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사회 문화 환경 조사와 이해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자연조건

3. 인문환경

3. 맺음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원서비스와 연계하여 고객에 대한효율적인 건강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포탈서비스고객은 포털시스템 및 모바일휴대폰, PDA 등을 이용하여 개인 건강정보 파악과 관련된 개인의 웰빙 관련정보를 요청해 서비스 받는 영역을 말한다.○ HCN (Healthcare Collaborative Network)향후 다양한 차세대PC 관련 디바이스를 통한 정보 발생 시 표준화된 정보의 저장 및 제공을 위한 일종의 서비스 버스 영역이다. HCN을 통하여 대구의료원 정보시스템, 차세대PC 디바이스의 정보 표준화, 기타 정보와 데이터간의 연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고객에 대한 건강지원정보에 대한 요청을 전달하고 필요한 응답을 전달하는 매개체가 된다.

(5) 교육
1) 전통교육기관: 서당, 서원, 향교 등
최초의 서원인 연경서원과 서산서원이 있었으며, 현존하는 대구향교가 있다. 근대식 교육기관은 1899년(광무 3)에 사립 달성학교가 세워졌으며, 1900년 최초의 사립 초등학교인 대구희도심상학교가 설립되었다. 1905년에는 대구공립희도심상학교가 설립되었다. 1906년에는 최초의 중등학교인 계성중학교, 1907년에는 신명여자중학교가 설립되었다.
2) 근대교육기관: 유치원, 초`중`고`대
1999년 대구시내에는 대학원 42개, 대학(교) 10개, 전문대학 12개, 고등학교 74개, 중학교 105개, 초등학교 178개, 유치원 260개이다. 학생수는 68만 1327명, 학급당 학생수는 초등학교 40.3명, 중학교 43.1명, 고등학교 51.9명이다.
(6)기타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 대회
대회개요
대회기간 : 2011. 8. 27 ~ 9. 4(9일 정도)
참가규모 : 212개국 7,000명 정도(선수 2,000, 임원 1,500, 기자단 3,500)
경기종목 : 총 46개 종목(남자 24, 여자 22, 장애인 종목 별도)
개최장소 : 월드컵경기장 및 보조경기장, 시민운동장 등


유치목적







개최여건

검증 받은 국제대회 개최 능력
2002년 월드컵, 2003년 하계U대회의 성공적 개최경험 보유
IAAF로부터 1등급 인증을 받은 우수한 종합경기장 보유
2005대구국제육상경기대회의 성공적 개최
편리한 교통망, 쾌적한 숙박시설, 풍부한 관광자원
대구국제공항, 고속철도, 7개 고속도로망, 28개의 관광호텔 등
세계적 문화유산이 있는 경주, 합천, 안동 등의 관광 Base Town
범국가차원의 지원체계 구축
대구시정의 최우선 과제로 선정하여 유치활동 전개
유치 분위기 조성을 위한 정부 및 민간차원의 적극적인 지지
시민 92%가 대회유치를 희망하고 있고, 참여열기도 매우 높음

개최방향

최고 수준의 경기여건을 마련하여 대회목표 달성
6,000명 2000명이상의 선수단 및 임원을 수용할 수 있는 선수촌 건립
국가간 우의를 증진하고 지구촌 교류화합의 장 마련
세계 최 최고의 IT기술로 최상의 경기진행 및 관람서비스 제공
선수들이 최상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지원
한국의 전통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대회로 개최
고유의 전통 문화행사를 기획하여 문화축제의 장으로 승화
경주, 안동 등 관광도시와 연계하여 관광 한국의 이미지 고양
가장 경제적인 대회로 개최
신규 시설투자 없이 기존의 체육시설을 최대한 활용
국제대회 경험을 토대로 대회운영비 최소화, 다양한 수익사업 발굴
자원봉사자와 시민 서포터즈를 지속적으로 육성하여 최대한 활용
대회개최시 경제적 파급효과 (2007년 2월 대구경북연구원 용역자료)
고용창출
생산유발
부가가치
투자시설
관광수입
6,800명
4,075억원
1,765억원
2,306억원
225억원

대회성격
월드컵, 하계올림픽과 함께 세계3대 스포츠 이벤트의 하나
육상을 통한 세계인들의 우호 증진 및 경기력 향상에 기여
전 세계 212개국 이상이 대회에 참가하고, 65억명이 TV시청
<택리지>
조선시대 1751년(영조 27)에 실학자 청담(淸潭)
이중환(李重煥:1690~1756)이 저술한 지리서.《박종지(博綜誌)》라고도 한다.
필사본이며 1책으로 구성. 규장각에 소장. 저술 당시에는 책의 이름이 정해지지 않았으며 뒤에 이긍익(李肯翊)이 이를 《팔역복거지(八域卜居志)》라 하였는데, 약칭하여 《팔역지(八域志)》라는 이명(異名)이 생겼다. 《택리지》라는 이름도 후인들이 그 내용을 보고 붙인 이름인 듯하다.
-1690년(숙종 16년) 당대의 명문인 여주 이씨 집안에서 출생.
-24세 되던 해(1713년)에 증광시의 병과에 급제.
-34세 되던 해에 병조 정랑으로 있던 1723년(경종 3년), 목호룡 사건, 즉 신임사화의 주범이라는 혐의를 받고 체포됨.
-1726년 12월 증거불충분으로 외딴 섬으로 귀양을 감.
-1727년(영조 3년) 소론이 다시 집권하면서 10월 유배지에서 풀려남.지만,
:12월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유배신세가 됨. (사건에 연루된 처남은 결국 사형당함)나이 38세 되던 해였다. 이상이 그에 관한 공식 기록의 전부이다.
택리지는 1751년(62세) 첫여름 상순에 탈고한 것임.
대구언급부분
『이중환(李重煥)의 택리지(擇里誌)에서는
桐華則羅僧眞弘飛銀空中 銀止於比 逐建寺以居 地形廻合 屋宇宏傑 自古多名僧修行者
동화즉라승진홍비은공중 은지어비 축건사이거 지형회합 옥우굉걸 자고다명승수행자
해석 : 동화사 절은 신라시대 중 진홍대사가 은장(銀杖)을 하늘에 날려가 이곳에 떨어졌다. 그래서 이곳에 절을 지어 살았다. 땅의 형국은 좌우로 산맥이 에워싸 모여들었고 절 집은 매우 크고 웅장하다. 옛날부터 많은 이름 난 스님이 수도하였다.』
3. 맺음말
대구지역에는 오래전부터 숨쉬어온 다양한 문화유산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번 발표로 여러분들께서 대구가 살아온 모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면 합니다. 또한 앞으로 대구가 하려는 다양한 계획에 귀 기울여 주시어 함께 만들어 가는 대구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Ⅴ. 참고문헌
대구시 홈페이지
대구시사
www.naver.com
www.kstudy.com
www.dbpia.com
empas 한국학 지식
국사편찬위원회(www.nhcc.go.kr)

키워드

지리,   문화,   대구
  • 가격2,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8.09.04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82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