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
II. 위장관 호르몬, 소화효소의 종류와 기능
III. 영양장애 대상자의 간호사정 자료(주·객관적 자료, 진단검사)
IV. 위, 십이지장 궤양환자의 약물요법
V. 위장관 삽관의 적응증과 간호
VI. 소화기계의 주요 질환 설명
II. 위장관 호르몬, 소화효소의 종류와 기능
III. 영양장애 대상자의 간호사정 자료(주·객관적 자료, 진단검사)
IV. 위, 십이지장 궤양환자의 약물요법
V. 위장관 삽관의 적응증과 간호
VI. 소화기계의 주요 질환 설명
본문내용
)
(2) 긴 비장관- small intestine에 삽입
- Miller-Abbort tube(M-A tube)
- Cantor tube
- Harris tube
3. 관의 삽입
- NEX지점: 코끝-귓볼, 귓볼-검상돌기 까지이 길이
- 관의 위치 확인 방법
① 위내용물 흡인
② 주사기로 관에 공기 10cc 정도 주입 후 청진
③ Tube끝을 물 속에 넣으면 물의 요동이 없으면 위로 들어감
4. 흡인 - 복부팽만 있을 때, 축적된 가스와 액체가 제거되게 해야 함
Tube 막혔을때 ; 체위변경, 튜브 약간 움직여 봄, 생리식염수로 세척
5. 간호중재
① 구강간호
② 구강내 건조 방지
- 타액분비 자극: 껌, 사탕, 얼음조각
- 인후통시 : 구강함수, 항담정제
③ 후두의 윤상연골자극과 후두손상사정
④ 배액물질의 색깔, 냄새, 양 관찰
⑤ 수분과 전해질 손실, 대사성 알칼리증
⑥ 위장관 세척시 등장액인 생리식염수 사용(물세척 : 전해실 손실 증가)
II. 영양보조
1. enteral feeding
- 비위관(nasogastric tube)
- 위루관(gastrostomy tube)
- 비십이지장관(nasoduodenal tube)
- 공장루관(jejunostomy tube)
◈ 간호
(1) 감염예방 -가장 흔한 합병증 무기폐와 폐렴
- 부적응 증상 관찰 : 복부경련, 설사, N/V, 흡인, 당뇨, 발한, 불안 등
- 위내용물 pH 측정
- 위의 잔여량 측정
(2) 체액관리 - 수분손실 관찰, 피부긴장도, 활력징후, I/O, 점막의 습도, 의식상태, 발열, 지남력 등
(3) 정상적인 장배설 - 변비와 설사 관찰
(4) 치료식이의 효율적 관리 - 급식물 보관법, 주입기구관리, 튜브의 개방성, 합병증 등
2. 총 비경구 영양 (Total Parenteral Nutrition:TPN)
- 장의 흡수부진과 같은 허약성 질환이 있는 대상자
- 적절한 양의 영양분을 섭취할 수 없는 대상자
- 위암이나 암으로 인한 Cachexia가 있는 대상자
- 항암제 투여나 방사선 요법을 받고 잇는 대상자
- 신경성 식욕부진증이 있는 대상자
- 과도한 대사요구가 있는 대상자(심한화상, 과도한 상처배액)
◈ 합병증
- 기흉, 혈흉
- 상완신경총이나 동맥손상
- 공기색전증
- 혈전증과 감염 : 세균성장의 배지 역할(캔디다. 패혈증) 용액과 주입물품 24시간마다 교환
- 고혈당증 : TPN주입 속도가 포도당 대사보다 빠를 때
- 저혈당증 : 갑자기 TPN주입을 멈출 때
- 전해질 불균형 : I/O, 체중 측정, RFT등 혈액검사
VI. 소화기계의 주요 질환 설명
I. 소화성 궤양(peptic ulcer) - Gastric ulcer. Duodenal ulcer
acid pepsin 에 의해 십이 지장 근위부,식도 ,위를 포함한 상부 위장관에 궤양이 형성된 질환
1. 위궤양Gastric ulcer
위점막이 펩신 위산의 작그에의해 부식되어 궤양이 생긴 것.
원인 - 위점막의 방어벽이 파괴될 때 잘못된 식사습관, 유전적 소인, 과다한 약물 복용, 과다한 알콜 섭취, 흡연,위 비우기 시간 지연, 십이 지장 내용이 역류 → 위점막의 방어 기전을 변화 → 위점막에 직접적인 독소 역할로서 궤양을 일으킴.
2. 십이지장 궤양Duodenal ulcer
십이지장 근위부 점막에 궤양이 형성된 것을 말한다.
위의 유문부에서 1.5cm 이내에 해당되는 십이지장 판막에 주로발생
원인 - 위산과다 분비 위 비우기 시간이 일반인보다 빨라 → 염기 분비에 의한 완충작요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
(1) 병태 생리
공격요인(acid, pepsin)과 점막방어의 불균형.
(2) 증상 증후
위궤양의 통증 - 음식 섭취이후 나타 나고 음식 섭취로 완화 되지 않으며 통증 때문에 잠에서 깨지는 않으나, 등으로 방사. 메스꺼움, 구토. 트림 팽만,소화 불량.
십이지장 궤양 - 공복시 통증, 야간성 통증, 등으로 방사. 트림, 팽만, 소화불량.
(3) 건강 사정
- 문진 : 증후 약물 복용, 직업 ,스트레스, 식사 습관,알콜 섭취,흡연
- 신체 검진 : 복부 검진에서 압통 ,복부 강직을 촉진
- UGI 식도 위경검사 : UGI - 궤양을 발견
식도위경 검사 - 미란 협착을 확인.
(4) 치료
- 치료의 목표 : 증상완화, 합병증을 방지.
① 내과치료 : 식이요법, 약물요법, 풍선도관 확장술
② 외과적 치료 : 수술 (위절제술, 미주신경차단술, 유문형성술)
(5) 간호 진단, 계획 및 간호 중재
1) 간호진단
- 위나 십이지장 점막 궤양과 관련된 통증
- 증상 궤양치료법,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지식 부족
- 궤양치료 합병증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2) 계획
간호 목표
불안 통증 감소 ,건강 유지 능력이 증대 된다.
진단적 간호 계획
통증의 특성을 자주 사정한다.
활력증후 복부 탄력성 설사 변지 대변 색깔을 자주 사정한다.
치료적 교육적 간호 계획
약물 요법으로 치료를 시작한다.
식이 요법에 대해 환자 가족에게 설명한다.
간호 목표
합병증 예방, 건강 유지 능력을 증진한다.
진단적 간호 계획
활력 증후 ,요분석,혈액 검사, 심전도,감염검사. 혈액형 검사를 실시 한다.
식사 불안의 원인 및 수준, 위절제술에 대한 지식 수준, 가족 지지를 사정
치료적 교육적 간호 계획
수술전 검사의 목적 종류를 설명.
수술 당일에는 복부 팽만 예방을 위해 비위관을 삽입, 활력 증후, 손톱색깔을 지우고, 배뇨후 수술전 투약을 근육주사.
수술전 충분한 수면, 고영양식이를 하도록 격려 한다.
위 절제술 후 간호
수술실에서 돌아오면 의식상태, 정맥선, 부착된 기구의 종류 및 기능상태를 사정한다.
환자의 이름을 부르거나 몸을 흔들거나 자극을 주어 깨어나도록 유도한다.
활역증후, 폐음, 드레싱 교환때 출혈 감염 증후를 관찰한다.
심호흡 조기 기동 구강 간호를 실시한다.
섭취량과 배설량 혈청 전해질 수준을 자주 측정하고 적당량의 수분과 전해질을 정맥으로 보충
마약성 진통제는 매 시간 간격으로 투여 하고 약물효과도 관찰한다.
수술후 2~3일 후에는 장음을 측정하고 정상으로 회복되면 구강 섭취를 한다.
합병증의 종류, 증상
(2) 긴 비장관- small intestine에 삽입
- Miller-Abbort tube(M-A tube)
- Cantor tube
- Harris tube
3. 관의 삽입
- NEX지점: 코끝-귓볼, 귓볼-검상돌기 까지이 길이
- 관의 위치 확인 방법
① 위내용물 흡인
② 주사기로 관에 공기 10cc 정도 주입 후 청진
③ Tube끝을 물 속에 넣으면 물의 요동이 없으면 위로 들어감
4. 흡인 - 복부팽만 있을 때, 축적된 가스와 액체가 제거되게 해야 함
Tube 막혔을때 ; 체위변경, 튜브 약간 움직여 봄, 생리식염수로 세척
5. 간호중재
① 구강간호
② 구강내 건조 방지
- 타액분비 자극: 껌, 사탕, 얼음조각
- 인후통시 : 구강함수, 항담정제
③ 후두의 윤상연골자극과 후두손상사정
④ 배액물질의 색깔, 냄새, 양 관찰
⑤ 수분과 전해질 손실, 대사성 알칼리증
⑥ 위장관 세척시 등장액인 생리식염수 사용(물세척 : 전해실 손실 증가)
II. 영양보조
1. enteral feeding
- 비위관(nasogastric tube)
- 위루관(gastrostomy tube)
- 비십이지장관(nasoduodenal tube)
- 공장루관(jejunostomy tube)
◈ 간호
(1) 감염예방 -가장 흔한 합병증 무기폐와 폐렴
- 부적응 증상 관찰 : 복부경련, 설사, N/V, 흡인, 당뇨, 발한, 불안 등
- 위내용물 pH 측정
- 위의 잔여량 측정
(2) 체액관리 - 수분손실 관찰, 피부긴장도, 활력징후, I/O, 점막의 습도, 의식상태, 발열, 지남력 등
(3) 정상적인 장배설 - 변비와 설사 관찰
(4) 치료식이의 효율적 관리 - 급식물 보관법, 주입기구관리, 튜브의 개방성, 합병증 등
2. 총 비경구 영양 (Total Parenteral Nutrition:TPN)
- 장의 흡수부진과 같은 허약성 질환이 있는 대상자
- 적절한 양의 영양분을 섭취할 수 없는 대상자
- 위암이나 암으로 인한 Cachexia가 있는 대상자
- 항암제 투여나 방사선 요법을 받고 잇는 대상자
- 신경성 식욕부진증이 있는 대상자
- 과도한 대사요구가 있는 대상자(심한화상, 과도한 상처배액)
◈ 합병증
- 기흉, 혈흉
- 상완신경총이나 동맥손상
- 공기색전증
- 혈전증과 감염 : 세균성장의 배지 역할(캔디다. 패혈증) 용액과 주입물품 24시간마다 교환
- 고혈당증 : TPN주입 속도가 포도당 대사보다 빠를 때
- 저혈당증 : 갑자기 TPN주입을 멈출 때
- 전해질 불균형 : I/O, 체중 측정, RFT등 혈액검사
VI. 소화기계의 주요 질환 설명
I. 소화성 궤양(peptic ulcer) - Gastric ulcer. Duodenal ulcer
acid pepsin 에 의해 십이 지장 근위부,식도 ,위를 포함한 상부 위장관에 궤양이 형성된 질환
1. 위궤양Gastric ulcer
위점막이 펩신 위산의 작그에의해 부식되어 궤양이 생긴 것.
원인 - 위점막의 방어벽이 파괴될 때 잘못된 식사습관, 유전적 소인, 과다한 약물 복용, 과다한 알콜 섭취, 흡연,위 비우기 시간 지연, 십이 지장 내용이 역류 → 위점막의 방어 기전을 변화 → 위점막에 직접적인 독소 역할로서 궤양을 일으킴.
2. 십이지장 궤양Duodenal ulcer
십이지장 근위부 점막에 궤양이 형성된 것을 말한다.
위의 유문부에서 1.5cm 이내에 해당되는 십이지장 판막에 주로발생
원인 - 위산과다 분비 위 비우기 시간이 일반인보다 빨라 → 염기 분비에 의한 완충작요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
(1) 병태 생리
공격요인(acid, pepsin)과 점막방어의 불균형.
(2) 증상 증후
위궤양의 통증 - 음식 섭취이후 나타 나고 음식 섭취로 완화 되지 않으며 통증 때문에 잠에서 깨지는 않으나, 등으로 방사. 메스꺼움, 구토. 트림 팽만,소화 불량.
십이지장 궤양 - 공복시 통증, 야간성 통증, 등으로 방사. 트림, 팽만, 소화불량.
(3) 건강 사정
- 문진 : 증후 약물 복용, 직업 ,스트레스, 식사 습관,알콜 섭취,흡연
- 신체 검진 : 복부 검진에서 압통 ,복부 강직을 촉진
- UGI 식도 위경검사 : UGI - 궤양을 발견
식도위경 검사 - 미란 협착을 확인.
(4) 치료
- 치료의 목표 : 증상완화, 합병증을 방지.
① 내과치료 : 식이요법, 약물요법, 풍선도관 확장술
② 외과적 치료 : 수술 (위절제술, 미주신경차단술, 유문형성술)
(5) 간호 진단, 계획 및 간호 중재
1) 간호진단
- 위나 십이지장 점막 궤양과 관련된 통증
- 증상 궤양치료법,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지식 부족
- 궤양치료 합병증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2) 계획
간호 목표
불안 통증 감소 ,건강 유지 능력이 증대 된다.
진단적 간호 계획
통증의 특성을 자주 사정한다.
활력증후 복부 탄력성 설사 변지 대변 색깔을 자주 사정한다.
치료적 교육적 간호 계획
약물 요법으로 치료를 시작한다.
식이 요법에 대해 환자 가족에게 설명한다.
간호 목표
합병증 예방, 건강 유지 능력을 증진한다.
진단적 간호 계획
활력 증후 ,요분석,혈액 검사, 심전도,감염검사. 혈액형 검사를 실시 한다.
식사 불안의 원인 및 수준, 위절제술에 대한 지식 수준, 가족 지지를 사정
치료적 교육적 간호 계획
수술전 검사의 목적 종류를 설명.
수술 당일에는 복부 팽만 예방을 위해 비위관을 삽입, 활력 증후, 손톱색깔을 지우고, 배뇨후 수술전 투약을 근육주사.
수술전 충분한 수면, 고영양식이를 하도록 격려 한다.
위 절제술 후 간호
수술실에서 돌아오면 의식상태, 정맥선, 부착된 기구의 종류 및 기능상태를 사정한다.
환자의 이름을 부르거나 몸을 흔들거나 자극을 주어 깨어나도록 유도한다.
활역증후, 폐음, 드레싱 교환때 출혈 감염 증후를 관찰한다.
심호흡 조기 기동 구강 간호를 실시한다.
섭취량과 배설량 혈청 전해질 수준을 자주 측정하고 적당량의 수분과 전해질을 정맥으로 보충
마약성 진통제는 매 시간 간격으로 투여 하고 약물효과도 관찰한다.
수술후 2~3일 후에는 장음을 측정하고 정상으로 회복되면 구강 섭취를 한다.
합병증의 종류, 증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