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Ⅲ.결론
Ⅳ.참고문헌
Ⅱ.본론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목소리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다.
Ⅱ.본론
1. 여성화자의 에로티시즘 문학
왜 에로티시즘 문학의 화자가 여성인가? \'이상곡\', \'만전춘별사\', \'쌍화점\' 에서 여성화자가 성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보이는 에로티시즘을 발견할 수 있다.이 작품들은 고려속요로 보수적인 사회적 정서에도 불구하고 다소 음탕한 표현을 서슴지 않고 있다. 그것도 남성이 아닌 여성들이 이렇게 노골적으로 성을 노래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에로티시즘의 기본 특성을 살펴보자. 바따이유는 에로티시즘이 통제권 밖에 있는 문제로 모든 문제 중 가장 신비하고 보편적이며, 엉뚱하고 나머지 삶과 분리할 수 없는 이야기라고 설명한다. 순간적 충동으로 에로스의 바다에 빠지는 금기를 범할 수 있는데 바로 이 \'금기의 위반\'에서 오는 쾌락이 에로티시즘의 원천이 되는 셈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여성이 에로티시즘의 화자가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을 것이다. 성 욕구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더 금기시 되었던 것은 여성이었을 테니 말이다. 꼭 성적 욕구가 아니더라도 희생과 차별을 숙명처럼 받아들여야하는 시대적 환경에서여성은 수많은 금기를 떠안고 살아야했고, 그 억압을 떨쳐 낼 탈출구가 필요했다. 그러던 중 비교적 여성의 지위가 상승하여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한 시기가 찾아오자 비로소 금기를 위반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무의식 속의 가장 본능적인 성욕을 드러냄으로써 쾌락과 함께 인간의 해방을 만끽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남녀상열지사 (男女相悅之詞)\'라 하여 많은 작품들이 현재까지 전해지지 못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얼마나 많은 작품들이 더 노골적으로 욕구를 표현했을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남성 작가가 여성을 화자로 내새워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당시 관습적으로 남자와 여자의 성역할은 명백히 구별되었다. 즉 여성은 소극적이고 희생적인 반면 남성은 강인하고 적극적인 이미지를 갖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남녀 간의 애정\'과같은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이야기는 여성화자를내새워 이야기 할 때 더 섬세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듣는 이나 보는 이로 하여금 더 감정 전달이 효과적이었을 것이다. 또한, 남성들은 사회적 규범이나 검열에 의해 억압 된 욕망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웠다.그래서 비교적 사회적 역할로부터 자유로운 여성 화자를 통해간접적으로 표출한 것이다. 이 때 작가는 시적 자아가 아닌 시적 대상에게 욕망을 표출하기 때문에 보다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표현을 과감하게 할 수 있었던 것이다.
2. 여성화자
1) 버림받은 여성의 노래
시인이 자신의 실제 성별과 관계없이 텍스트 내부에서 여성화자로서 말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다. ‘여성으로서 말하기’의 형식을 취한 고려속요로는 가시리, 동동, 서경별곡, 상저가가 있으며, 만전춘별사도 포함될 수 있다. 이 작품들은 모두 여성적 어조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동동은 화자가 그리는 대상을 ‘녹사(錄事)님’이라고 한 데서, 서경별곡은 길쌈하던 베마저 버리고 님을 좇겠다는 말을 통해서, 상저가는 방아찧는 일을 하며 부른 노래라는 점에서, 그 화자가 여성임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이들 작품은 그 어휘비유화자의 태도 등을 보더라도 무척이나 여성적이다.
‘여성으로서 말하기’를 통해 구현되는 여성적 정체성과 여성다움, 그리고 여성적 정서의 내용이 어떤 것인지 작품을 통해 생각해보기로 한다. 상저가의 여성화자는 다소 이질적이므로 별도로 언급한다.
가시리, 동동, 서경별곡은 모두 버림 받은 여성의 노래라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여성화자가 버림받았다는 사실은 다음에서 보듯 그 문면에 뚜렷이 부각되고 있다.
“가시리 가시리잇고 / 리고 가시리잇고”(가시리)
“므슴다 錄事니믄
Ⅱ.본론
1. 여성화자의 에로티시즘 문학
왜 에로티시즘 문학의 화자가 여성인가? \'이상곡\', \'만전춘별사\', \'쌍화점\' 에서 여성화자가 성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보이는 에로티시즘을 발견할 수 있다.이 작품들은 고려속요로 보수적인 사회적 정서에도 불구하고 다소 음탕한 표현을 서슴지 않고 있다. 그것도 남성이 아닌 여성들이 이렇게 노골적으로 성을 노래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에로티시즘의 기본 특성을 살펴보자. 바따이유는 에로티시즘이 통제권 밖에 있는 문제로 모든 문제 중 가장 신비하고 보편적이며, 엉뚱하고 나머지 삶과 분리할 수 없는 이야기라고 설명한다. 순간적 충동으로 에로스의 바다에 빠지는 금기를 범할 수 있는데 바로 이 \'금기의 위반\'에서 오는 쾌락이 에로티시즘의 원천이 되는 셈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여성이 에로티시즘의 화자가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을 것이다. 성 욕구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더 금기시 되었던 것은 여성이었을 테니 말이다. 꼭 성적 욕구가 아니더라도 희생과 차별을 숙명처럼 받아들여야하는 시대적 환경에서여성은 수많은 금기를 떠안고 살아야했고, 그 억압을 떨쳐 낼 탈출구가 필요했다. 그러던 중 비교적 여성의 지위가 상승하여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한 시기가 찾아오자 비로소 금기를 위반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무의식 속의 가장 본능적인 성욕을 드러냄으로써 쾌락과 함께 인간의 해방을 만끽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남녀상열지사 (男女相悅之詞)\'라 하여 많은 작품들이 현재까지 전해지지 못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얼마나 많은 작품들이 더 노골적으로 욕구를 표현했을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남성 작가가 여성을 화자로 내새워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당시 관습적으로 남자와 여자의 성역할은 명백히 구별되었다. 즉 여성은 소극적이고 희생적인 반면 남성은 강인하고 적극적인 이미지를 갖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남녀 간의 애정\'과같은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이야기는 여성화자를내새워 이야기 할 때 더 섬세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듣는 이나 보는 이로 하여금 더 감정 전달이 효과적이었을 것이다. 또한, 남성들은 사회적 규범이나 검열에 의해 억압 된 욕망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웠다.그래서 비교적 사회적 역할로부터 자유로운 여성 화자를 통해간접적으로 표출한 것이다. 이 때 작가는 시적 자아가 아닌 시적 대상에게 욕망을 표출하기 때문에 보다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표현을 과감하게 할 수 있었던 것이다.
2. 여성화자
1) 버림받은 여성의 노래
시인이 자신의 실제 성별과 관계없이 텍스트 내부에서 여성화자로서 말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다. ‘여성으로서 말하기’의 형식을 취한 고려속요로는 가시리, 동동, 서경별곡, 상저가가 있으며, 만전춘별사도 포함될 수 있다. 이 작품들은 모두 여성적 어조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동동은 화자가 그리는 대상을 ‘녹사(錄事)님’이라고 한 데서, 서경별곡은 길쌈하던 베마저 버리고 님을 좇겠다는 말을 통해서, 상저가는 방아찧는 일을 하며 부른 노래라는 점에서, 그 화자가 여성임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이들 작품은 그 어휘비유화자의 태도 등을 보더라도 무척이나 여성적이다.
‘여성으로서 말하기’를 통해 구현되는 여성적 정체성과 여성다움, 그리고 여성적 정서의 내용이 어떤 것인지 작품을 통해 생각해보기로 한다. 상저가의 여성화자는 다소 이질적이므로 별도로 언급한다.
가시리, 동동, 서경별곡은 모두 버림 받은 여성의 노래라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여성화자가 버림받았다는 사실은 다음에서 보듯 그 문면에 뚜렷이 부각되고 있다.
“가시리 가시리잇고 / 리고 가시리잇고”(가시리)
“므슴다 錄事니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