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함경도 방언의 음운적 특징
2. 함경도 방언의 문법적 특징
3. 함경도 방언의 어휘적 특징
4. 함경도 방언의 실제 예시
5. 육진 방언의 음운적 특징
6. 육진 방언의 문법적 특징
7. 육진 방언의 어휘적 특징
2. 함경도 방언의 문법적 특징
3. 함경도 방언의 어휘적 특징
4. 함경도 방언의 실제 예시
5. 육진 방언의 음운적 특징
6. 육진 방언의 문법적 특징
7. 육진 방언의 어휘적 특징
본문내용
수다/우다
-읍세, -기오,-소/오
-자
-지/지비/지배
(8) 청자 대우법
(9) 부정소 ‘아니’와 ‘못’이 복합 용언 중간에 끼여들어 부정법을 형성한다.
[보기] 조이 밥으 먹어 못 봤음메.(조 밥을 먹어 보지 못했 소.)
클아배/클아바이(할아버지), 큰아매/아마이/아매(할머니), 아배(아버지), 어매(어머니), 어시(부모), 맏아배/맏아바이(큰아버지), 맏아매/맏엄매/맏아마임(큰어머니), 나그네(남편), 안깐(아내), 아재비/아주바이(아저씨), 아지미/아주마이(아주머니,형수), 올찌세미(올케), 가스집(가시집, 처가)
3. 어휘적 특성
4. 실례
마이 다릅지.(많이 다르지.)
어디루 갑메?(어디로 가오?)
아아덜으느 잘 자라오?(아이들은 잘 자라오?)
빨리 갑세다(빨리 갑시다.)
집이
-읍세, -기오,-소/오
-자
-지/지비/지배
(8) 청자 대우법
(9) 부정소 ‘아니’와 ‘못’이 복합 용언 중간에 끼여들어 부정법을 형성한다.
[보기] 조이 밥으 먹어 못 봤음메.(조 밥을 먹어 보지 못했 소.)
클아배/클아바이(할아버지), 큰아매/아마이/아매(할머니), 아배(아버지), 어매(어머니), 어시(부모), 맏아배/맏아바이(큰아버지), 맏아매/맏엄매/맏아마임(큰어머니), 나그네(남편), 안깐(아내), 아재비/아주바이(아저씨), 아지미/아주마이(아주머니,형수), 올찌세미(올케), 가스집(가시집, 처가)
3. 어휘적 특성
4. 실례
마이 다릅지.(많이 다르지.)
어디루 갑메?(어디로 가오?)
아아덜으느 잘 자라오?(아이들은 잘 자라오?)
빨리 갑세다(빨리 갑시다.)
집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