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과 폐기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운동과 폐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호흡계의 구조와 기능

2. 폐환기
1) 흡 기
2) 호 기

3. 폐용적과 폐용량
1) 폐 용 적
2) 폐 용 량

4. 운동과 폐기능
1) 안정시에서 운동시로의 전환
2) 고온에서의 운동
3) 운동과 환기반응
4) 운동에 대한 호흡 반응
5) 호흡과 경기력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 온도차이에 의해서 동맥혈내에서의 이산화톤소 분압은 거의 차이가 없게 나타나는데 이것은 더운지역에서의 운동시 환기량의 증가는 호흡 빈도수 및 사강의 환기 증가에 의해 나타나는 것을 보여준다.
3) 운동과 환기반응
운동트레이닝은 폐의 구조를 바꾸지는 못하지만, 지구력 훈련의 중 고강도 최대하 운동 중에에 환기를 감소시킨다.
그림을 보면 지속적 운동 후 환기량이 훈련 전에 비해 20-30% 감소된 것으로 나타나는데 트레이닝이 운동 중 환기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는 기전은 확실한 답은 알 수 없다고하나, 신체골격근의 유산소능력의 변화에 트레이닝이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 이러한 트레이닝에 의한 변화로 젖산생성이 감소하고 아마도 호흡을 촉진하는 활동근의 구심성 피드백이 감소하는 것 같다.
4) 운동에 대한 호흡반응
운동에 대한 호흡의 반응은 지속적인 운동에 의해 트레이닝된 사람과 운동을 하지 않는 비트레이닝된 사람과의 차이가 나타난다.
고도로 트레이닝된 사람은 트레이닝되지 않은 사람과 고강도의 운동을 수행할 때 동맥혈의 산소분압에 있어서 확연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트레이닝 되어있지 않은 일반 피험자는 동맥내 산소의 분압을 안정사태의 범위내로 유지 하지만 고도로 트레이닝된 사람은 최대강도의 운동근처에서 산소분압을 30∼40mmHg 정도 감소시킨다. 이러한 동맥혈내의 산소분압의 하강은 심한 폐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운동 중에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고도로 트레이닝된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각각 개인마다 차이가 나타난다.
5) 호흡과 경기력
그림에 있는 코 반창코는 미국의 미식축구 경기나 우리나라에서 야구경기 중 몇 번 선수들이 코에 붙이고 나온 적이 있었다. 이 반창고의 경우 콧구멍을 계속 열려있게 하여 코의 기도저항을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초기 이론적으로 폐로 들어가는 공기의 흐름이 콧구멍이 계속 열려있기 때문에 증가된다고 하였다. 이 반창고는 무호흡 수면환자를 위해 만들어 졌지만, 이 반창고가 운동수행력을 개선시킨다는 일부 한정된 주장에 선수가 환동근에 대한 산소운반의 증가와 폐로의 공기흐름의 증가로 운동수행력이 증가된다고 믿어 사용이 급증하였지만, 최근에 나오는 논문이나 각종 보고에 의해 코 반창고가 운동 중 폐호흡 증가와 관련이 없다고 보고 되고 있으며, 이러한 코 반창고는 직접적은 호흡의 증가보다는 선수의 심리적인 효과로 나타나고 있다.
참고 문헌
정성태 외 10명. Power 운동생리학. 라이프사이언스. 2003.
김복현 외 3명. 운동생리학 플러스. 대경북스. 2004.
운동사 자격연수 강의록 제2권. 개인운동. 대한운동사회. 2007.
http://www.nursediary.net/BOARD/DATA_board/mk3731166662336.ppt
http://www.insunet.co.kr/linkskin/linkskin_b_med.asp?sn=2407
http://www.kafm.or.kr/event/2006f_abstract/112-117JkafmH-030.pdf

키워드

폐기능,   운동,   흡기,   호기,   폐용적,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6.01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0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