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서론
II.본론
1.대조적 이미지의 무대
1)풍요와 박탈
2)소요와 고요의 청각적 대조
2.계층의 갈등
1)지주와 소작인
3.인물의 불안심리
1)광기과 공격성
2)체념과 떠남
3)익살로의 도피
4)현재화의 이중구조
4.공간분석
1)소를 둘러싼 공간적 갈등
III.결론
II.본론
1.대조적 이미지의 무대
1)풍요와 박탈
2)소요와 고요의 청각적 대조
2.계층의 갈등
1)지주와 소작인
3.인물의 불안심리
1)광기과 공격성
2)체념과 떠남
3)익살로의 도피
4)현재화의 이중구조
4.공간분석
1)소를 둘러싼 공간적 갈등
III.결론
본문내용
인 방화,개똥이의 폭행 등은 외부의 억압을 견뎌내지 못한 데서 기인한 돌발성과 즉시성의 행동들이다.
2)체념과 떠남
앞서 살핀 광기나 공격성의 행동들이 감정의 폭발에서 온 이상적행동으로서 스스로를 자멸케 했다면,체념과 순응,탈향 등의 행위는 무력하나마 삶을 버텨보려는 하나의 움직이라고 할 수 있다.
<소>의 국진과 대부분의 마을 사람들은 수탈과 가난에 대한 숙명적인 체념의식이 강하다.이들은 단지 살기 위하여 부조리한 현실에 순응해 간다.또 개똥은 농촌의 가난한 삶을 견디지 못하고 떠나는 자들이다.이들의 탈향은 현실의 모순을 극복하기보다 그 현실을 탈출하려는 일종의 도피 행위라고 할 수 있다.
3)익살로의 도피
위에서 처럼 닫힌 사회에서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 인물들은 이상심리로 비현실의 세계로 도피한다든가,파괴적인 공격성을 띤다든가 혹은 고향을 떠나거나 하는 행동상을 보인다.그런데 그와는 다른 또 하나의 행동상이 익살로의 도피다.
<소>에서 문진,영실 등은 희비극적 인물에 속한다.박탈과 상실감이 부각될 때마다 등장하여 농담과 익살을 잃지 않는다.이들의 익살은 오히려 현실의 비극성을 부각시키는 기능으로 작용하고 있다.특히나 문진은 국서네가 소로 인해 비극적인 상황에 처할 때마다 우스개 소리로 분위기를 바꾸어 준다.그러나 단순히 익살만을 부리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희비를 거듭하는 국서일가를 아니러니적 시선으로 논평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이들의 희극적 대응은 외부의 억압을 견뎌내려는 일종의 방어기제로 보인다.
4)현재화의 이중구조
농촌소재극은 중심 플롯과 부수적인 플롯(subplot)이 병렬적으로 전
2)체념과 떠남
앞서 살핀 광기나 공격성의 행동들이 감정의 폭발에서 온 이상적행동으로서 스스로를 자멸케 했다면,체념과 순응,탈향 등의 행위는 무력하나마 삶을 버텨보려는 하나의 움직이라고 할 수 있다.
<소>의 국진과 대부분의 마을 사람들은 수탈과 가난에 대한 숙명적인 체념의식이 강하다.이들은 단지 살기 위하여 부조리한 현실에 순응해 간다.또 개똥은 농촌의 가난한 삶을 견디지 못하고 떠나는 자들이다.이들의 탈향은 현실의 모순을 극복하기보다 그 현실을 탈출하려는 일종의 도피 행위라고 할 수 있다.
3)익살로의 도피
위에서 처럼 닫힌 사회에서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 인물들은 이상심리로 비현실의 세계로 도피한다든가,파괴적인 공격성을 띤다든가 혹은 고향을 떠나거나 하는 행동상을 보인다.그런데 그와는 다른 또 하나의 행동상이 익살로의 도피다.
<소>에서 문진,영실 등은 희비극적 인물에 속한다.박탈과 상실감이 부각될 때마다 등장하여 농담과 익살을 잃지 않는다.이들의 익살은 오히려 현실의 비극성을 부각시키는 기능으로 작용하고 있다.특히나 문진은 국서네가 소로 인해 비극적인 상황에 처할 때마다 우스개 소리로 분위기를 바꾸어 준다.그러나 단순히 익살만을 부리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희비를 거듭하는 국서일가를 아니러니적 시선으로 논평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이들의 희극적 대응은 외부의 억압을 견뎌내려는 일종의 방어기제로 보인다.
4)현재화의 이중구조
농촌소재극은 중심 플롯과 부수적인 플롯(subplot)이 병렬적으로 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