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분만 산모간호 케이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연 분만 산모간호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자연 분만 산모간호 케이스
1. 일반 간호정보
2. 입원과 관련된 정보
3. 임신과 관련된 정보
4. 산과 검진
5. 분만 제 1기의 진행과정
6. 분만 2.3기 과정
7. 분만과 관련된 정보
모성 전환
산후조리
8. 산욕기 간호
9. 투여 약물
10. 산욕부 산모교육
1. 자궁저부의 강도와 위치 측정
2. 오로 관찰
3. 유방울혈 간호
4. 유두 열상 간호
5. 수유 전 유방관리
6. 영양
7. 복부근육 강화
8. 자궁위치 정상회복
9. 혈전증 예방
10. 회음. 질벽 근육강화운동
11. 회음절개부위 간호
12. 퇴원 후 성관계
산후 운동
산모의 정서와 산후 우울감
신생아 간호
1. 체온조절
2. 폐 적응 지지
3. 심혈관 순환계 적응지지
4. 정상적인 배변 양상
5. 목욕
6. 수분, 전해질 균형
7. 울음
8. 기저귀 채우기
9. 아기의 건강 검진 및 예방 접종
10. 간호진단
<자료 1>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정의
증상
자궁 내막증은 불임의 원인이 될수도
치료
보존적 요법
호르몬 요법
수술 요법
PROM(Preterm rupture of membranes, 조기파막)
정의 및 빈도
원인

본문내용

또는 3-4일 후 선혈이 계속되면 출혈
3) 썩는 냄새는 감염의미
3. 자궁이완 시 ergotrate 투여
3. 유방울혈 간호
1) 정의 : 산후 2일-5일경에 유방주위 혈액과 림프순환이 증가되어 팽대된 상태
2) 증상
* 유방이 커지고 돌처럼 단단함
* 피부가 번쩍거리고 발적, 동통, 열감
* 심하면 20일 후 유종이 됨
3) 치료
* 유방마사지와 규칙적으로 유방 비움
* 수유 15-20분전
* 온열요법과 수유중간에 얼음찜질
* 진통제 투여
* 탄탄한 유방대나 브레지어 사용
* 유종 시 incision & drainage 유방간호
4. 유두 열상 간호
1) Lanolin cream 인 Vit. A & D ointment 도포
2) 1일 2회 therapeutic lamp 20-30분간 사용
3) 하루 15-30분간 공기 노출--건조
5. 수유 전 유방관리
1) 수유 전후 매번 유방과 유두를 물로 세척 : 비누, 알콜 사용금지
2) 비누와 물로 손 세척
6. 영양
1) 고단백, (2mg/kg) 식이나 우유 1000cc/일 섭취 강화
2) 열량은 2600-288cal/일
3) 칼슘 : 1.2mg, 철분: 30-60mg섭취
4) 분만 1, 3일째 Hb검사 : 8g.dl 이하면 수혈, 8-10g/dl이면 조혈제 투여
7. 복부근육 강화
* 1일부터 흉식, 복식 호흡과 팔 상하운동
* 2일부터 전신 휴식, 머리 일으키기, 발목 돌리기
* 3일부터 어깨 상하운동, 골반운동
* 4-6일부터 다리 상하운동과 상반신 일으키기
* 산후 7일부터 무릎 굽히기, 허리 드는 운동
8. 자궁위치 정상회복
* 슬흉위를 산후 3주 후부터 아침, 저녁으로 2-5분간
9. 혈전증 예방
* 발목, 발가락 굴절과 신전
* 발목회전, 무릎굴절과 산전운동 10회/1일 3-10회
10. 회음. 질벽 근육강화운동
* 10-20번씩, 1일 3-10회
11. 회음절개부위 간호
1) Perineal care
* 좌욕 : 1일 4회 이상 , 섭씨 38-42.5 `C 온수사용
* Heat lamp 사용: 15-20분간, 회음에서 50-70cm 거리 에서 조사
2) 냉요법은 분만 직후 회음손상, 큰 회음절개 시 부종 감소될 때까지 사용
3) 회음의 발적, 부종 절개부위 회복상태 관찰
4) 회음의 불편감 완화 : 1-2일간 4시간 간격으로 투여
12. 퇴원 후 성관계
회음절개부위 및 열창이 어느 정도 회복된 다음에는 언제든지 시작할 수 있다.
대략 분만 후 2주가 되어 임신부가 원하면, 가능하리라 본다. 수유하는 동안에는 에스트로겐의 생성이 억제되어 질이 위축되고 건조되므로 수유부에서는 성관계를 하기 전에 질 윤활제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 산후 운동 ★
1. 분만, 출산, 아기에 대한 느낌을 말하도록 격려
2. 출산과업 완수에 대한 긍정적 확신 제공
3. 아버지가 아기를 안거나 돌보도록 격려
4. 밤에 아기 돌보기를 부와 모가 교대로 하여 산모의 정신적 부담 완화
5. 이 시기에 긴장, 피로, 어머니 역할에 대한 불안, 우울감은 정상임을 인식시킴
6. 신체상 상담
★ 산모의 정서와 산후 우울감 ★
1.체중, 골반, 유방, 복부상태, 자궁출혈, 질 분비물 검사, 회음검사, 아기의 성장발달, 아기에 대한 가족의 반응, 산모의 회복상태, 부부생활
2. 산후 개인위생과 조리
3. 신생아 간호
4. 가족계획 상담과 개인별 피임방법 선정 및 교육
5. 개인적인 다른 건강문제나 가족구성원의 건강문제
파악 및 의뢰
6. 보건소, 모자보건센터, 가족계획협회 부속의원, 자원봉사단 등 지역사회이용 가능한 기관 및 자원과 연계
산후 진찰/ 상담과 교육
<신생아 간호>
1. 체온조절
1) 증발로 인한 열손실 방지 : 보온
2) 체온측정 : 입원시부터 매 4-6시간동안 매 시간 측정--저체온증(36.4_C)시 방사열 조사 --고체온증 방지위해 2시간동안 매 30분마다 확인
3) 어머니와의 직접적인 피부접촉 : 저체온증, 열손실 방지
2. 폐 적응 지지
1) 출생직후 기도유지 :
2) 분만직후 신생아의 머리를 아래로 기울인 자세를 취하고 안정 되면 옆으로 눕힌다
3) 보온 : 저체온증으로 인한 호흡장애 유발
3. 심혈관 순환계 적응지지
1) 제대결찰 부위 관찰 : 출혈
2) 혈액내 헤마토크리트 측정 : 65-70% 이상이면 심각한 혈액 증후군, 다혈구증 의심
3) 신생아 합병증에 대한 예방
* 기도흡인 예방
* 감염 예방 : 신생아 안염, 제대염
* 저혈당증 예방 : 포도당 투여
* 신생아 출혈성 질병 예방 : Vit. K 투여
* 과빌리루빈뇨증 예방 : 신생아 황달의 심각도 확인
* 한랭 스트레스 예방, 수유시작, 적당한 수분공급
4. 정상적인 배변 양상
1) 소변 : 수분섭취증가로 20-30회/일
2) 배변 양상
*섭취하는 젖의 유형, 횟수, 양에 따라 다양
*생후 2-3일내--단단하고 암녹색에서 황록색 변
*3-4일 후에 우유양상에 따라 점차적인 변
*장폐색 관찰
3) 설사 : 박테리아. 성 감염, 분유 과민성
5. 목욕
1) 방온도 : 24-27_C , 목욕물 온도 : 37-38_C
2) 목욕시 감염예방 : 깨끗한 곳에서 더러운 곳으로
6. 수분, 전해질 균형
1) 매일 체중 측정 : 젖 먹기 전 같은 시각에 측정
2) 생 후 첫 3-4일에 정상수분 소실 : 5-10% 의 체중감소
3) 충분한 수분과 칼로리 섭취 : 매일 30gm씩 체중 증가
4) 1일 칼로리 요구량 : 120Kcal/Kg, 1일 수분 요구량 : 105ml/Kg
5) 분유 먹는 신생아 : 720ml/day
모유수유 : 15-20분 정도 강하게 빨고 그 후 2-3시간 수면
7. 울음
1) 유일한 의사소통
2) 평균 2시간/일 정도 운다
8. 기저귀 채우기
1) 기저귀 선택
부드러운 감촉의 흡습성이 큰 면소재가 적합하며 방수 커버는 얇은 것을 선택
2) 기저귀 채우기
준비물 : 기저귀, 아기용 크림이나 파우더, 방수커버, 면수건
* 기저귀를 빗깁니다
* 아기의 엉덩이 부분과 생식기 부위를 면수건으로 잘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8.06.18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02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