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암 상태일 때 수행된다.
- myomectomy 근종절제술
생식능력을 유지해야 할 젊은 여성들에게 시술하는 방법으로 시술 전 남편의 임신 능력, 자궁난관조영술, 자궁내막 및 세포진 검사를 시행하여 이상유무를 안 후에 시술해야 한다.
- salpingectomy 난관절제술
난관의 한쪽 또는 양쪽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것. 낭종이나 종양을 제거하고 농양을 절제하기 위해 시행되며, 양쪽 난관의 제거는 불임수술 또는 난관임신일 때 시행된다.
- oophorectomy 난소절제술
외과적으로 하나 또는 양쪽 난소를 절제하는 것. 낭종이나 종양의 제거, 농양 절제, 자궁내막염의 치료나 유방암에서 특정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에스트로겐 생성의 근원을 제거하기 위해 수행한다.
- Laparoscopy 복강경검사
복벽의 한 곳 또는 그 이상을 절개해 복강경을 복강에 넣어서 검사하는 것. 난소와 나팔관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차이나 자궁내막증 진단, 자궁평활근종 제거와 근종절제술에도 사용된다.
- endometrial hyperplasia 자궁내막증식증
프로게스테론의 방해를 받지 않고 에스트로겐에 의한 지속적인 자극의 결과로 자궁내막이 과잉 증식하는 비정상적인 상태.
- endometrial cancer 자궁내막암
자궁내막의 선종. 가장 흔한 부인과의 악성 종양으로 50~6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비정상적인 질출혈이 주요 증상이다.
- sarcoma 육종
섬유조직, 지방조직, 근육조직, 활막조직, 혈관조직, 신경조직에서 발생하는 연조직의 악성 신생물. 보통 처음에는 무통성 종창으로 나타난다.
- polycystic ovarian disease 다낭성 난소질환
무배란, 무월경, 다모증, 불임 등이 특징인 내분비 장애. 즉,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 LH 수치가 증가하고 FSH 분비가 감소함으로써 일어난다. FSH가 억제되어 있지만 지속적으로 생성하므로 난소의 난포가 지속적으로 부분적인 성장이 일어나 거대한 난포낭이 생기기도 한다.
- Granulosa theca cell tumor 과립협막세포종양
난소의 과립막세포나 협막 또는 둘 다에 나타나는 난소 종양. 이는 에스트로겐의 과다한 분비로 유방과 자궁내막의 과잉증식과 관련이 있다.
- syphilis 매독
Treponema pallidum 에 의해서 많은 조직 및 피부병변을 일으키는 전염성 성병으로서 직접적인 가까운 접촉에 의해서 또는 자궁내에서 감염된다. 원발부위는 경성 또는 진성하감이며, 이어서 림프관을 통해서 피부, 점막 및 신체의 거의 모든 조직, 뼈와 골막까지도 퍼진다.
- Infertility 불임증
자식을 낳을 수 없는 상태. 원인은 생식 기관의 미성숙, 생식 기관의 비정상, 호르몬의 불균형, 다른 기관의 비정상이거나 기형을 포함하는 신체적정신적심리적 문제의 결과일 수 있다.
- uterine atony 자궁무력증
자궁의 현저한 저긴장상태. 원인으로는 과다 신전된 자궁, 마취와 진통, 자궁무력증의 과거력, 다산부, 지연분만, 옥시토신 유도분만, 분만과 출산 동안의 외상 등이 있다.
- myomectomy 근종절제술
생식능력을 유지해야 할 젊은 여성들에게 시술하는 방법으로 시술 전 남편의 임신 능력, 자궁난관조영술, 자궁내막 및 세포진 검사를 시행하여 이상유무를 안 후에 시술해야 한다.
- salpingectomy 난관절제술
난관의 한쪽 또는 양쪽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것. 낭종이나 종양을 제거하고 농양을 절제하기 위해 시행되며, 양쪽 난관의 제거는 불임수술 또는 난관임신일 때 시행된다.
- oophorectomy 난소절제술
외과적으로 하나 또는 양쪽 난소를 절제하는 것. 낭종이나 종양의 제거, 농양 절제, 자궁내막염의 치료나 유방암에서 특정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에스트로겐 생성의 근원을 제거하기 위해 수행한다.
- Laparoscopy 복강경검사
복벽의 한 곳 또는 그 이상을 절개해 복강경을 복강에 넣어서 검사하는 것. 난소와 나팔관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차이나 자궁내막증 진단, 자궁평활근종 제거와 근종절제술에도 사용된다.
- endometrial hyperplasia 자궁내막증식증
프로게스테론의 방해를 받지 않고 에스트로겐에 의한 지속적인 자극의 결과로 자궁내막이 과잉 증식하는 비정상적인 상태.
- endometrial cancer 자궁내막암
자궁내막의 선종. 가장 흔한 부인과의 악성 종양으로 50~6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비정상적인 질출혈이 주요 증상이다.
- sarcoma 육종
섬유조직, 지방조직, 근육조직, 활막조직, 혈관조직, 신경조직에서 발생하는 연조직의 악성 신생물. 보통 처음에는 무통성 종창으로 나타난다.
- polycystic ovarian disease 다낭성 난소질환
무배란, 무월경, 다모증, 불임 등이 특징인 내분비 장애. 즉,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 LH 수치가 증가하고 FSH 분비가 감소함으로써 일어난다. FSH가 억제되어 있지만 지속적으로 생성하므로 난소의 난포가 지속적으로 부분적인 성장이 일어나 거대한 난포낭이 생기기도 한다.
- Granulosa theca cell tumor 과립협막세포종양
난소의 과립막세포나 협막 또는 둘 다에 나타나는 난소 종양. 이는 에스트로겐의 과다한 분비로 유방과 자궁내막의 과잉증식과 관련이 있다.
- syphilis 매독
Treponema pallidum 에 의해서 많은 조직 및 피부병변을 일으키는 전염성 성병으로서 직접적인 가까운 접촉에 의해서 또는 자궁내에서 감염된다. 원발부위는 경성 또는 진성하감이며, 이어서 림프관을 통해서 피부, 점막 및 신체의 거의 모든 조직, 뼈와 골막까지도 퍼진다.
- Infertility 불임증
자식을 낳을 수 없는 상태. 원인은 생식 기관의 미성숙, 생식 기관의 비정상, 호르몬의 불균형, 다른 기관의 비정상이거나 기형을 포함하는 신체적정신적심리적 문제의 결과일 수 있다.
- uterine atony 자궁무력증
자궁의 현저한 저긴장상태. 원인으로는 과다 신전된 자궁, 마취와 진통, 자궁무력증의 과거력, 다산부, 지연분만, 옥시토신 유도분만, 분만과 출산 동안의 외상 등이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