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조사목적 및 배경
2. 조사방법
Ⅱ. 본론
1. 행사개요
2. 전체행사 일정표
3. 축제 프로그램 종류
4. 교통편& 행사장 배치도
5. 편의시설 및 서비스
6. 항목별 평가
7. 설문지 분석
8. SWOT분석
Ⅲ. 결론
1. 문제점 및 개선방안
2. 결론(느낀점)
* 참고문헌
1. 조사목적 및 배경
2. 조사방법
Ⅱ. 본론
1. 행사개요
2. 전체행사 일정표
3. 축제 프로그램 종류
4. 교통편& 행사장 배치도
5. 편의시설 및 서비스
6. 항목별 평가
7. 설문지 분석
8. SWOT분석
Ⅲ. 결론
1. 문제점 및 개선방안
2. 결론(느낀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프로그램 종류
구분
행사명
공식행사
젓갈 퍼레이드, 식전행사(전자현악그룹), 개막식, 식후행사(하늘 樂 공연),
폐막식(유공자표창등)
상설행사
강경젓갈 전시관운영, 놀뫼 기업홍보관, 놀뫼향토 특산품전, 강경 옛모습
사진 및 축제사진전시, 뱃고동소리재현, 젓갈캐릭터 및 장다리 퍼포먼스,
황포돛배 재현, 재래시장 재현, 부모님께 젓갈선물보내기 코너운영, 젓갈
마당쇠, 젓갈캐릭터 목걸이 만들기, 조각전시회
체험행사
관광객 젓갈김치 담그기, 젓갈 주먹밥 사먹기, 왕새우잡기 체험, 가마솥햅쌀
밥과 젓갈시식하기, 황석어젓만들기, 젓갈반찬만들기, 젓갈페이스페인팅 및
네일아트, 젓가락왕선발대회, 당나귀마차체험, 건강체험관, 부메랑만들기,
황산골선비밥상, 놀뫼공예체험관
문화체험행사
개막 축하공연, CMB포구 가요제, 갈대숲 라이브공연, 추억의 7080콘서트,
해군군악대 공연, 축제연계 관광, 논산그린투어
특별행사
제6회 전국퓨전 젓갈 음식 요리대회, 놀뫼 고을 잔치, 외국인 장기자랑, 강나
루 불꽃놀이(개 폐막식, 불꽃축제), 어린이 큰잔치, 발효젓갈 전시회, 발효식
품 전시관, 갈대숲 오솔길 걷기, 외국인유치, 우표 만들기
부대행사
제 6회 전국학생 강경포구 사생대회, 젓갈장사 씨름대회, 청소년 콘서트, 향토
특색음식점 운영, 시장통 길거리공연
편의시설
축제종합안내소, 아마추어 무선통신 운영, 강마을 어린이 놀이터, 축제 행사장
보안경비, 포구쉼터, 젓갈 전동카운행, 젓갈물품 보관소 운영, 포구 급수시설
운영, 응급구호 의료지원반, 자원봉사반, 강마을 편의시설(미아보호소, 휠체어,
유모차), 컨테이너형 이동식 및 간이 화장실, 쓰레기 분리수거함, 주차장 관리,
포구행사장 조경 연출, 행사장 조명시설, 공중전화, 현금 자동지급기, 이동파출
소 운영, 이동 소방서 운영, 포구이동 우체국 매표소 운영, PC방 운영
▷ 대표 체험행사
- 관광객 젓갈김치 담그기
개요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젓갈을 이용하여 직접 김치를 담가가는 체험 행사로 맛있는 김치를 담그기 위해서는 젓갈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다는 점을 부각시켜 누구나 한번씩 즐겁게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일시
2007년 10월 12일 (금) ~ 10월 16일 (화)
오전 10:00 ~ 11:00 오후 14시 ~ 15시
장소
강경포구 행사장내 젓갈김치 담그기 체험부스
프로그램
참가대상 : 2007 강경발효젓갈축제에 참여한 모든 관광객
내용
- 김치재료인 절인배추와 젓갈류, 각종 양념류를 비치하여 관광객들이 김치 담그기를 체험, 담은 김치는 용기에 담아 본인이 가져갈 수 있도록 운영
- 본인이 직접 김치 담그기를 원치 않는 관광객에게는 요구하는 김치를 담가 주는 김치 담그기 도우미를 운영하여 담아 갈 수 있도록 운영
참가비 : 행사 당일 준비한 절인배추 재료비 및 김치 포장용기 구입비
* 상한선을 2포기 정도로 하고 재료비 (포장용기 포함) 정도를 받도록 운영
준비사항
시설물 : 전통천막 5조, 들마루 8개
홈페이지를 통하여 사전예약 (50% 예약 판매)
절인배추, 양념류, 젓갈류, 비닐장갑, 포장용기, 보자기, 앞치마 등
김치 담가주기 도우미 5명, 용기관리 및 재료관리 10명
개요
다양한 젓갈 중 보편화된 까나리액젓을 이용하여 김치 담그기 체험을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외국인 및 관광객들에게 우리의 맛있는 김치의 핵심 재료가 젓갈이라는 점을 대내외적으로 홍보함
일시
2007년 10월 13일 (토) / 14:00 ~ 16:00 (120분)
장소
강경포구 행사장내 김치 담그기 대회장 부스
프로그램
참가대상 : 외국인 중 사전 접수자 및 현장 접수자
심사위원 : 음식 전문가5~6명 정도 구성
시상 : 각 부문별 1, 2, 3위 선정 및 시상
- 기타 : 참가자 참가상 (젓갈세트)
* 김치 담그기 대회에서 생산된 김치는 관내 복지시설에 전달
준비사항
시설물 : 텐트 14조, 탁자 28개, 김치 담그기 재료 등
행사장 주변의 청결 및 위생상태 수시점
-외국인 젓갈김치 담그기 체험
- 황석어젓 만들기
개요
황석어젓을 관광객이 직접 만들어 가져가는 체험을 하게 함으로써 강경젓갈의 제조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강경젓갈에 대한 관심도 제고 및 판매 촉진 유도
일시
2007년 10월 12일 (금) ~ 10월 16일 (화) / 10:00 ~ 17:00
장소
강경포구 행사장내 황석어젓 만들기 체험부스
프로그램
참가대상 : 2007 강경발효젓갈축제에 참여한 모든 관광객
내용
- 체험을 희망하는 관광객에게 참여 기회 제공
- 황석어젓 구입을 원하는 관광객에게 최소한의 재료비만 받고 작은 용기에
담아갈 수 있도록 운영
참가비 : 황석어젓 만들기에 소요된 최소한의 재료비 (체험료:5000원정도)
* 담그는 방법, 보관방법 등 담아간 젓갈이 상하는 일이 없도록 홍보
준비사항
시설물 : 몽골텐트(5m*5m)2동,
홈페이지를 통하여 사전예약 (50% 예약 판매)
황석어젓 만드는 방법, 보관방법 등을 소개하는 팜플릿 제작 :1,000매 정도
황석어젓 25㎏ 180박스(10,250천원), 소금, 비닐장갑, 포장용기(5㎏), 보자기, 앞치마 등
종사인원 : 6인 (맛깔젓사업조합 2인, 자원봉사자 2인)
- 가마솥 햅쌀밥과 젓갈시식 체험하기
개요
우리 청정지역인 논산평야에서 재배된 햅쌀로 행사장에 마련된 가마솥에 직접 밥을 지어 전국에서 오신 관광객들에게 무료로 제공하여 행사장내 젓갈판매 코너에서 젓갈을 시식하는 체험 행사로 우리지역의 덤문화를 만끽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일시
2007년 10월 12일 (금) ~ 10월 16일 (화) / 16:00 ~ 17:00(1시간)
장소
강경포구 행사장내 햅쌀밥 시식 체험부스
프로그램
참가대상 : 2007 강경발효젓갈축제에 참여한 모든 관광객
내용
- 직접 장작을 피워 가마솥으로 햅쌀밥을 함
- 축제장을 방문하는 모든 관광객에게 무료로 제공
주의사항
시설물 : 초가부스(2m*2m)1동, 가마솥2개
종사인원 : 6인(상인 4인, 자원봉사자 2인)
- 젓갈반찬 만들기
개요
전국 제일의 강경젓갈로 우리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반찬으로 만들어 가져갈 수 있도록 전문요리사의 설명과 직접 체험을 하게 함으로써
구분
행사명
공식행사
젓갈 퍼레이드, 식전행사(전자현악그룹), 개막식, 식후행사(하늘 樂 공연),
폐막식(유공자표창등)
상설행사
강경젓갈 전시관운영, 놀뫼 기업홍보관, 놀뫼향토 특산품전, 강경 옛모습
사진 및 축제사진전시, 뱃고동소리재현, 젓갈캐릭터 및 장다리 퍼포먼스,
황포돛배 재현, 재래시장 재현, 부모님께 젓갈선물보내기 코너운영, 젓갈
마당쇠, 젓갈캐릭터 목걸이 만들기, 조각전시회
체험행사
관광객 젓갈김치 담그기, 젓갈 주먹밥 사먹기, 왕새우잡기 체험, 가마솥햅쌀
밥과 젓갈시식하기, 황석어젓만들기, 젓갈반찬만들기, 젓갈페이스페인팅 및
네일아트, 젓가락왕선발대회, 당나귀마차체험, 건강체험관, 부메랑만들기,
황산골선비밥상, 놀뫼공예체험관
문화체험행사
개막 축하공연, CMB포구 가요제, 갈대숲 라이브공연, 추억의 7080콘서트,
해군군악대 공연, 축제연계 관광, 논산그린투어
특별행사
제6회 전국퓨전 젓갈 음식 요리대회, 놀뫼 고을 잔치, 외국인 장기자랑, 강나
루 불꽃놀이(개 폐막식, 불꽃축제), 어린이 큰잔치, 발효젓갈 전시회, 발효식
품 전시관, 갈대숲 오솔길 걷기, 외국인유치, 우표 만들기
부대행사
제 6회 전국학생 강경포구 사생대회, 젓갈장사 씨름대회, 청소년 콘서트, 향토
특색음식점 운영, 시장통 길거리공연
편의시설
축제종합안내소, 아마추어 무선통신 운영, 강마을 어린이 놀이터, 축제 행사장
보안경비, 포구쉼터, 젓갈 전동카운행, 젓갈물품 보관소 운영, 포구 급수시설
운영, 응급구호 의료지원반, 자원봉사반, 강마을 편의시설(미아보호소, 휠체어,
유모차), 컨테이너형 이동식 및 간이 화장실, 쓰레기 분리수거함, 주차장 관리,
포구행사장 조경 연출, 행사장 조명시설, 공중전화, 현금 자동지급기, 이동파출
소 운영, 이동 소방서 운영, 포구이동 우체국 매표소 운영, PC방 운영
▷ 대표 체험행사
- 관광객 젓갈김치 담그기
개요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젓갈을 이용하여 직접 김치를 담가가는 체험 행사로 맛있는 김치를 담그기 위해서는 젓갈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다는 점을 부각시켜 누구나 한번씩 즐겁게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일시
2007년 10월 12일 (금) ~ 10월 16일 (화)
오전 10:00 ~ 11:00 오후 14시 ~ 15시
장소
강경포구 행사장내 젓갈김치 담그기 체험부스
프로그램
참가대상 : 2007 강경발효젓갈축제에 참여한 모든 관광객
내용
- 김치재료인 절인배추와 젓갈류, 각종 양념류를 비치하여 관광객들이 김치 담그기를 체험, 담은 김치는 용기에 담아 본인이 가져갈 수 있도록 운영
- 본인이 직접 김치 담그기를 원치 않는 관광객에게는 요구하는 김치를 담가 주는 김치 담그기 도우미를 운영하여 담아 갈 수 있도록 운영
참가비 : 행사 당일 준비한 절인배추 재료비 및 김치 포장용기 구입비
* 상한선을 2포기 정도로 하고 재료비 (포장용기 포함) 정도를 받도록 운영
준비사항
시설물 : 전통천막 5조, 들마루 8개
홈페이지를 통하여 사전예약 (50% 예약 판매)
절인배추, 양념류, 젓갈류, 비닐장갑, 포장용기, 보자기, 앞치마 등
김치 담가주기 도우미 5명, 용기관리 및 재료관리 10명
개요
다양한 젓갈 중 보편화된 까나리액젓을 이용하여 김치 담그기 체험을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외국인 및 관광객들에게 우리의 맛있는 김치의 핵심 재료가 젓갈이라는 점을 대내외적으로 홍보함
일시
2007년 10월 13일 (토) / 14:00 ~ 16:00 (120분)
장소
강경포구 행사장내 김치 담그기 대회장 부스
프로그램
참가대상 : 외국인 중 사전 접수자 및 현장 접수자
심사위원 : 음식 전문가5~6명 정도 구성
시상 : 각 부문별 1, 2, 3위 선정 및 시상
- 기타 : 참가자 참가상 (젓갈세트)
* 김치 담그기 대회에서 생산된 김치는 관내 복지시설에 전달
준비사항
시설물 : 텐트 14조, 탁자 28개, 김치 담그기 재료 등
행사장 주변의 청결 및 위생상태 수시점
-외국인 젓갈김치 담그기 체험
- 황석어젓 만들기
개요
황석어젓을 관광객이 직접 만들어 가져가는 체험을 하게 함으로써 강경젓갈의 제조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강경젓갈에 대한 관심도 제고 및 판매 촉진 유도
일시
2007년 10월 12일 (금) ~ 10월 16일 (화) / 10:00 ~ 17:00
장소
강경포구 행사장내 황석어젓 만들기 체험부스
프로그램
참가대상 : 2007 강경발효젓갈축제에 참여한 모든 관광객
내용
- 체험을 희망하는 관광객에게 참여 기회 제공
- 황석어젓 구입을 원하는 관광객에게 최소한의 재료비만 받고 작은 용기에
담아갈 수 있도록 운영
참가비 : 황석어젓 만들기에 소요된 최소한의 재료비 (체험료:5000원정도)
* 담그는 방법, 보관방법 등 담아간 젓갈이 상하는 일이 없도록 홍보
준비사항
시설물 : 몽골텐트(5m*5m)2동,
홈페이지를 통하여 사전예약 (50% 예약 판매)
황석어젓 만드는 방법, 보관방법 등을 소개하는 팜플릿 제작 :1,000매 정도
황석어젓 25㎏ 180박스(10,250천원), 소금, 비닐장갑, 포장용기(5㎏), 보자기, 앞치마 등
종사인원 : 6인 (맛깔젓사업조합 2인, 자원봉사자 2인)
- 가마솥 햅쌀밥과 젓갈시식 체험하기
개요
우리 청정지역인 논산평야에서 재배된 햅쌀로 행사장에 마련된 가마솥에 직접 밥을 지어 전국에서 오신 관광객들에게 무료로 제공하여 행사장내 젓갈판매 코너에서 젓갈을 시식하는 체험 행사로 우리지역의 덤문화를 만끽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일시
2007년 10월 12일 (금) ~ 10월 16일 (화) / 16:00 ~ 17:00(1시간)
장소
강경포구 행사장내 햅쌀밥 시식 체험부스
프로그램
참가대상 : 2007 강경발효젓갈축제에 참여한 모든 관광객
내용
- 직접 장작을 피워 가마솥으로 햅쌀밥을 함
- 축제장을 방문하는 모든 관광객에게 무료로 제공
주의사항
시설물 : 초가부스(2m*2m)1동, 가마솥2개
종사인원 : 6인(상인 4인, 자원봉사자 2인)
- 젓갈반찬 만들기
개요
전국 제일의 강경젓갈로 우리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반찬으로 만들어 가져갈 수 있도록 전문요리사의 설명과 직접 체험을 하게 함으로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