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방언과 방언학
1. 언어와 방언
2. 표준어와 방언
3. 방언연구 방법론
Ⅱ. 방언학의 전개
1. 방언의 특징
2. 방언연구의 의의
1. 언어와 방언
2. 표준어와 방언
3. 방언연구 방법론
Ⅱ. 방언학의 전개
1. 방언의 특징
2. 방언연구의 의의
본문내용
사]의 판정의문문에, ‘-고’는 [+의문사]의 설명의문문에 쓰인다.
추측이나 의지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겠-’은 ‘겄/끼/ㄹ끼/ㅁ란/-’ 등이 지역에 따라 달리 쓰인다.
(9) ㄱ. 오늘 중으로 갈끼다(오늘 중으로 가겠다).
ㄴ. 이제 고마 할란다(이제 그만 하겠다).
ㄷ. 도통 무신 말인지 몰따(도무지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그리고 경북 일부 방언에서는 중세국어의 잔재형인 의문법 어미 ‘-ㄹ다’가 현재도 쓰이고 있다.
3) 어휘
특이한 어휘로는 ‘호부래비(홀아비), 따뱅이/따바리(또아리), 고방(광), 뿌지레기/뿌시레기(보스러기), 끄지름/끄시름(그을음), 아베/아바이(아버지), 할배/할바이(할아버지), 저모래(글피), 여수/야수/예수/여시/여깽이/예깽이(여우), 항글레비(방아깨비), 조포(두부)’ 등이 쓰인다.
(6) 제주도방언
1) 음운
제주도방언의 모음체계는 /ㅣ, ㅔ, ㅐ, ㅡ, ㅓ, ㅏ, ㅜ, ㅗ, /의 9모음체계이다. 특히 육지에서는 소별된 ‘’가 이지역에서는 실현된다((馬), (肉), (딴, 他), 슴(心) 등). 또한 이 방언에서는 성조와 음장이 없다.
중세국어의 어두자음군은 통시적 변화를 거쳐 다른 지역에서는 대부분 경음으로 실현되고 있으나, 제주도방언에서는 오히려 유기음으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다.
(11) 중세국어제주도방언표준어
뛰다튀다뛰다
(雙)착짝
이와는 반대로 표준어에서는 유기음으로 실현되는 것이 이 방언에서는 오히려 경음으로 실현되는 경우도 있다(끄떼(끝에), 부떠(부터), 부뜨다(붙다) 등).
2) 문법
격조사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이한 격조사도 있다. 공동격으로 ‘-영/왕/광’이, 비교적으로 ‘-왕/광’이, 방향격으로 ‘-레/더레’가, 특수조사로 ‘-랑/이랑’ 등이 쓰인다.
(12) ㄱ. 느랑 이디 시라(너는 여기 있어라).
ㄴ. 나영 가게(나하고 가자).
ㄷ. 방광 떡광 어느게 조니(밥과 떡 중 어느게 좋으니).
ㄹ. 산더레 감써(산으로 갑시다).
이 방언의 종결어미 형태는 매우 특이한데, 서술법의 경우 어간에 시상선어말어미 ‘-ㅁ-(현재), -ㅅ/ㄴ-(과거), -ㄹ/ㅇ-(미래’가 결합되며, 그 다음에 청자존대를 표시하는 종결어미 ‘-쩌(평칭), -서(중칭), -수/쿠다(존칭)’이 붙는다.
(13) ㄱ. 는 어디 감디(너는 어디 가고 있니).
ㄴ. 난 집의 감수다(나는 집에 가고 있습니다).
(14) ㄱ. 애기 뭣 염시니(아기 뭣 하고 있니).
ㄴ. 애기 밥 먹엄수다(아기 밥 먹고 있습니다).
(15) ㄱ. 느도 갈다(너도 가겠니).
ㄴ. 예, 나도 가쿠다(예, 저도 가겠습니다).
(16) ㄱ. 늴 비 오그냐(내일 비 오겠느냐).
ㄴ. 늴 비 오구다(내일 비 오겠습니다).
위의 (13, 14, 15, 16ㄱ)은 손윗사람이 손아랫사람에게 묻는 경우이고, (13, 14, 15, 16ㄴ)은 그 반대의 경우인데, 이 때 ‘-우-’형어미인 ‘-수-’나 ‘-쿠-’가 실현됨을 알게 된다.
또 동작의 진행이나 완료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가 쓰인다.
(17) ㄱ. 나 올암쩌(나는 놀고 있다).
ㄴ. 가이 밥 먹엄시냐(그 아이 밥 먹고 있느냐).
(18) ㄱ. 느도 놀안디아(너도 놀았느냐).
ㄴ. 예, 밥 먹어수다(예, 밥 먹었습니다).
위의 (17)은 진행표시 선어말어미 ‘-암/엄’이 쓰인 경우이고, (18)은 완료표시 선어말어미 ‘-앗/엇-, -안/언-’이 쓰인 예이다.
3) 어휘
특이한 어휘는 매우 많은데, 예를 들자면 ‘비바리(처녀), 누네, 누리(하루살이), 밥주리/밤버리/물새(잠자리), 가우리/게우리(지렁이), 밤주리생이/좁생이/생이(참새), 동지/쟁이(호박), 대사니/곱대사니(마늘), 퇴역(잔디), 구덕(바구니), 덕세기(멍석), 황고지(무지개), 보재기(어부), 바릇(해산물), 안방질(다듬질), 파리춤(죽은깨), 동곳(고드름), 꽝(뼈), 북부기(허파), 게와/게우랑(호주머니), 몬득/구둠(먼지), 모살(모래), 공중이(귀뚜라미), 새기(달걀), 남초(담배), 강벼리, 간비역/멘주리(올챙이)’ 따위가 있다.
(7) 황해도방언
1) 음운
황해도방언의 모음체계는 /ㅣ, ㅔ, ㅐ, ㅚ, ㅡ, ㅓ, ㅏ, ㅜ, ㅗ /의 9모음체계로서, ‘ㅚ’는 수의적으로 이중모음으로 실현된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성조와 음장이 비변별적이나 극히 일부 지역(은율, 안악, 황지, 수안 등지)에서는 음장이 격조사의 결합에서만 실현된다. 움라우트 현상이나 ㄷ-구개음화는 전지역에 걸쳐 활발히 실현되지만, 파찰음(ㅅ, ㅈ, ㅊ, ㅆ, ㅉ) 뒤에서의 ‘ㅡ’의 전설모음화는 다른 지역과 달리 제약을 받지만 ‘ㅆ’의 경우는 다음 (19ㄴ)의 예처럼 ‘ㅡ’가 ‘ㅣ’로 바뀌어 실현된다.
(19) ㄱ. 아즉(아직), 음슥(음식), 즈금(지금), 아츰(아침)
ㄴ. 씨다(쓰다), 씰다(쓸다)
어간말자음군 ‘ㄹㄱ’‘은 ’ㄱ‘으로, ’ㄹㅂ’은 ’ㅂ‘으로 실현된다.
(20) 닥(닭), 밥따(밟다)
2) 문법
격조사 가운데 주격 조사로는 ‘-이/가’외에 ‘-라/리’ 등이 쓰인다.
(21) ㄱ. 누구라 갖다 놔서(누가 가져다 놓았어).
ㄴ. 누구리 찾아왓댄나(누가 찾아왔댔나).
공동격 조사로는 ‘-과/콰’가 쓰인다.
시상표시 선어말어미로 과거 표시 ‘-엇-’과 미래 표시 ‘-갓/가’ 등이 쓰이는데, 이들이 의문법 종결어미 ‘-니’와 결합하면 각각 ‘-갓니(~가이), -엇니(~어이)’로 실현된다.
(22) ㄱ. 인츰 가갓시꺄(곧 가겠습니까).
ㄴ. 언제 또 오가이(언제 또 오겠니).
의문법 어미 ‘-니꺄, -시꺄’가 실현된다(잇시꺄(있습니까)).
3) 어휘
특이한 어휘는 ‘불거지(노을), 티껍다(더럽다), 녹대(굴레), 찔게(반찬), 열(쓸개), 영쾡이(여우), 오래(이웃), 몽투리(뱀), 호감자(고구마)’ 등이 있다.
(8) 평안도방언
1) 음운
이 방언의 모음체계는 /ㅣ, ㅔ, ㅐ, ㅡ, ㅓ, ㅏ, ㅜ, ㅗ /의 8모음체계이다. 운소에 있어서는 후창 동부지역을 제외하고는 성조가 비변별적이며, 나머지 지역은 음장이 변별적이다.
치경음 ‘ㄷ, ㅌ’이 치음으로, 경구개음 ‘ㅈ, ㅊ’이 치경음으로 실현된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구개음화가 실현되지 않는다.
(23) 텬하(천하), 듕국(중국),
추측이나 의지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겠-’은 ‘겄/끼/ㄹ끼/ㅁ란/-’ 등이 지역에 따라 달리 쓰인다.
(9) ㄱ. 오늘 중으로 갈끼다(오늘 중으로 가겠다).
ㄴ. 이제 고마 할란다(이제 그만 하겠다).
ㄷ. 도통 무신 말인지 몰따(도무지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그리고 경북 일부 방언에서는 중세국어의 잔재형인 의문법 어미 ‘-ㄹ다’가 현재도 쓰이고 있다.
3) 어휘
특이한 어휘로는 ‘호부래비(홀아비), 따뱅이/따바리(또아리), 고방(광), 뿌지레기/뿌시레기(보스러기), 끄지름/끄시름(그을음), 아베/아바이(아버지), 할배/할바이(할아버지), 저모래(글피), 여수/야수/예수/여시/여깽이/예깽이(여우), 항글레비(방아깨비), 조포(두부)’ 등이 쓰인다.
(6) 제주도방언
1) 음운
제주도방언의 모음체계는 /ㅣ, ㅔ, ㅐ, ㅡ, ㅓ, ㅏ, ㅜ, ㅗ, /의 9모음체계이다. 특히 육지에서는 소별된 ‘’가 이지역에서는 실현된다((馬), (肉), (딴, 他), 슴(心) 등). 또한 이 방언에서는 성조와 음장이 없다.
중세국어의 어두자음군은 통시적 변화를 거쳐 다른 지역에서는 대부분 경음으로 실현되고 있으나, 제주도방언에서는 오히려 유기음으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다.
(11) 중세국어제주도방언표준어
뛰다튀다뛰다
(雙)착짝
이와는 반대로 표준어에서는 유기음으로 실현되는 것이 이 방언에서는 오히려 경음으로 실현되는 경우도 있다(끄떼(끝에), 부떠(부터), 부뜨다(붙다) 등).
2) 문법
격조사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이한 격조사도 있다. 공동격으로 ‘-영/왕/광’이, 비교적으로 ‘-왕/광’이, 방향격으로 ‘-레/더레’가, 특수조사로 ‘-랑/이랑’ 등이 쓰인다.
(12) ㄱ. 느랑 이디 시라(너는 여기 있어라).
ㄴ. 나영 가게(나하고 가자).
ㄷ. 방광 떡광 어느게 조니(밥과 떡 중 어느게 좋으니).
ㄹ. 산더레 감써(산으로 갑시다).
이 방언의 종결어미 형태는 매우 특이한데, 서술법의 경우 어간에 시상선어말어미 ‘-ㅁ-(현재), -ㅅ/ㄴ-(과거), -ㄹ/ㅇ-(미래’가 결합되며, 그 다음에 청자존대를 표시하는 종결어미 ‘-쩌(평칭), -서(중칭), -수/쿠다(존칭)’이 붙는다.
(13) ㄱ. 는 어디 감디(너는 어디 가고 있니).
ㄴ. 난 집의 감수다(나는 집에 가고 있습니다).
(14) ㄱ. 애기 뭣 염시니(아기 뭣 하고 있니).
ㄴ. 애기 밥 먹엄수다(아기 밥 먹고 있습니다).
(15) ㄱ. 느도 갈다(너도 가겠니).
ㄴ. 예, 나도 가쿠다(예, 저도 가겠습니다).
(16) ㄱ. 늴 비 오그냐(내일 비 오겠느냐).
ㄴ. 늴 비 오구다(내일 비 오겠습니다).
위의 (13, 14, 15, 16ㄱ)은 손윗사람이 손아랫사람에게 묻는 경우이고, (13, 14, 15, 16ㄴ)은 그 반대의 경우인데, 이 때 ‘-우-’형어미인 ‘-수-’나 ‘-쿠-’가 실현됨을 알게 된다.
또 동작의 진행이나 완료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가 쓰인다.
(17) ㄱ. 나 올암쩌(나는 놀고 있다).
ㄴ. 가이 밥 먹엄시냐(그 아이 밥 먹고 있느냐).
(18) ㄱ. 느도 놀안디아(너도 놀았느냐).
ㄴ. 예, 밥 먹어수다(예, 밥 먹었습니다).
위의 (17)은 진행표시 선어말어미 ‘-암/엄’이 쓰인 경우이고, (18)은 완료표시 선어말어미 ‘-앗/엇-, -안/언-’이 쓰인 예이다.
3) 어휘
특이한 어휘는 매우 많은데, 예를 들자면 ‘비바리(처녀), 누네, 누리(하루살이), 밥주리/밤버리/물새(잠자리), 가우리/게우리(지렁이), 밤주리생이/좁생이/생이(참새), 동지/쟁이(호박), 대사니/곱대사니(마늘), 퇴역(잔디), 구덕(바구니), 덕세기(멍석), 황고지(무지개), 보재기(어부), 바릇(해산물), 안방질(다듬질), 파리춤(죽은깨), 동곳(고드름), 꽝(뼈), 북부기(허파), 게와/게우랑(호주머니), 몬득/구둠(먼지), 모살(모래), 공중이(귀뚜라미), 새기(달걀), 남초(담배), 강벼리, 간비역/멘주리(올챙이)’ 따위가 있다.
(7) 황해도방언
1) 음운
황해도방언의 모음체계는 /ㅣ, ㅔ, ㅐ, ㅚ, ㅡ, ㅓ, ㅏ, ㅜ, ㅗ /의 9모음체계로서, ‘ㅚ’는 수의적으로 이중모음으로 실현된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성조와 음장이 비변별적이나 극히 일부 지역(은율, 안악, 황지, 수안 등지)에서는 음장이 격조사의 결합에서만 실현된다. 움라우트 현상이나 ㄷ-구개음화는 전지역에 걸쳐 활발히 실현되지만, 파찰음(ㅅ, ㅈ, ㅊ, ㅆ, ㅉ) 뒤에서의 ‘ㅡ’의 전설모음화는 다른 지역과 달리 제약을 받지만 ‘ㅆ’의 경우는 다음 (19ㄴ)의 예처럼 ‘ㅡ’가 ‘ㅣ’로 바뀌어 실현된다.
(19) ㄱ. 아즉(아직), 음슥(음식), 즈금(지금), 아츰(아침)
ㄴ. 씨다(쓰다), 씰다(쓸다)
어간말자음군 ‘ㄹㄱ’‘은 ’ㄱ‘으로, ’ㄹㅂ’은 ’ㅂ‘으로 실현된다.
(20) 닥(닭), 밥따(밟다)
2) 문법
격조사 가운데 주격 조사로는 ‘-이/가’외에 ‘-라/리’ 등이 쓰인다.
(21) ㄱ. 누구라 갖다 놔서(누가 가져다 놓았어).
ㄴ. 누구리 찾아왓댄나(누가 찾아왔댔나).
공동격 조사로는 ‘-과/콰’가 쓰인다.
시상표시 선어말어미로 과거 표시 ‘-엇-’과 미래 표시 ‘-갓/가’ 등이 쓰이는데, 이들이 의문법 종결어미 ‘-니’와 결합하면 각각 ‘-갓니(~가이), -엇니(~어이)’로 실현된다.
(22) ㄱ. 인츰 가갓시꺄(곧 가겠습니까).
ㄴ. 언제 또 오가이(언제 또 오겠니).
의문법 어미 ‘-니꺄, -시꺄’가 실현된다(잇시꺄(있습니까)).
3) 어휘
특이한 어휘는 ‘불거지(노을), 티껍다(더럽다), 녹대(굴레), 찔게(반찬), 열(쓸개), 영쾡이(여우), 오래(이웃), 몽투리(뱀), 호감자(고구마)’ 등이 있다.
(8) 평안도방언
1) 음운
이 방언의 모음체계는 /ㅣ, ㅔ, ㅐ, ㅡ, ㅓ, ㅏ, ㅜ, ㅗ /의 8모음체계이다. 운소에 있어서는 후창 동부지역을 제외하고는 성조가 비변별적이며, 나머지 지역은 음장이 변별적이다.
치경음 ‘ㄷ, ㅌ’이 치음으로, 경구개음 ‘ㅈ, ㅊ’이 치경음으로 실현된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구개음화가 실현되지 않는다.
(23) 텬하(천하), 듕국(중국),
추천자료
중국어-북경어의 음운체계
집단어의 이해
바울의 신학사상
지식 교육과 문법 교육
[음운][국어]국어 음운의 유형, 국어 음운의 의미타락, 국어 음운과 한어음운학, 국어 음운과...
[국어][사잇소리현상][문법][사잇소리현상 표기][사잇소리현상 문법범주]국어의 특질, 국어의...
노인학대의 이론적 이해 및 노인학대 대처방안
[번역][번역 역사][번역 필요성][번역문학자][번역사][만화번역][한자][독일 한국 비교]번역...
매체 언어론
이기문의 국어사 개설 정리
한국어 어휘의 특징과 어휘 분류 (어휘 능력과 어휘의 특징, 한국어 어휘의 특징, 어휘의 분류)
프랑스어권(Francophone / 佛語圈)을 분류하고 각 권역별로 특징을 제시하시오.
언어의이해=문자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하시오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지도안] 5-2. 둘째 마당. 2. 차근차근 알아보며 (718) (실제 언어활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