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 요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성간호학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임신 수와 분만수의 계산
2.분만의 전구증상
3.진진통과 가진통의 차이점
4.분만의 단계(분만1기~분만 4기)
5.분만의 기전/분만의 요소(5P)

11. 분만 1기, 2기의 간호와 사정
◆분만 1기
◆분만 2기
12. 회음절개술 시기와 목적
13. 자궁수축제 투여
14.열상의 종류
15. 오로의 양상 및 특징

본문내용

관의 상흔과 분만1기에 수의적으로 힘을 주는 것은 경관개대에 비효과적임.
경부개대는 거의 활동기에 이루어짐
기전:양막 압력, 자궁근육 수축, 태아 선진부 압력
5)태포
진통시에 양수는 태아보다 양막강내로 유입되어 팽륜되며 자궁경관내로 진입하는 것.
(2)분만 제 2기
1)팽륜
회음부 윗부분은 후전방으로 밀려 얇게 골반구를 형성하고, 음순은 전상방으로 벌어져 산도형성.
가장 심한 변화는 항문 올림근과 회음부충이 얇게 늘어나는 동시에 항문이 벌어져서 항문전벽이 밖으로 보임.
2)배림과 발로
배림:선진부의 하강과 더불어 자궁수축이 있을때, 아두가 양음순사이로 보이고 수축이 멎으면 아두가 안보이는 현상
발로:수축이 멎었는데도 아두가 안으로 들어가지 안혹, 양음순사이로 노출된 상태
발로시에 회음 절개술 실시
(3)분만 제 3기
1)태반 박리기
태반이 박리되는 증후
갑자기 질로부터 소량의 혈액 분출.,
질구에서 제대가 늘어지고, 치골결합 상부를 약간 눌러도 당겨 올라가지 않음.
자궁저부 상승
자궁 모양이 원반모양에서 공모양으로 변화
2)태반 만출기
박리된 태반은 자궁수축이 있을때 산모의 복압으로 만출
*기전
양상
Schultz기전
Duncan기전
먼저 떨어지는 부위
중앙면
가장자리
질구에서 보이는 면
매끈한 태아면
뒤집어진 우산모양
울퉁불퉁한 모체면
출혈


->제대가 당겨서 따라나오게 하되, 막까지 꺼내기 위해 돌려서 빼거나 겸자를 이용하여 꺼냄
(4)분만 제 4기
출혈이 중지되고 회복되는 시간
모아 관계와 새로운 가족구성에 대한 중요한 시기로, 조기접촉으로 모아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시기.
5.분만의 기전/분만의 요소(5P)
진입->하강->굴곡->내회전->신전->외회전->만출
진입
아두의 대횡경선이 골반입구 통과
*진입시기
초산부:회음부 팽윤, 발로 초기에
경산부:자궁 경관이 7- 8cm개대 되었을때
하강
태아가 골반입구를 지나 골반출구를 향하여 내려가는 모든 과정
분만1기중 활동기 후반기(4-8cm개대)에 빠르게 진행.
경산부의 경우 진입과 하강이 동시에 일어남.
선진부의 하강 정도“station\"은 좌골극을 중심으로 표시(-3~+3)
-3
좌골극으로부터 3cm위
0
태아 선진부가 좌골극에 닿을때
+3
좌골극으로부터 3cm아래
굴곡
태아가 하강을 시작하면 경관, 골반벽, 골반상으로부터 저항을 받아 굴곡이 일어나 태아는 턱을 앞가슴에 바싹붙이게 됨.
소사경선(9.5cm)으로 대체되어 골반강을 통과하게 되므로 하강이 훨씬 용이.
내회전
내회전이 일어나는 이유:모체의 골반입구는 횡경선이 길어서 횡위로 통과하지만 골반출구는 전후경선이 길어 아두가 만출하기 위해선 회전이 일어나야 함.
골반강에서 골반출구에 이를때까지 시상봉합이 골반의 전후경선에 일치하도록 회전.
좌골극 수준에서 내회전 시작.
대개후두가 치골결합을 향해 전방회전을 하며, 항문거근과 골반이 중요한 역할을 함
신전
신전이 일어나는 이유:자궁의 해부학적 구조때문->완전 굴곡된 태아의 머리는 회음부에 닿으면 후두가 치골결합 하단에 다휴게되고, 후두가 전상방으로 향하려 있으름로 아두가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3.09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29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