동을 많이 한다는 발견으로 인해서 놀이전문가들은 문해 개입 전략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전략 중 하나는 교사가 문해적 소품들-책, 벽면 게시물, 기타 인쇄자료를 제공하고, 가작놀이 맥락에서 이 소품들에 대한 사용을 촉진하거나 모델링해주는 것이다. 이런 개입을 통해서 아동들의 자발적 문해 활동의 양과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아동들의
추천자료
[뇌성마비, 뇌성마비아동]뇌성마비의 정의, 뇌성마비의 원인, 뇌성마비의 분류, 뇌성마비의 ...
영유아 놀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정리하고 놀이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환경에...
영유아 놀이발달의 특징, 발달수준에 적합한 놀잇감,놀이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교사의 역...
영유아의 놀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요인
[놀이치료] 놀이 역사, 초기 놀이치료, 중기 놀이치료, 확장기 놀이치료, 현대 놀이치료
[놀이치료실, 놀이감] 놀이치료실의 시설, 놀이치료실 배치, 놀이치료실 설비, 놀이치료실 요...
[놀이치료] 놀이치료이론, 놀이의 심리치료적 요소, 아동의 놀이치료 기본기법(놀이치료방법)
[놀이치료] 놀이치료의 개념(정의)과 역사, 놀이치료의 실제(놀이치료도구, 놀이치료사, 놀이...
[놀이치료] 놀이치료의 개념(정의)과 효과, 놀이의 치료적 기능, 놀이치료자의 역할 및 자세(...
[게임놀이치료] 게임놀이치료의 정의(개념)와 준비(게임의 치료적 의미, 게임놀이치료자의 역...
놀이치료의 정의와 구성요소, 집단놀이치료, 모래상자놀이치료(모래놀이치료)
만3세 유아의 놀이발달 및 놀이특징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만3세 놀이] 만3세 유아의 놀이발달 및 놀이특징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