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1-1. 히트상품이란 무엇인가
1-2. 히트상품의 조건
2. 한경희 스팀청소기 (한경희 생활과학)
2-1. 시장진입상황
2-2. 기술개발
2-3. 특허관련현황
2-4. 마케팅 전략
3. 청호나이스 비데(청호나이스)
3-1. 시장진입상황
3-2. 기술개발
3-3. 특허관련현황
3-4. 마케팅 전략
4. 하우젠 김치냉장고(삼성전자)
4-1. 시장진입상황
4-2. 기술개발
4-3. 특허관련현황
4-4. 마케팅 전략
5. 메가패스(KT)
5-1. 시장진입상황
5-2. 기술개발
5-3. 특허관련현황
5-4. 마케팅 전략
6. 네비게이션(아이나비)
6-1. 시장진입상황
6-2. 기술개발
6-3. 특허관련현황
6-4. 마케팅 전략
7. 결 론
1-1. 히트상품이란 무엇인가
1-2. 히트상품의 조건
2. 한경희 스팀청소기 (한경희 생활과학)
2-1. 시장진입상황
2-2. 기술개발
2-3. 특허관련현황
2-4. 마케팅 전략
3. 청호나이스 비데(청호나이스)
3-1. 시장진입상황
3-2. 기술개발
3-3. 특허관련현황
3-4. 마케팅 전략
4. 하우젠 김치냉장고(삼성전자)
4-1. 시장진입상황
4-2. 기술개발
4-3. 특허관련현황
4-4. 마케팅 전략
5. 메가패스(KT)
5-1. 시장진입상황
5-2. 기술개발
5-3. 특허관련현황
5-4. 마케팅 전략
6. 네비게이션(아이나비)
6-1. 시장진입상황
6-2. 기술개발
6-3. 특허관련현황
6-4. 마케팅 전략
7. 결 론
본문내용
하는 한편 후발 진입자 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팅크웨어는 아이나비를 중심으로 급팽창하는 내비게이션 시장에서 국내 1위 전문기업으로 소비자들에게 인식되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홈쇼핑을 활용해 홍보와 제품 보급에 나서는 한편 라디오 등을 통해 광고 판촉에도 주력하고 있다. 소비자 커뮤니티는 아이나비의 또 다른 강점이다.
현재 홈페이지 회원수만 45만명에 달한다. 아이나비에 친근감을 갖고 있는 이 회원들을 공략하기 위해 인터넷 커뮤니티들과도 연계하는 마케팅활동을 펼치고 있다.
아이나비는 국내 내비게이션 회사 가운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동시에 공급하는 유일한 기업인 팅크웨어의 대표 브랜드다.
7.결론
1. 상품경쟁력이란 : 히트상품을 계속 만들어 내는 원동력이다.
상품을 팔고 수익을 올리기만 하면 된다는 사고방식과 비교를 해보자. 상품을 팔아서 돈을 벌었지만 환경문제나 안전문제를 불러일으키게 되면 큰문제이다. 대전제가 되는 것은 고객이 즐겁게 사용하고 인간과 사회에 도움이 되는 상품이라는 것이다. 고객이 즐겁게 사용하기 때문에 팔리는 것이다. 팔려서 돈을 번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결과이다.
기업의 큰 책임은 가치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해 인간과 사회에 공헌하는 것이다. 이런 책임은 상품 개발을 담당하는 MD한사람 한사람에게 해당되는 것이다. 기업에게는 ‘팔아서 이익을 낸다’는 것이 기업을 존속시키고 인간과 사회에 공헌하는 것이며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개발의 원동력이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길지만 명확하게 정의 되는 것이다.
2. 제품과 상품은 다르다. -단순한 제품 만들기로는 히트 상품이 나오지 않는다.
제품과 상품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면 제품과 상품은 의미가 다르다.
제품은 물리적인 것 그 자체이며, 상품은 기능적으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더 깊이 들어가면 상품이란 고객에게 효용과 편익이며, 또 고객의 욕구와 욕망을 만족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상품은 고객의 효용(Benefit)이다. 서비스를 상품이라고 불리는 경우‘서비스 상품’이라고 말해도 ‘서비스 제품’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 서비스는 물품이 아니라 효용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객중심의 입장에서 좀더 강한 효용을 원하는 경우에는 제품이 아니라 상품이라고 말해야 한다.
3. 히트상품의 조건- ‘하고는 싶지만 할 수 없다’를 할수 있다‘로 하자..
히트상품의 조건은 무엇인가? 단적으로 말하면 많은 고객이 꼭 갖고 싶다고 생각하게 하는 것이다. 기본은 ‘좋은 것을, 싸고, 빠르게’다.
패스트푸드점의 ‘맛있고, 싸고, 빠르게’라는 캐치프레이즈 그 자체로 보아도 좋다. ‘가치, 가격, 스피드(Time)의 3요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미국에서도 ‘보다 좋게(best), 싸게(cheaper), 보다 빠르게(faster)\'라는 것이 상품의 개발의 기본이다.
충족되지 않은 강한 니즈(needs)를 만족 시키면 생활에 변화를 불러 일으키고 사회와 문화를 변화시킬수 있는 대히트 상품이 탄생된다.
대히트 상품은 그렇게 쉽게 태어나는 것이 아니다. 중간히트 상품과 작은 히트 상품을 계속 내놓다 보면 때로 대히트 연결된다. 작은 히트를 포함해 착실하게 히트 상품을 쌓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4. 상품개발의 흐름과 구조의 전체 모습
<일반적인 상품 흐름도>
‘고객과 시장’이 중요하다. 상품개발의 기본이 되는 고객과 시장의 마음과 구조를 이해한뒤에 그 ‘니즈(needs)를 탐색하고 파악하는 것이 출발점이다. 물론 여기에는 사회동향등의 환경분석도 포함된다.
니즈 탐색과 함께‘시즈(seeds)개발’도 한다. 고객과 시장을 목표로 자사뿐만 아니라 타사의 기술도 이용해서 신기술 연구개발을 진전시킨다. 각종 성과와 전세계의 모든 기술을 조사하고 동향을 예측해서 상품 개발을 활용한다.
자사의 ‘경영지원(돈, 노하우, 정보시스템)등을 파악하고 ’경쟁‘상대를 조사하고 분석한다. 이에 의해 자사의 가능성과 경쟁력을 인식하고 강점과 독자 능력을 명확히 밝혀낸다. 동시에 자사의 약점도 알아둘 필요가 있다.
니즈와 시즈, 또 자사의 강점을 토대로 당연히 있어야 할 ‘비전’과 전념해야할 ‘전략 테마’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전략 테마을 더욱더 좁혀서 ‘상품컨셉’을 창조한다. 고객 니즈를 만족 시킬수 있도록 고객이 원하는 상품가치를 ㅖ을 말로 표현해서 개발해야 할 상품 컨셉으로 정한다. 계속해서 그 상품 컨셉을 형태가 있는 상품으로 구체화하기 위하여 계획 단계인
‘상품기획’의 단계로 나아간다.
상품 컨셉의 창조부터 상품기획에 걸친 단계가 히트 상품의 큰 갈림길이 되는 하이라이트 부분이다. 상품 컨셉으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비전에 가까운 초기 단계일수록, 사업을 둘러싼 환경 조건에 얽매이지 않는 자세로 문제를 봐야 한다.
다음 단계는 ‘연구개발’이다. 기존 기술로 상품 컨셉을 실현 할수 없다면 상품개발이 가능한 미개술 기술과 상품 기획분석을 토대로 신기술을 개발한다. 그리고 ‘설계와 제조’를 거쳐 형태를 가진 상품으로 만들어 낸다.
5. 상품개발에 필요한 능력과 히트 상품을 만들어 내는 포인트
일반적으로 상품개발에 필요한 능력은 고객과 시장 이해력, 니즈 탐색력, 시즈 개발력, 상품 컨셉격, 상품 기획력, 그리고 설계, 제조력이다.
지금은 상품이 팔리거나 팔리진 않는 것이 거의 상품 컨셉에 의해 결정되는 경향이다. 즉, 상품개발에서 컨셉창조와 상품기획 분야의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진 것이다.
8.참고자료
1) http://www.ihaan.com/ (한경희 생활과학)
2) http://www.chungho.co.kr/ (청호나이스 비데)
3) http://www.hauzen.com/ (하우젠 김치냉장고)
4) http://www.megapass.net/(메가패스)
5) http://www.inavi.co.kr/ (아이나비)
6) 그 외 네이버 와 구글 등 인터넷 검색엔진 일부참조
7) 채수명, 히트상품 개발, 2007
8) 김해련, 히트 트렌드 전략, 2007
9) 김훈철, 히트상품의 성공비결, 2006
현재 홈페이지 회원수만 45만명에 달한다. 아이나비에 친근감을 갖고 있는 이 회원들을 공략하기 위해 인터넷 커뮤니티들과도 연계하는 마케팅활동을 펼치고 있다.
아이나비는 국내 내비게이션 회사 가운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동시에 공급하는 유일한 기업인 팅크웨어의 대표 브랜드다.
7.결론
1. 상품경쟁력이란 : 히트상품을 계속 만들어 내는 원동력이다.
상품을 팔고 수익을 올리기만 하면 된다는 사고방식과 비교를 해보자. 상품을 팔아서 돈을 벌었지만 환경문제나 안전문제를 불러일으키게 되면 큰문제이다. 대전제가 되는 것은 고객이 즐겁게 사용하고 인간과 사회에 도움이 되는 상품이라는 것이다. 고객이 즐겁게 사용하기 때문에 팔리는 것이다. 팔려서 돈을 번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결과이다.
기업의 큰 책임은 가치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해 인간과 사회에 공헌하는 것이다. 이런 책임은 상품 개발을 담당하는 MD한사람 한사람에게 해당되는 것이다. 기업에게는 ‘팔아서 이익을 낸다’는 것이 기업을 존속시키고 인간과 사회에 공헌하는 것이며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개발의 원동력이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길지만 명확하게 정의 되는 것이다.
2. 제품과 상품은 다르다. -단순한 제품 만들기로는 히트 상품이 나오지 않는다.
제품과 상품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면 제품과 상품은 의미가 다르다.
제품은 물리적인 것 그 자체이며, 상품은 기능적으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더 깊이 들어가면 상품이란 고객에게 효용과 편익이며, 또 고객의 욕구와 욕망을 만족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상품은 고객의 효용(Benefit)이다. 서비스를 상품이라고 불리는 경우‘서비스 상품’이라고 말해도 ‘서비스 제품’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 서비스는 물품이 아니라 효용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객중심의 입장에서 좀더 강한 효용을 원하는 경우에는 제품이 아니라 상품이라고 말해야 한다.
3. 히트상품의 조건- ‘하고는 싶지만 할 수 없다’를 할수 있다‘로 하자..
히트상품의 조건은 무엇인가? 단적으로 말하면 많은 고객이 꼭 갖고 싶다고 생각하게 하는 것이다. 기본은 ‘좋은 것을, 싸고, 빠르게’다.
패스트푸드점의 ‘맛있고, 싸고, 빠르게’라는 캐치프레이즈 그 자체로 보아도 좋다. ‘가치, 가격, 스피드(Time)의 3요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미국에서도 ‘보다 좋게(best), 싸게(cheaper), 보다 빠르게(faster)\'라는 것이 상품의 개발의 기본이다.
충족되지 않은 강한 니즈(needs)를 만족 시키면 생활에 변화를 불러 일으키고 사회와 문화를 변화시킬수 있는 대히트 상품이 탄생된다.
대히트 상품은 그렇게 쉽게 태어나는 것이 아니다. 중간히트 상품과 작은 히트 상품을 계속 내놓다 보면 때로 대히트 연결된다. 작은 히트를 포함해 착실하게 히트 상품을 쌓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4. 상품개발의 흐름과 구조의 전체 모습
<일반적인 상품 흐름도>
‘고객과 시장’이 중요하다. 상품개발의 기본이 되는 고객과 시장의 마음과 구조를 이해한뒤에 그 ‘니즈(needs)를 탐색하고 파악하는 것이 출발점이다. 물론 여기에는 사회동향등의 환경분석도 포함된다.
니즈 탐색과 함께‘시즈(seeds)개발’도 한다. 고객과 시장을 목표로 자사뿐만 아니라 타사의 기술도 이용해서 신기술 연구개발을 진전시킨다. 각종 성과와 전세계의 모든 기술을 조사하고 동향을 예측해서 상품 개발을 활용한다.
자사의 ‘경영지원(돈, 노하우, 정보시스템)등을 파악하고 ’경쟁‘상대를 조사하고 분석한다. 이에 의해 자사의 가능성과 경쟁력을 인식하고 강점과 독자 능력을 명확히 밝혀낸다. 동시에 자사의 약점도 알아둘 필요가 있다.
니즈와 시즈, 또 자사의 강점을 토대로 당연히 있어야 할 ‘비전’과 전념해야할 ‘전략 테마’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전략 테마을 더욱더 좁혀서 ‘상품컨셉’을 창조한다. 고객 니즈를 만족 시킬수 있도록 고객이 원하는 상품가치를 ㅖ을 말로 표현해서 개발해야 할 상품 컨셉으로 정한다. 계속해서 그 상품 컨셉을 형태가 있는 상품으로 구체화하기 위하여 계획 단계인
‘상품기획’의 단계로 나아간다.
상품 컨셉의 창조부터 상품기획에 걸친 단계가 히트 상품의 큰 갈림길이 되는 하이라이트 부분이다. 상품 컨셉으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비전에 가까운 초기 단계일수록, 사업을 둘러싼 환경 조건에 얽매이지 않는 자세로 문제를 봐야 한다.
다음 단계는 ‘연구개발’이다. 기존 기술로 상품 컨셉을 실현 할수 없다면 상품개발이 가능한 미개술 기술과 상품 기획분석을 토대로 신기술을 개발한다. 그리고 ‘설계와 제조’를 거쳐 형태를 가진 상품으로 만들어 낸다.
5. 상품개발에 필요한 능력과 히트 상품을 만들어 내는 포인트
일반적으로 상품개발에 필요한 능력은 고객과 시장 이해력, 니즈 탐색력, 시즈 개발력, 상품 컨셉격, 상품 기획력, 그리고 설계, 제조력이다.
지금은 상품이 팔리거나 팔리진 않는 것이 거의 상품 컨셉에 의해 결정되는 경향이다. 즉, 상품개발에서 컨셉창조와 상품기획 분야의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진 것이다.
8.참고자료
1) http://www.ihaan.com/ (한경희 생활과학)
2) http://www.chungho.co.kr/ (청호나이스 비데)
3) http://www.hauzen.com/ (하우젠 김치냉장고)
4) http://www.megapass.net/(메가패스)
5) http://www.inavi.co.kr/ (아이나비)
6) 그 외 네이버 와 구글 등 인터넷 검색엔진 일부참조
7) 채수명, 히트상품 개발, 2007
8) 김해련, 히트 트렌드 전략, 2007
9) 김훈철, 히트상품의 성공비결, 20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