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나리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플라나리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용액 3g/120ml이 다른 높은 두 용액보다 재생률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용액 4g/120ml과 5g/120ml의 재생률 차이는 그다지 많이 나지 않는다. 오히려 4g/120ml이 실험 처음과 끝의 차이를 비교하여 본다면 농도가 높은 5g/120ml 보다도 재생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래도 4g/120ml과 5g/120ml이 3g/120ml보다 재생률이 높은 것을 볼 때 농도와 재생률과의 관계는 어느 정도 있으나 절대적으로 심하게 있지는 않다고 하겠다.
절단 방법에 따른 플라나리아 재생률 실험
1.실험의 목적: 각기 다른 절단 방법에 의한 플라나리아의 재생률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 직접적 체험을 통해 자연의 생명력과 생명의 소중함을 알도록 한다.
2.준비물: 샬레, 수조, A4용지, 면도칼, 비타민 h수용액, 스포이드 , 붓, 계곡물, 비커, 호일, 마이크로미터
3.가정:
◎플라나리아의 몸 전체를 가로로 이등분하면 머리 쪽과 꼬리 쪽에서 각각 한 마리 씩 두 마리가 생길 것이다.
◎플라나리아를 머리에서 인두까지 세로로 자르면 머리가 두 개가 될 것이다.
◎플라나리아를 머리에서부터 인두까지 중 반 만 자르면 머리가 두 개가 될 것이다.
4.변인:1)통제 변인 : 빛, 먹이의 종류 및 양, 배양액, 온도
2)종속 변인 : 재생률
3)조작 변인 : 절단 방법
5.실험 방법:
1) 채취해 온 플라나리아를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해 본다.
2) 플라나리아를 물기 없는 나무판 위에 올려놓는다.
3) 플라나리아의 움직임이 적을 때, 메스로 절단 방법을 달리해 한 번에 자른다.
(머리, 종,횡 절단)
4) 자른 플라나리아를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길이를 측정한 다음 기록한다.
5) 자른 플라나리아를 샬레에 담는다.
6) 샬레에 동물의 간을 한 조각 잘라내어 넣는다.
7) 1시간이 지난 후 물을 새로이 갈아준다.
8) 각 샬레에 절단 방법을 적어 놓는다.
9) 샬레를 모두 호일로 감싸 보관한다.
10) 각 샬레를 동일한 장소에 놓고 매일 먹이와 물을 갈아주도록 한다.
11) 실험은 2주 동안 2일마다 진행하며 그 동안의 변화를 관찰한다.
※주의사항 :
1) 한 번에 자르지 못하고 상처가 났을 때, 그 상처부위에서 나온 물질이 물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 번에 자른다. (물기가 많으면 플라나리아가 많이 움직이므로 물기가 없는 것을 이용한다. A4종이를 사용해도 무관.)
2) 세로로 절단을 할 시에 절단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플라나리아의 움직임이 최대한 적을 때 자르도록 한다.
3) 같은 농도의 비타민 수용액을 동일한 양을 넣도록 한다.
6.사진첨부
7.결과 :
2. 절단 방법(횡[머리], 횡[중간], 종)

날짜
4/1
4/3
4/5
4/7
4/9
4/11
4/13
4/15
머리
2.3
2
1.68
2.32
3.2
3.5
3.5
3.52
중간
5.33
5.6
5.78
5.77
6.01
6.23
6.22
6.23
꼬리
1.2
Die
<2주 후 생존률>
온도
플라나리아의 생존률
가운데(횡
100
머리(횡)
87.5

75
8.고찰:
절단방법에 따라서 재생률과 생존률을 실험하였다. 가운데나 머리, 종으로 절단했을때 모두 75%이상의 높은 생존률을 보였다. 재생에 필요한 비오틴(비타민H)나 먹이 그리고 그에 알맞은 배양액과 온도를 유지했을 때 플라나리아는 절단방법에 상관없이 모두 잘 재생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플라나리아가 살지 못하고 죽은 이유는 절단할 때 올바르게 절단하지 못하였거나 다른 이상으로 죽은 것 같다. 재생률의 측정은 머리 부분이 가장 재생이 많이 되었고 종으로 자른 플라나리아는 잘못 절단한 결과로 이틀 만에 죽었다. 가운데 부분은 재생이 되긴 하였으니 크게 눈에 띄지는 않았다. 재생률은 플라나리아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이번 실험에서는 머리 부분이 가장 많이 재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실험에서는 재생률보다는 생존률을 알아봄으로 절단방법에 상관없이 모두 재생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배양액의 차이에 따른 플라나리아 재생률 실험
1.실험의 목적: 각기 다른 배양용액에서 플라나리아의 재생률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 직접적 체험을 통해 자연의 생명력과 생명의 소중함을 알도록 한다.
2.준비물: 샬레, 수조, A4용지, 면도칼, 비타민 h수용액, 스포이드, 붓, 계곡물, 수돗물, 비커, 호일, 마이크로미터
3.가정: 수돗물 보다는 플라나리아가 잘던 계곡물에서 플라나리아의 재생률이 더 높을 것이다.
4.변인: 1)통제 변인 : 빛, 먹이의 종류 및 양, 온도, 절단 방법
2)종속 변인 : 재생률
3)조작 변인 : 배양액
5.실험 방법:
1) 깨끗한 유리판에 플라나리아를 올려놓은 후 가운데 부분을 면도칼로 절단한다.(8마리)
2) 자른 플라나리아를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길이를 측정한 다음 기록한다.
3) 샬레에 플라나리아를 채집할 때 떠온 배양액을 3분의2 정도 담는다.
4) 샬레에 동물의 간을 한 조각 잘라내어 담는다.
5) 한 시간 후 물을 새로이 갈아준다.
6) 자른 플라나리아를 샬레에 나누어 담는다.
7) 각 샬레에 계곡물, 수돗물 스티커를 붙인다.
8) 빛을 차단하는 실험군의 샬레는 호일로 감싸 빛을 차단시킨다.
9) 각 샬레를 동일한 장소에 놓고 매일 먹이와 물을 갈아주도록 한다.
10) 실험은 2주 동안 2일마다 진행하며 그 동안의 변화를 관찰한다.
※주의사항 :
1) 한 번에 자르지 못하고 상처가 났을 때, 그 상처부위에서 나온 물질이 물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 번에 자른다. (물기가 많으면 플라나리아가 많이 움직이므로 물기가 없는 것을 이용한다. A4종이를 사용해도 무관.)
2) 같은 농도의 비타민 수용액을 동일한 양을 넣도록 한다.
3) 계곡물은 플라나리아가 기존에 살던 환경에서 채집해 온 물을 사용하도록 한다.
6.사진첨부:
7.결과:
날짜
4/1
4/3
4/5
4/7
4/9
4/11
4/13
4/15
수돗물(마리)
8
8
7
7
7
7
7
7
계곡물(마리)
8
7
7
6
6
6
5
5
<2주 후 변화>
온도
플라나리아의 생존률
계곡물
87.5
수돗물
62.5
8.문제점: 계곡물이 시간이 지나서 오염

키워드

  • 가격3,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8.05.26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1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