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 목 차 -
1. 수술실내관리
1) 수술실 Cleansing
2) 감염관리
3) Packaging
4) 수술기구 및 물품 소독법
5) 타부서와의 관계
2.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물품관리
1) 흡인기(suction)
2) 봉합사(suture materials)
3) 봉합방법
4) 봉합 바늘(Surgical Needles)
5) 촬영기(Cameras)
6) 냉동수술기구(Cryosurgical units)
7) 피부절제기(Dermatomes)
8) 전기외과기구(Electrosurgical units)
9) 내시경(Endoscope)
10) 수술용 현미경(Operating microscopes)
11) X선 기계(X-ray equipment)
3. 무균 조작법
1) 내과적 무균법 (Medical asepsis)
* 손씻기 Hand washing
* 마스크 사용법 Masking
* 가운 착용법 Gowning
* 장갑 착용법 Gloving
2) 외과적 무균법 (Surgical asepsis)
* 멸균 가운 (모자, 마스크 포함) 착용
* 멸균 장갑 착용
* 무균 영역 준비 및 멸균 물품 첨가하기
* 이동섭자 사용하기
* Scrub 간호사
* Circulating 간호사
4. 수술 전 간호
1) 간호사정
2) 신체검진
3) 혈액검사와 진단적 검사
4) 수술의 위험요인
* 연령
* 영양상태
* 질병
* 투약과 치료
* 생활양식
* 정서적 요인
5) 간호진단
6) 간호계획과 수행
* 생리적 준비
* 위장관계 준비
* 투약상태
* 피부준비
* 휴식과 위생
* 가족과 대상자의 심리적 준비
* 수술승낙서
* 수술 전 교육
* 수술 당일 아침 준비
5. 마취 종류, 마취제, 근육 이완제
1) 마취의 정의
2) 마취의 목적
3) 마취의 구성원리
4) 마취 전 간호
5)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
6) 부위마취(Regional anesthesia)
7) 부분 또는 국소마취(Local anestheasia)
8) 척수 마취(Spinal anestheasia)
9) 최면술을 이용한 마취
10) 저 체온법
11) 특수마취(Special anesthesia)
12) 마취 후 합병증과 간호
* 저혈압
* 기도폐쇄
* 기관지 경련
* 뇌수종
* Circulatory shock
* 심박정지
* 경련
* 출혈
6. 수술후 환자간호
1) 수술 직후 간호(회복실 간호)
2) 간호사정
3) 간호진단
4) 간호계획과 수행
5. 수술 후기 간호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과 수행
1. 수술실내관리
1) 수술실 Cleansing
2) 감염관리
3) Packaging
4) 수술기구 및 물품 소독법
5) 타부서와의 관계
2.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물품관리
1) 흡인기(suction)
2) 봉합사(suture materials)
3) 봉합방법
4) 봉합 바늘(Surgical Needles)
5) 촬영기(Cameras)
6) 냉동수술기구(Cryosurgical units)
7) 피부절제기(Dermatomes)
8) 전기외과기구(Electrosurgical units)
9) 내시경(Endoscope)
10) 수술용 현미경(Operating microscopes)
11) X선 기계(X-ray equipment)
3. 무균 조작법
1) 내과적 무균법 (Medical asepsis)
* 손씻기 Hand washing
* 마스크 사용법 Masking
* 가운 착용법 Gowning
* 장갑 착용법 Gloving
2) 외과적 무균법 (Surgical asepsis)
* 멸균 가운 (모자, 마스크 포함) 착용
* 멸균 장갑 착용
* 무균 영역 준비 및 멸균 물품 첨가하기
* 이동섭자 사용하기
* Scrub 간호사
* Circulating 간호사
4. 수술 전 간호
1) 간호사정
2) 신체검진
3) 혈액검사와 진단적 검사
4) 수술의 위험요인
* 연령
* 영양상태
* 질병
* 투약과 치료
* 생활양식
* 정서적 요인
5) 간호진단
6) 간호계획과 수행
* 생리적 준비
* 위장관계 준비
* 투약상태
* 피부준비
* 휴식과 위생
* 가족과 대상자의 심리적 준비
* 수술승낙서
* 수술 전 교육
* 수술 당일 아침 준비
5. 마취 종류, 마취제, 근육 이완제
1) 마취의 정의
2) 마취의 목적
3) 마취의 구성원리
4) 마취 전 간호
5)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
6) 부위마취(Regional anesthesia)
7) 부분 또는 국소마취(Local anestheasia)
8) 척수 마취(Spinal anestheasia)
9) 최면술을 이용한 마취
10) 저 체온법
11) 특수마취(Special anesthesia)
12) 마취 후 합병증과 간호
* 저혈압
* 기도폐쇄
* 기관지 경련
* 뇌수종
* Circulatory shock
* 심박정지
* 경련
* 출혈
6. 수술후 환자간호
1) 수술 직후 간호(회복실 간호)
2) 간호사정
3) 간호진단
4) 간호계획과 수행
5. 수술 후기 간호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과 수행
본문내용
게 수술이 무사히 끝났음을 알려주고 또한 대상자가 회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도록 한다.
⑪ 병실 이송
: 마취로부터 충분히 회복되면 회복실로부터 외과중환자실이나 외과계 병실로 이송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아래의 결과들이 나타나면 일반병실로 이동한다.
* 활력징후가 안정되고 호흡기계, 순환기계의 기능이 적절하다.
* 대상자가 깨어있거나 쉽게 깨울 수 있다.
* 국소마취 대상자가 마취 부위의 감각과 운동기능이 어느 정도 회복되었다.
5. 수술 후기 간호
: 수술 후기 대상자는 수술의 후유증으로부터 서서히 회복된다. 수술 후기 간호는 보통 외과병실이나 중환자실에서 이루어진다. 수술 후 회복의 마지막 단계는 대상자의 가정에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대상자에게 적절한 퇴원교육을 실시하여 가정에서의 회복이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1) 간호사정
① 호흡기 요구의 사정
: 폐환기는 수술하는 동안 수평적인 체위와 수술후의 안정에 의해 방해받는다. 점액성 분비물이 축적되어 폐렴, 기관지염, 호흡기 폐쇄, 무기폐 등이 야기된다. 대상자가 회복실에서 외과 병실로 돌아오면 호흡상태의 측정은 처음은 매 15분, 차츰 안정되면 매30분, 2시간, 4시간의 간격으로 측정한다. 폐청진과 타진으로 분비물의 정도를 파악한다. 호흡수와 리듬, 호흡의 질 그리고 피부색을 주의깊게 사정하여 합병증을 발견한다.
② 순환기 요구의 사정
: 대상자는 수술 후 회복기 동안 혈전성 정맥염, 정맥혈전증등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합병증의 에방과 조기발견을 위해 계속적으로 사정해야 한다.
③ 영양과 수분ㆍ전해질 요구의 사정
: 만약 대상자가 수술 후기에서도 금식상태라면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이 초래될 수 있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세밀히 관찰해야 하며 수분의 과다 또는 결핍의 징후를 확인한다. 부종, 소변 배설량, 정맥내 주입량에 대한 관찰과 기록은 매우 중요하다.
④ 배설요구의 사정
: 수술은 신체 수분의 배설을 방해한다. 부동은 위장관 기능을 저하시킨다. 또한 수술 자체의 스트레스와 마취 및 수술중 사용되는 약제의 억제효과 때문에 위장관 기능과 신장기능이 변화된다. 정상 연동운동 회복의 정확한 평가는 중요한 수술 후 간호이다. 장음의 감소 혹은 소실, 복부팽만, 가스배출 등에 대해 사정한다. 연동운동이 정상으로 될 때까지 대상자에게 가스가 나왔는지 자주 자주 확인하고 장음을 주기적으로 청진하도록 한다.
⑤ 안위와 안전요구의 사정
: 수술 후 통증을 호소할 수 있는데 대상자의 통증행위를 관찰하고 또한 통증을 자가 보고형으로 보고하도록 한다. 수술 후 통증이 있으면 대상자는 불안하고 불안정하다, 통증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해서 통증완화 중재법을 시행한다.
⑥ 운동과 감각요구의 사정
: 수술 후기 동안 간호사는 지속적으로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사정한다. 대상자 가 지남력이 있는지, 얼굴을 찌푸리는지, 질문이나 자극에 반응이 있는지, 과민반응을 나타내는지, 일정 부위에 감각이 없는지 등을 관찰한다.
⑦ 수술부위 사정
: 수술 후 염증, 감염, 환부 파열, 내장 탈출, 배액관의 막힘 등과 같은 합병증이 있는지 확인한다. 미열은 일반적으로 수술 후에 예상되며 정상적으로 2~3일 동안 유지된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열이 계속 되면 감염을 우려한다.
⑧ 사회 심리적 요구 사정
: 수술 후 신체상의 변화, 생활양식의 변화, 일시적 혹은 영구적인 행동의 변화는 대상자를 불안하게 한다. 간호사는 각 대상자에게 수술 후 사회심리적 영향을 사정할 의무가 있다.
2) 간호진단
① 기도개방 유지 불능
② 변비
③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④ 통증
⑤ 체액부족
⑥ 가스교환장애
⑦ 신체손상 위험성
⑧ 영양부족
⑨ 자아정체성 장애
⑩ 피부손상 위험성
3) 간호계획과 수행
① 호흡기 간호
: 마취에서 완전히 회복되면 대상자는 호흡하기 쉬운 자세를 취해야 한다. 침상 안정이 필요한 대상자는 될 수 있으면 좌위 혹은 반좌위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규칙적으로 체위를 변경시킨다.
② 순환기 간호
: 수술 후 흔히 생기는 순환기 문제는 혈전성 정맥염과 심근경색증이다. 이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혈관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피하고 부동, 다리를 포개는 것등을 피한다. 침상안정을 하고 있는 대상자는 자주 체위를 변경시키고 간단한 운동을 실시하도록 한다. 가능하다면 조기이상을 권장한다.
③ 영양 및 수분과 전해질 간호
: 수술 시 복부장기의 자극과 전신마취의 효과 때문에 소화기계 기능이 정상으로 돌아올때까지 금식한다. 이때에는 정맥을 통해 포도당, 식염수, 전해질 용액 등을 공급한다.
④ 배설간호
: 가스 방출이나 대변이 나오면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미리 교육시킨다. 가능한 한 빨리 움직이게 하고 수분과 고섬유성 식이를 권장하여 정상 배설기능을 유지시킨다.
⑤ 통증관리와 안위도모
: 수술 후 통증에 대한 민감성과 내성은 개인에 따라 다양하다. 통증과 통증에 대한 공포는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회복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통증을 완화시켜 주어야 한다. 관심전환, 이완술, 체위변경, 마사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술 후 통증을 완화시키고 필요하면 진통제를 투여한다.
⑥ 운동과 감각 간호
: 수술 후 조기이상이 중요하다. 대상자가 침대밖에 처음 서게 되면 어지럽거나 허약감을 느끼게 되며 체위성 저혈압이 나타난다. 활동을 시작하기 전 침대에 걸터앉아 다리를 흔드는 준비운동을 한다. 수술 후 운동량은 서서히 증가시킨다.
⑦ 환부간호
: 수술부위의 배액관이 삽입된 경우에는 배액관이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삼출물의양, 색깔, 냄새 등을 관찰한다. 처음 드레싱 교환은 외과의가 행하며 드레싱을 교환하는 동안 무균술을 유지해야 한다.
⑧ 사회 심리적 간호
: 대상자가 예후, 신체상의 변화, 생활양식의 변화 등에 대해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대상자에게 자가 간호활동을 허용하고 가능한 한 빨리 움직이게 하여 독립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⑨ 퇴원간호
: 퇴원 후 필요한 간호법을 대상자에게 적극적으로 교육하고 대상자나 가족에게 시범을 보이며 확실한 방법을 설명해 준다.
⑪ 병실 이송
: 마취로부터 충분히 회복되면 회복실로부터 외과중환자실이나 외과계 병실로 이송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아래의 결과들이 나타나면 일반병실로 이동한다.
* 활력징후가 안정되고 호흡기계, 순환기계의 기능이 적절하다.
* 대상자가 깨어있거나 쉽게 깨울 수 있다.
* 국소마취 대상자가 마취 부위의 감각과 운동기능이 어느 정도 회복되었다.
5. 수술 후기 간호
: 수술 후기 대상자는 수술의 후유증으로부터 서서히 회복된다. 수술 후기 간호는 보통 외과병실이나 중환자실에서 이루어진다. 수술 후 회복의 마지막 단계는 대상자의 가정에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대상자에게 적절한 퇴원교육을 실시하여 가정에서의 회복이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1) 간호사정
① 호흡기 요구의 사정
: 폐환기는 수술하는 동안 수평적인 체위와 수술후의 안정에 의해 방해받는다. 점액성 분비물이 축적되어 폐렴, 기관지염, 호흡기 폐쇄, 무기폐 등이 야기된다. 대상자가 회복실에서 외과 병실로 돌아오면 호흡상태의 측정은 처음은 매 15분, 차츰 안정되면 매30분, 2시간, 4시간의 간격으로 측정한다. 폐청진과 타진으로 분비물의 정도를 파악한다. 호흡수와 리듬, 호흡의 질 그리고 피부색을 주의깊게 사정하여 합병증을 발견한다.
② 순환기 요구의 사정
: 대상자는 수술 후 회복기 동안 혈전성 정맥염, 정맥혈전증등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합병증의 에방과 조기발견을 위해 계속적으로 사정해야 한다.
③ 영양과 수분ㆍ전해질 요구의 사정
: 만약 대상자가 수술 후기에서도 금식상태라면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이 초래될 수 있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세밀히 관찰해야 하며 수분의 과다 또는 결핍의 징후를 확인한다. 부종, 소변 배설량, 정맥내 주입량에 대한 관찰과 기록은 매우 중요하다.
④ 배설요구의 사정
: 수술은 신체 수분의 배설을 방해한다. 부동은 위장관 기능을 저하시킨다. 또한 수술 자체의 스트레스와 마취 및 수술중 사용되는 약제의 억제효과 때문에 위장관 기능과 신장기능이 변화된다. 정상 연동운동 회복의 정확한 평가는 중요한 수술 후 간호이다. 장음의 감소 혹은 소실, 복부팽만, 가스배출 등에 대해 사정한다. 연동운동이 정상으로 될 때까지 대상자에게 가스가 나왔는지 자주 자주 확인하고 장음을 주기적으로 청진하도록 한다.
⑤ 안위와 안전요구의 사정
: 수술 후 통증을 호소할 수 있는데 대상자의 통증행위를 관찰하고 또한 통증을 자가 보고형으로 보고하도록 한다. 수술 후 통증이 있으면 대상자는 불안하고 불안정하다, 통증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해서 통증완화 중재법을 시행한다.
⑥ 운동과 감각요구의 사정
: 수술 후기 동안 간호사는 지속적으로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사정한다. 대상자 가 지남력이 있는지, 얼굴을 찌푸리는지, 질문이나 자극에 반응이 있는지, 과민반응을 나타내는지, 일정 부위에 감각이 없는지 등을 관찰한다.
⑦ 수술부위 사정
: 수술 후 염증, 감염, 환부 파열, 내장 탈출, 배액관의 막힘 등과 같은 합병증이 있는지 확인한다. 미열은 일반적으로 수술 후에 예상되며 정상적으로 2~3일 동안 유지된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열이 계속 되면 감염을 우려한다.
⑧ 사회 심리적 요구 사정
: 수술 후 신체상의 변화, 생활양식의 변화, 일시적 혹은 영구적인 행동의 변화는 대상자를 불안하게 한다. 간호사는 각 대상자에게 수술 후 사회심리적 영향을 사정할 의무가 있다.
2) 간호진단
① 기도개방 유지 불능
② 변비
③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④ 통증
⑤ 체액부족
⑥ 가스교환장애
⑦ 신체손상 위험성
⑧ 영양부족
⑨ 자아정체성 장애
⑩ 피부손상 위험성
3) 간호계획과 수행
① 호흡기 간호
: 마취에서 완전히 회복되면 대상자는 호흡하기 쉬운 자세를 취해야 한다. 침상 안정이 필요한 대상자는 될 수 있으면 좌위 혹은 반좌위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규칙적으로 체위를 변경시킨다.
② 순환기 간호
: 수술 후 흔히 생기는 순환기 문제는 혈전성 정맥염과 심근경색증이다. 이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혈관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피하고 부동, 다리를 포개는 것등을 피한다. 침상안정을 하고 있는 대상자는 자주 체위를 변경시키고 간단한 운동을 실시하도록 한다. 가능하다면 조기이상을 권장한다.
③ 영양 및 수분과 전해질 간호
: 수술 시 복부장기의 자극과 전신마취의 효과 때문에 소화기계 기능이 정상으로 돌아올때까지 금식한다. 이때에는 정맥을 통해 포도당, 식염수, 전해질 용액 등을 공급한다.
④ 배설간호
: 가스 방출이나 대변이 나오면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미리 교육시킨다. 가능한 한 빨리 움직이게 하고 수분과 고섬유성 식이를 권장하여 정상 배설기능을 유지시킨다.
⑤ 통증관리와 안위도모
: 수술 후 통증에 대한 민감성과 내성은 개인에 따라 다양하다. 통증과 통증에 대한 공포는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회복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통증을 완화시켜 주어야 한다. 관심전환, 이완술, 체위변경, 마사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술 후 통증을 완화시키고 필요하면 진통제를 투여한다.
⑥ 운동과 감각 간호
: 수술 후 조기이상이 중요하다. 대상자가 침대밖에 처음 서게 되면 어지럽거나 허약감을 느끼게 되며 체위성 저혈압이 나타난다. 활동을 시작하기 전 침대에 걸터앉아 다리를 흔드는 준비운동을 한다. 수술 후 운동량은 서서히 증가시킨다.
⑦ 환부간호
: 수술부위의 배액관이 삽입된 경우에는 배액관이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삼출물의양, 색깔, 냄새 등을 관찰한다. 처음 드레싱 교환은 외과의가 행하며 드레싱을 교환하는 동안 무균술을 유지해야 한다.
⑧ 사회 심리적 간호
: 대상자가 예후, 신체상의 변화, 생활양식의 변화 등에 대해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대상자에게 자가 간호활동을 허용하고 가능한 한 빨리 움직이게 하여 독립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⑨ 퇴원간호
: 퇴원 후 필요한 간호법을 대상자에게 적극적으로 교육하고 대상자나 가족에게 시범을 보이며 확실한 방법을 설명해 준다.
추천자료
- 담낭절제술 담낭염 담석증 수술실 OR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 두부손상(두부외상)의 특징, 두부손상(두부외상)의 유형, 두부손상(두부외상)의 생체역학과 ...
- 수술전후 환자간호, 수술실 간호사 역할
- 혈관수술 환자의 수술전후 간호 및 간호중재와 환자교육사항에 대해서
- [아동간호][외상성장애 아동간호][미숙아][관절장애][세기관지염][심도자술][심장수술]외상성...
- 위절제술의 과정과 간호 - 수술 간호실습 (수술실 / 회복실).pptx
- <단순도뇨 와 수술후 간호> 단순도뇨(Nelaton catheterizatio)와 수술후 간호(Postoperative ...
- 2016 성인간호학 : 결장암으로 외과적수술과함께 장루형성술 받은 환자 수술직후 간호 회복기...
-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 수술방 실습 케이스스터디 a+ 실습일지 수술방기구 의학 OR
- 성인간호학 수술전후 간호
- 성인간호학) 두부수술종류와 간호
- 선천성 심장질환 아동과 가족간호1. 가족이 질병에 적응하도록 돕기 2. 질병에 대한 가족교육...
- 신경외과 병동 실습일지 (NS, GCS, 무의식, 두개 내 수술 종류, 수술전 수술후 간호, ICP 상...
- 퇴행성 관절염 / 수술실 사례관리 / 성인간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