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태의 변화를 찾아내고 적절한 시간내에 필수적인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때 사정해야 할 기준이 되는 것은 심전도 수행: 혈압, 심장 박동 및 체온 모니터: 환기 및 순환, 및 의식 수준의 지속적인 감시 등이다.
환자를 모니터하기 위하여 침습적인 방법과 비침습적인 방법 모두를 사용한다.
요소
방법
동맥혈압
혈압 커프와 청진기를 이용한 청진
동맥에 캐뉼라 삽입 후, 혈압 변환기에 연결하여 직접 측정
심박동수
수축기, 이완기 및 평균혈압과 심박동수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장비 이용
표재성동맥 촉진
심장 앞부분 혹은 식도 부근에 청진기를 대어 심음 청진
요골맥박에 적용된 도플러 모니터링 조사
지속적 관찰을 위한 심전도 이용
호흡상태
직접적으로 흉부 움직임을 관찰
흉부청진
체온
피부 표면의 체온을 관찰하기 위해 옷을 벗김
코인두,식도,방광 혹은 직장을 통한 심부체온 조사
소변량
맥박산소계측기
이산화탄소 분압 측정
유치도뇨관 삽입
동맥 내 산소헤모글로빈 포환농도를 측정하는 비침습적인 방법
호쾅,순환 혹은 대사상태의 변화를 관찰
bispectral indes monitor
마취 최면 상태를 모니터 하기 위해 뇌전도를 이용함
수술 후 간호
마취 회복기 간호
마취 회복기 간호 단계
1단계 마취회복기 간호에는 환자가 마취로부터 생리학적으로 안정 상태가 될 때까지의 간호가 강조된다. 이시기에 운동기능과 반사작용이 회복된다. 회복실 간호사는 호흡음, 호흡기능, 산소 포화도, 혈압, 심박동 의식수준, 근 긴장도를 사정해야 한다.
2단계 환자의 의식이 회복되기 시작할 때 시작된다. 이 시기의 환자는 기도가 유지되고, 상기도 반사가 회복되고, 통증이 조절되며, 심호흡기계와 신장계가 안정을 찾는 시기이다.
마취 후 회복을 사정하는 도구로는 Aldrete\'s criteria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Aldrete score에 따라 1단계를 생략하고 2단계 회복으로 옮기는 것을 결정한다.
3단계 간호는 23시간 관찰실이나 병실, 회복센터에서 이루어 진다. 이시기는 환자가 수술과 마취로부터 완전히 회복하여 일상생활능력이 회복하는 시기이다.
수술이 끝난후 수술실 의료진은 환자를 회복실로 옮긴다. 환자 이송시 환자의 호흡상태, 맥박, 피부색, 보온 및 노출방지, 낙상예방을 주의 한다.
회복실에서의 환자사정
1.활력징후
2.호흡
3.신경계
4.통증
5.통증조절 PCA
수술후 합병증
(1)호흡기계
1.무기폐
2.폐렴
3,폐색전증
(2)순환기계
1.정맥혈전증
(3)소화기계
1.딸꾹질
2.오심구토
3.복부팽만
4.마비성 장폐색증
5.스트레스성궤양
6.복부구획증후군
(4)요로계
1.요정체
2.요로감염
(5)수술상처
1,출혈
2.상처감염
3.열개창과 내장 돌출
수술 후 오심과 구토 경감 전략
항불안제 전투약
Protopol 마취제 사용
금기
-니트로스 옥사이드
-신경근육 차단 역전
-수술 중 마약사용
-저혈압
-과도한 구강호흡,구강흡인
적절한 정맥 수액
적절한 통증 관리
위장관 수술 시 비위관 사용
고위험군에게 예방적 항구토제 병합요법
참고문헌: 일곱째 판 성인간호학Ⅰ수문사
이때 사정해야 할 기준이 되는 것은 심전도 수행: 혈압, 심장 박동 및 체온 모니터: 환기 및 순환, 및 의식 수준의 지속적인 감시 등이다.
환자를 모니터하기 위하여 침습적인 방법과 비침습적인 방법 모두를 사용한다.
요소
방법
동맥혈압
혈압 커프와 청진기를 이용한 청진
동맥에 캐뉼라 삽입 후, 혈압 변환기에 연결하여 직접 측정
심박동수
수축기, 이완기 및 평균혈압과 심박동수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장비 이용
표재성동맥 촉진
심장 앞부분 혹은 식도 부근에 청진기를 대어 심음 청진
요골맥박에 적용된 도플러 모니터링 조사
지속적 관찰을 위한 심전도 이용
호흡상태
직접적으로 흉부 움직임을 관찰
흉부청진
체온
피부 표면의 체온을 관찰하기 위해 옷을 벗김
코인두,식도,방광 혹은 직장을 통한 심부체온 조사
소변량
맥박산소계측기
이산화탄소 분압 측정
유치도뇨관 삽입
동맥 내 산소헤모글로빈 포환농도를 측정하는 비침습적인 방법
호쾅,순환 혹은 대사상태의 변화를 관찰
bispectral indes monitor
마취 최면 상태를 모니터 하기 위해 뇌전도를 이용함
수술 후 간호
마취 회복기 간호
마취 회복기 간호 단계
1단계 마취회복기 간호에는 환자가 마취로부터 생리학적으로 안정 상태가 될 때까지의 간호가 강조된다. 이시기에 운동기능과 반사작용이 회복된다. 회복실 간호사는 호흡음, 호흡기능, 산소 포화도, 혈압, 심박동 의식수준, 근 긴장도를 사정해야 한다.
2단계 환자의 의식이 회복되기 시작할 때 시작된다. 이 시기의 환자는 기도가 유지되고, 상기도 반사가 회복되고, 통증이 조절되며, 심호흡기계와 신장계가 안정을 찾는 시기이다.
마취 후 회복을 사정하는 도구로는 Aldrete\'s criteria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Aldrete score에 따라 1단계를 생략하고 2단계 회복으로 옮기는 것을 결정한다.
3단계 간호는 23시간 관찰실이나 병실, 회복센터에서 이루어 진다. 이시기는 환자가 수술과 마취로부터 완전히 회복하여 일상생활능력이 회복하는 시기이다.
수술이 끝난후 수술실 의료진은 환자를 회복실로 옮긴다. 환자 이송시 환자의 호흡상태, 맥박, 피부색, 보온 및 노출방지, 낙상예방을 주의 한다.
회복실에서의 환자사정
1.활력징후
2.호흡
3.신경계
4.통증
5.통증조절 PCA
수술후 합병증
(1)호흡기계
1.무기폐
2.폐렴
3,폐색전증
(2)순환기계
1.정맥혈전증
(3)소화기계
1.딸꾹질
2.오심구토
3.복부팽만
4.마비성 장폐색증
5.스트레스성궤양
6.복부구획증후군
(4)요로계
1.요정체
2.요로감염
(5)수술상처
1,출혈
2.상처감염
3.열개창과 내장 돌출
수술 후 오심과 구토 경감 전략
항불안제 전투약
Protopol 마취제 사용
금기
-니트로스 옥사이드
-신경근육 차단 역전
-수술 중 마약사용
-저혈압
-과도한 구강호흡,구강흡인
적절한 정맥 수액
적절한 통증 관리
위장관 수술 시 비위관 사용
고위험군에게 예방적 항구토제 병합요법
참고문헌: 일곱째 판 성인간호학Ⅰ수문사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늑막염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외과병동 - Thyroid cancer case study
성인간호학 case (대동맥판협착증)
성인간호학실습-중환자실-폐렴,당뇨병
성인간호학-중환자실실습-폐렴(pneumonia),복부대동맥류 (AAA)
[성인간호학] 정형외과 케이스 스터디(다발성 골절)multiple fractures
성인간호학, NICU CASE STUDY 경막하출혈
[성인간호학] 췌장암 케이스 02 (pancreatic cancer)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간경변증 (Liver Cirrhosis, LC)
[성인간호학] [척추협착증]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Spinal stenosis] 케이스스터디(case...
[성인간호학실습] subdural Hemorrhage SDH 경막하 출혈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신경외과 케이스 스터디 : clonic hemifacial spasm(반얼굴경련)
[성인간호학] 외과 중환자실 케이스 스터디 : sigmoid colon cancer(S상 결장암)
[성인간호학 2017]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