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1. COPD의 정의
2. COPD의 발병률
3. COPD의 원인
4. COPD의 증상
5. COPD의 진단
6. COPD의 치료
Ⅱ. 일반적인 COPD대상자의 식단
1. COPD 대상자의 영양요법
2. 영양요법 목적
3. 영양요법 원칙
4. 1일 추천 식단
Ⅲ. 객혈 대상자 case
1. 입원한 대상자 자료
2. 환자 상태 조사
3. 검사 수치 ( 생화학적 / 혈액학적 )
Ⅳ. 객혈 대상자의 평가 및 식단
- 이영노 대상자
1. 불수의적 에너지 소비량
2. 생화학적 검사
3. 혈액학적 검사
4. 생리현상 및 기능 변화
5. 1일 추천 식단
1. COPD의 정의
2. COPD의 발병률
3. COPD의 원인
4. COPD의 증상
5. COPD의 진단
6. COPD의 치료
Ⅱ. 일반적인 COPD대상자의 식단
1. COPD 대상자의 영양요법
2. 영양요법 목적
3. 영양요법 원칙
4. 1일 추천 식단
Ⅲ. 객혈 대상자 case
1. 입원한 대상자 자료
2. 환자 상태 조사
3. 검사 수치 ( 생화학적 / 혈액학적 )
Ⅳ. 객혈 대상자의 평가 및 식단
- 이영노 대상자
1. 불수의적 에너지 소비량
2. 생화학적 검사
3. 혈액학적 검사
4. 생리현상 및 기능 변화
5. 1일 추천 식단
본문내용
혈액 검사(CBC)
- RBC: 후천적인 적혈구 증가증(Polycythemia) → 만성적인 동맥 저산소혈증에서 발생. hematocrit가 55%이상일 때.
- 적혈구 침강속도 검사(ESR): 감염과 관련하여 수치가 증가(기관지염시)
-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리트: 만성저산소증에 수반되는 이차적인 다혈구혈증과 병행하 여 증가를 나타낼 수 있음.
- Eoshinophil: 증가된 eosinophil은 천식과 같은 다른 진단의 가능성을 암시한다.
6) 객담검사
COPD 환자는 기침 후 소량의 객담을 배출하고 그 양은 점점 증가한다. 안정된 상태에 있는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객담의 양상은 점액성이지만, 감염이 동반될 경우 화농성 객담으로 변할 수 있다.
7) 심전도 검사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진단에는 도움이 되지는 않지만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악화시에는 부정맥이 동반 될 수 있는데 이 여부를 알 수 있다.
6.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치료
1) 약물 중재
Stage
Ⅰ(mild)
Ⅱ(moderate)
Ⅲ(severe)
Ⅳ(very severe)
FEV1
≥80%
50~80%
30~50%
FEV1<30% or FEV1<50%면서 만성호흡부전이나 우심부전 동반시
치료
필요시 속효성 기관지 확장제 투여
하나 이상의 지속성 기관지 확장제 투여. 호흡기 재활치료
악화가 반복되면 흡인용 steroid 투여.
만성호흡부전이면 장기 산소요법.
외과적 치료고려
① short-acting inhaled B2- agonists(속효성 기관지 확장제)
anticholinergics 치료에도 호전이 없을 때, stageⅠ(mild)에서 간헐적인 호흡곤란을 보 일 때 사용한다. albuterol, pibuterol, metaproterenol, terbutaline 등이 종류로 있다. B2-agonist +ipratropium은 부작용의 증가 없이 효과가 증가한다. 하지만 환자가 안정 되면 상승작용이 없어지므로 두 가지 중 한가지를 중단해야 한다.
② long-acting B2-agonist & long-acting theophylline(aminophylline)
급성증상에는 효과가 없지만 심가해짐에 따라 사용한다. short-acting agents보다 1일 2회 투여로 복용이 간편하다. agonist의 종류로는 salmeterol, formeterol등이 있다.
③ glucocorticoid
- inhaled glucocorticoid: Budesonide
COPD의 급성 악화가 1년에 2번이상 자주 발생시 투여한다. 증상과 운동능력을 호전 시키고, COPD의 급성 악화를 25~30%를 감소시킨다.
2) 비약물 중재
① 기관지 청결
- 가습기를 사용하여 흡기의 습도를 높여준다.
- 흡입기를 통하여 수분 흡입을 하는 분무요법을 실행한다.
- 기침을 자주하도록 권장한다.
② 산소 요법
- COPD 환자의 산소농도(FiO2)는 고농도 산소를 피하고 산소 포화도는 약 80% 정도, PaO2는 55~60mmHg정도로 유지한다.
③ 수분공급과 전해질 유지
- 갈증현상의 장애가 생기면 체내 수분이 부족하여 호흡기도가 건조해지고 분비물이 농 축된다. 그러므로 물은 하루 3000ml를 권장하여 수분과 전해질 균형있게 한다. 이뇨 제 사용시 저칼륨혈증, 강산증성 대사성 알칼리증, 심부정맥등이 나타난다. COPD와 심부전증의 균형 있는 치료가 필요하다.
④ 호흡법
- 입술 오므린 호흡(pursed lip breathing) : 입을 다물고 4~5초 동안 코로 숨을 들이마 신 후, 입을 오므린 채 흡기 시간보다 2배로 길게 천천히 내쉬는 호흡법이다. 기도가 조기에 폐쇄되는 것을 예방하고, PaCO2가 감소되고, PaO2와 SaO2가 증가된다.
- 복식 호흡: 횡경막을 상승시켜 호흡의 효율성을 높여준다. 호흡이 가빠지는 상황에서 자동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⑤ 기계적 환기
⑥ 영양섭취 증진 및 개선
- 체중 감소 : 호흡근의 크기와 강도 감소
- 부적절한 영양상태: 감염에 대한 저항력 감소
- 단백질 부족: 교질 삼투압 감소는 폐부종의 위험을 알림.
- 중재 : 고단백, 고지방 식이를 연식으로 소량씩 자주 섭취
: 비타민 보충 권장
: 고탄수화물 식이는 되도록 섭취하지 않는다; 고탄수화물로 얻은 칼로리가
COPD 환자의 PaCO2수준을 상승시키기 때문이다.
⑦ 정서적 지지
- 환자의 불안과 두려움을 감소시키고 환자보호를 위해 정서적으로 지지해야 한다.
- 환자가 숨이 찰때는 혼자 두지 않는다.
- 불안과 두려움에 대해 간호사나 가족들과 함께 이야기하도록 환자를 격려한다.
⑧ 호흡 재활 요법
-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 병원 입원 횟수와 입원 기간의 감소시키기 위해
-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의 향상위해
Ⅱ. 일반적인 COPD 대상자의 식단
1. COPD 대상자의 영양요법
COPD 대상자의 영양 결핍증은 호흡 근육의 기능장애, 면역 기능 감소로 인한 감염 등을 증가시켜 질병을 악화시키고, 인공 호흡기의 사용기간을 연장 시킨다. 따라서 적절한 영양 공급이 필요하다.
2. COPD 대상자의 영양요법의 목표
1) 체중 감소를 방지한다.
2) 비만인 경우 이상 체중을 유지한다.
3) 호흡 근육 양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4) 감염을 예방한다.
5) 인의 결핍을 방지한다.
6) 식사 시 피로를 최소화한다.
7)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3. COPD 대상자 영양요법의 원칙
-ASPEN 권장 식사지침
1) 하루 5-6회 소량씩 식사
2) 식사 전후 휴식취하고 피곤하지 않도록
3) 식사 시에 oxygen 을 사용
4) 식사 시에 음료를 피한다 (avoid distension)
5) 부드럽고 쉽게 먹을 수 있는 음식 선택
6) 식사 준비가 어려울 경우 영양밀도 높은 convenience foods 사용
7) 필요한 경우 염분제한
4. 1일 추천 식단
아침
간식
점심
간식
저녁
간식
밥 1공기
쇠고기 미역국
삼치 구이
애호박 나물
김치
그린
비아
1캔
밥 1공기
시금치 된장국
불고기
상추 겉절이
가자미 구이
김치
귤 1개
밥 1공기
대구지리
사태찜
오이생채
김치
우유 1개
간식종류 : 카스테라, 아이스크림, 케
- RBC: 후천적인 적혈구 증가증(Polycythemia) → 만성적인 동맥 저산소혈증에서 발생. hematocrit가 55%이상일 때.
- 적혈구 침강속도 검사(ESR): 감염과 관련하여 수치가 증가(기관지염시)
-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리트: 만성저산소증에 수반되는 이차적인 다혈구혈증과 병행하 여 증가를 나타낼 수 있음.
- Eoshinophil: 증가된 eosinophil은 천식과 같은 다른 진단의 가능성을 암시한다.
6) 객담검사
COPD 환자는 기침 후 소량의 객담을 배출하고 그 양은 점점 증가한다. 안정된 상태에 있는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객담의 양상은 점액성이지만, 감염이 동반될 경우 화농성 객담으로 변할 수 있다.
7) 심전도 검사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진단에는 도움이 되지는 않지만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악화시에는 부정맥이 동반 될 수 있는데 이 여부를 알 수 있다.
6.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치료
1) 약물 중재
Stage
Ⅰ(mild)
Ⅱ(moderate)
Ⅲ(severe)
Ⅳ(very severe)
FEV1
≥80%
50~80%
30~50%
FEV1<30% or FEV1<50%면서 만성호흡부전이나 우심부전 동반시
치료
필요시 속효성 기관지 확장제 투여
하나 이상의 지속성 기관지 확장제 투여. 호흡기 재활치료
악화가 반복되면 흡인용 steroid 투여.
만성호흡부전이면 장기 산소요법.
외과적 치료고려
① short-acting inhaled B2- agonists(속효성 기관지 확장제)
anticholinergics 치료에도 호전이 없을 때, stageⅠ(mild)에서 간헐적인 호흡곤란을 보 일 때 사용한다. albuterol, pibuterol, metaproterenol, terbutaline 등이 종류로 있다. B2-agonist +ipratropium은 부작용의 증가 없이 효과가 증가한다. 하지만 환자가 안정 되면 상승작용이 없어지므로 두 가지 중 한가지를 중단해야 한다.
② long-acting B2-agonist & long-acting theophylline(aminophylline)
급성증상에는 효과가 없지만 심가해짐에 따라 사용한다. short-acting agents보다 1일 2회 투여로 복용이 간편하다. agonist의 종류로는 salmeterol, formeterol등이 있다.
③ glucocorticoid
- inhaled glucocorticoid: Budesonide
COPD의 급성 악화가 1년에 2번이상 자주 발생시 투여한다. 증상과 운동능력을 호전 시키고, COPD의 급성 악화를 25~30%를 감소시킨다.
2) 비약물 중재
① 기관지 청결
- 가습기를 사용하여 흡기의 습도를 높여준다.
- 흡입기를 통하여 수분 흡입을 하는 분무요법을 실행한다.
- 기침을 자주하도록 권장한다.
② 산소 요법
- COPD 환자의 산소농도(FiO2)는 고농도 산소를 피하고 산소 포화도는 약 80% 정도, PaO2는 55~60mmHg정도로 유지한다.
③ 수분공급과 전해질 유지
- 갈증현상의 장애가 생기면 체내 수분이 부족하여 호흡기도가 건조해지고 분비물이 농 축된다. 그러므로 물은 하루 3000ml를 권장하여 수분과 전해질 균형있게 한다. 이뇨 제 사용시 저칼륨혈증, 강산증성 대사성 알칼리증, 심부정맥등이 나타난다. COPD와 심부전증의 균형 있는 치료가 필요하다.
④ 호흡법
- 입술 오므린 호흡(pursed lip breathing) : 입을 다물고 4~5초 동안 코로 숨을 들이마 신 후, 입을 오므린 채 흡기 시간보다 2배로 길게 천천히 내쉬는 호흡법이다. 기도가 조기에 폐쇄되는 것을 예방하고, PaCO2가 감소되고, PaO2와 SaO2가 증가된다.
- 복식 호흡: 횡경막을 상승시켜 호흡의 효율성을 높여준다. 호흡이 가빠지는 상황에서 자동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⑤ 기계적 환기
⑥ 영양섭취 증진 및 개선
- 체중 감소 : 호흡근의 크기와 강도 감소
- 부적절한 영양상태: 감염에 대한 저항력 감소
- 단백질 부족: 교질 삼투압 감소는 폐부종의 위험을 알림.
- 중재 : 고단백, 고지방 식이를 연식으로 소량씩 자주 섭취
: 비타민 보충 권장
: 고탄수화물 식이는 되도록 섭취하지 않는다; 고탄수화물로 얻은 칼로리가
COPD 환자의 PaCO2수준을 상승시키기 때문이다.
⑦ 정서적 지지
- 환자의 불안과 두려움을 감소시키고 환자보호를 위해 정서적으로 지지해야 한다.
- 환자가 숨이 찰때는 혼자 두지 않는다.
- 불안과 두려움에 대해 간호사나 가족들과 함께 이야기하도록 환자를 격려한다.
⑧ 호흡 재활 요법
-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 병원 입원 횟수와 입원 기간의 감소시키기 위해
-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의 향상위해
Ⅱ. 일반적인 COPD 대상자의 식단
1. COPD 대상자의 영양요법
COPD 대상자의 영양 결핍증은 호흡 근육의 기능장애, 면역 기능 감소로 인한 감염 등을 증가시켜 질병을 악화시키고, 인공 호흡기의 사용기간을 연장 시킨다. 따라서 적절한 영양 공급이 필요하다.
2. COPD 대상자의 영양요법의 목표
1) 체중 감소를 방지한다.
2) 비만인 경우 이상 체중을 유지한다.
3) 호흡 근육 양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4) 감염을 예방한다.
5) 인의 결핍을 방지한다.
6) 식사 시 피로를 최소화한다.
7)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3. COPD 대상자 영양요법의 원칙
-ASPEN 권장 식사지침
1) 하루 5-6회 소량씩 식사
2) 식사 전후 휴식취하고 피곤하지 않도록
3) 식사 시에 oxygen 을 사용
4) 식사 시에 음료를 피한다 (avoid distension)
5) 부드럽고 쉽게 먹을 수 있는 음식 선택
6) 식사 준비가 어려울 경우 영양밀도 높은 convenience foods 사용
7) 필요한 경우 염분제한
4. 1일 추천 식단
아침
간식
점심
간식
저녁
간식
밥 1공기
쇠고기 미역국
삼치 구이
애호박 나물
김치
그린
비아
1캔
밥 1공기
시금치 된장국
불고기
상추 겉절이
가자미 구이
김치
귤 1개
밥 1공기
대구지리
사태찜
오이생채
김치
우유 1개
간식종류 : 카스테라, 아이스크림, 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