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라도방언의 음운적 특징
2. 전라도방언의 문법적 특징
3. 전라도방언의 어휘적 특징
2. 전라도방언의 문법적 특징
3. 전라도방언의 어휘적 특징
본문내용
간쟁이], 내복이 → [내뵈기], 금이 → [기미]
④전설모음화
어간 말의 치조음과 경구개음 아래에서 어미초의 후설 비원순 고모음 ‘으’가 어간 말 자음이 가지고 있는 [+전방성]에 동화되어 전설 비원순 고모음 ‘이’로 되는 것이다.
ex)늦으문(늦으면) → [느지문], 신으문(신으면) → [시니문]
닫으문(닫으면) → [다디문]
⑤모음축약
‘이’로 끝나는 2음절 이상의 어간과 ‘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통합하는 경우에, 어간말 ‘이’는 활음화하고, 그 다음에 ‘여’는 ‘에’로 축약한다. 옥구, 부안, 남원 방언에서는 이 축약의 과정에 j가 첨가 되는데, 이 것은 어간이 ‘이’로 끝난다는 것을 분명히 하려는 심리적 요인에서 말미암는 것으로 생각된다.
ex)느리어두 → [느례두], 마시어라 → [마셰라]
⑥어미의 두음 ‘으’의 탈락
개음절로 끝나는 어간 다음에 ‘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통합할 때에 어미의 ‘으’가 탈락 하는 것을 말한다.
ex)주으문(주으면) → [주문], 쏘으문(쏘으면) → [쏘문]
2. 문법적 특징
(1)조사
①주격조사 : ‘나’, ‘너’에 직접주격조사 ‘-가’가 실현된다.
ex)나가 그랬잖여(내가 그랬잖아)
②처격조사 : 처격조사 ‘-에’가 ‘-으’나 ‘-이’로 실현된다.
ex) 물통으다 여 놨어(물통에다 넣어 놓았어)
솥이다 끓이서 먹어(솥에다 끓여서 먹어)
③속격조사 : 속격조사 ‘-의’가 ‘-으’로 실현된다.
ex)손자으 자식잉개(손자의 자식이니까)
④비교격조사 : 비교격조사 ‘-처럼’이 ‘-마니(로)’, ‘-맹이(로)’로 실현된다.
ex)너마니로 좋아혀(너처럼 좋아해)
씨앗맹이로 생
④전설모음화
어간 말의 치조음과 경구개음 아래에서 어미초의 후설 비원순 고모음 ‘으’가 어간 말 자음이 가지고 있는 [+전방성]에 동화되어 전설 비원순 고모음 ‘이’로 되는 것이다.
ex)늦으문(늦으면) → [느지문], 신으문(신으면) → [시니문]
닫으문(닫으면) → [다디문]
⑤모음축약
‘이’로 끝나는 2음절 이상의 어간과 ‘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통합하는 경우에, 어간말 ‘이’는 활음화하고, 그 다음에 ‘여’는 ‘에’로 축약한다. 옥구, 부안, 남원 방언에서는 이 축약의 과정에 j가 첨가 되는데, 이 것은 어간이 ‘이’로 끝난다는 것을 분명히 하려는 심리적 요인에서 말미암는 것으로 생각된다.
ex)느리어두 → [느례두], 마시어라 → [마셰라]
⑥어미의 두음 ‘으’의 탈락
개음절로 끝나는 어간 다음에 ‘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통합할 때에 어미의 ‘으’가 탈락 하는 것을 말한다.
ex)주으문(주으면) → [주문], 쏘으문(쏘으면) → [쏘문]
2. 문법적 특징
(1)조사
①주격조사 : ‘나’, ‘너’에 직접주격조사 ‘-가’가 실현된다.
ex)나가 그랬잖여(내가 그랬잖아)
②처격조사 : 처격조사 ‘-에’가 ‘-으’나 ‘-이’로 실현된다.
ex) 물통으다 여 놨어(물통에다 넣어 놓았어)
솥이다 끓이서 먹어(솥에다 끓여서 먹어)
③속격조사 : 속격조사 ‘-의’가 ‘-으’로 실현된다.
ex)손자으 자식잉개(손자의 자식이니까)
④비교격조사 : 비교격조사 ‘-처럼’이 ‘-마니(로)’, ‘-맹이(로)’로 실현된다.
ex)너마니로 좋아혀(너처럼 좋아해)
씨앗맹이로 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