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크리스피 소개
1. 크리스피 크림 도넛 선정이유
2. 크리스피 크림 도넛 소개
3. 크리스피 크림 본사의 연혁
4. 한국의 크리스피 도너츠 현황
5. 07년도 도넛 시장 전망
Ⅱ. 마케팅 전략
1. 경쟁사 던킨도너츠 분석
2. 크리스피 크림 도넛의 마케팅 전략
3. 크리스피 도넛 SWOT분석
4. 4p 분석
5. 크리스피 크림의 마케팅 전략
6. 고객 분석
7. STP 분석
- (1) 시장세분화, (2) 표적시장, (3) 포지셔닝
Ⅲ. 결론
1. 크리스피 크림 도넛 선정이유
2. 크리스피 크림 도넛 소개
3. 크리스피 크림 본사의 연혁
4. 한국의 크리스피 도너츠 현황
5. 07년도 도넛 시장 전망
Ⅱ. 마케팅 전략
1. 경쟁사 던킨도너츠 분석
2. 크리스피 크림 도넛의 마케팅 전략
3. 크리스피 도넛 SWOT분석
4. 4p 분석
5. 크리스피 크림의 마케팅 전략
6. 고객 분석
7. STP 분석
- (1) 시장세분화, (2) 표적시장, (3) 포지셔닝
Ⅲ. 결론
본문내용
점심 식사를 할 수밖에 없는 직장인이나, 대학생들이 가장 큰 소비의 주체로 보여지고 있다.
(2) 표적시장(Targeting)
시장세분화에서도 보았듯이 도넛시장에 있어서 제 1의 소비자는 20대~30대라고 할 수 있겠다. 그 중에서도 직장인이나 대학생들이 가장 큰 소비의 주체이기 때문에 매장을 설립하는 위치 또한 사무실이 밀집되어 있는 장소나, 번화한 대학가등에 설립해야 하는 것이 좋다. 많은 패스트푸드점들의 위치를 살펴보면 그 도시의 중심지에 위치한 번화가나 대학로, 새로 발달하여 젊은 고객층이 많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좋은 위치에 설립하기 위해서는 설립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것이 사실이지만, 많은 패스트 푸드점들은 전 세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점포들로 하여금 음식의 생산판매 뿐만 아니라 부동산 사업 또한 함께 하고 있다.
도넛시장의 제 2의 소비자는 20대~30대를 제외한 그이외의 어린이나 가족들로 보여지고 있다. 현재까지의 도넛시장의 시장 점유율은 20~30대라는 연령층들 밖에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에 나머지 연령층의 잠재시장을 대상으로 활발하게 마케팅 전략을 펼쳐서 유치하는 것 또한 중요한 숙제이다.
(3) 포지셔닝(Positioning)
현재는 던킨도넛이 우리나라 도넛시장에서 1등기업 이라고 할 수 있다. 도넛시장 안에서만 본다면 던킨 도넛은 약 80%의 고객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 점유율 안에 크리스피 크림이 속해 있는 것이다.
TV광고나 이미지광고 등의 마케팅 촉진 전략으로 일찍부터 고객을 유치해온 던킨도넛과 상반되게 크리스피 크림은 별다른 광고 나 홍보 없이 처음에는 무료시식을 통해 수백 명의 사람들에게 퍼주기식의 마케팅을 펼쳤다. 이는 시식을 해본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통한 전략을 고안해 낸 것이라고 보여지는데, 이러한 퍼주기식의 전략이나, 입소문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던킨도넛처럼 활발한 광고촉진 전략 등을 이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광고 효과가 없기 때문에 현재 우리나라에서 고객들의 인지도뿐만 아니라 인식정도를 보아도 크리스피 크림은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이러한 크리스피 크림을 고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경쟁업체(던킨도넛)과는 다른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그 전략으로 생각해 낸 것이 바로\'Hot Doughnuts\'이다. 다른 도넛업체들을 보면 대부분이 본사에서 가져온 재료와 식품을 그대로 고객들에게 판매하고 있으며, 여러 종류의 맛을 선사해줄 수 있을지는 몰라도 도넛의 신선함이나 따뜻함을 그대로 판매해주고 있는 업체는 크리스피 크림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크리스피 크림은 각 매장당 도넛의 생산기계를 설치하여 고객들이 볼 수 있는 오픈 형 주방에서 본사에서 가져온 재료로 갓 구워낸 따뜻하고 신선한 도넛을 판매함으로써 고객으로 하여금 신뢰도를 높여줄 수 있고 맛이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신선함을 고객들에게 판매하고 있다.
현재 크리스피 크림은 경쟁사(던킨도넛)보다는 낮은 인지도와 높은 신선도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높은 신선도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신선도를 강점으로 광고 , 홍보하여 점차 고객들을 유치하고 인지도를 넓혀 나아가야 한다.
Ⅲ. 결론
도넛시장은 최근에 와서 던킨은 Coffee &Donuts 라는 문구를 중심으로 광고 / 촉진 활동을 펼침으로써 크리스피 크림을 견제하는 마케팅 활동보다는 자사의 수요를 증가시키기에 여념이 없다. 즉, 이미 도넛은 던킨도너츠라고 카테고리화함을 다시 커피와 도넛은 던킨 도너츠라고 카테고리화 하려함이다.
거기에 올해 GS그룹의 계열사인 GS리테일이 일본에서 \'미스터도넛\' 브랜드를 들여왔다. CJ에서는 독자브랜드인 \'도노스튜디오\'를 오픈 했다. 대기업이 도넛시장에 본격 진출함으로써 도넛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전망이다.
2004년 국내에 처음 상륙한 크리스피크림은 지난해 30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현재 22개의 매장으로 늘어났을 정도로 성장했다. 특유의 달콤한 맛에다 \'HOT NOW\'라는 네온사인이 켜졌을 때 도넛이 바로 만들어지는 제조 과정을 손님들이 지켜보게 해 시각과 후각, 촉각을 만족시키는 \'핫 도너츠 체험\' 콘셉트를 강조하며 여타 브랜드의 도전에 맞서고 있다.
특징으로는 손맛과 정성이 느껴지는 도너츠 작업 공간 이미지를 매장 내에 접목시켰다는 점이다. 매장 내에 들어서면 갓 구운 향긋한 도넛 냄새와 갓 뽑아낸 은은한 커피향이 나고 오픈 주방에서 맛있는 도넛 만들어 가는 소리가 난다는 것은 트렌드에 민감하고 감성을 중요시하는
(2) 표적시장(Targeting)
시장세분화에서도 보았듯이 도넛시장에 있어서 제 1의 소비자는 20대~30대라고 할 수 있겠다. 그 중에서도 직장인이나 대학생들이 가장 큰 소비의 주체이기 때문에 매장을 설립하는 위치 또한 사무실이 밀집되어 있는 장소나, 번화한 대학가등에 설립해야 하는 것이 좋다. 많은 패스트푸드점들의 위치를 살펴보면 그 도시의 중심지에 위치한 번화가나 대학로, 새로 발달하여 젊은 고객층이 많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좋은 위치에 설립하기 위해서는 설립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것이 사실이지만, 많은 패스트 푸드점들은 전 세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점포들로 하여금 음식의 생산판매 뿐만 아니라 부동산 사업 또한 함께 하고 있다.
도넛시장의 제 2의 소비자는 20대~30대를 제외한 그이외의 어린이나 가족들로 보여지고 있다. 현재까지의 도넛시장의 시장 점유율은 20~30대라는 연령층들 밖에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에 나머지 연령층의 잠재시장을 대상으로 활발하게 마케팅 전략을 펼쳐서 유치하는 것 또한 중요한 숙제이다.
(3) 포지셔닝(Positioning)
현재는 던킨도넛이 우리나라 도넛시장에서 1등기업 이라고 할 수 있다. 도넛시장 안에서만 본다면 던킨 도넛은 약 80%의 고객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 점유율 안에 크리스피 크림이 속해 있는 것이다.
TV광고나 이미지광고 등의 마케팅 촉진 전략으로 일찍부터 고객을 유치해온 던킨도넛과 상반되게 크리스피 크림은 별다른 광고 나 홍보 없이 처음에는 무료시식을 통해 수백 명의 사람들에게 퍼주기식의 마케팅을 펼쳤다. 이는 시식을 해본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통한 전략을 고안해 낸 것이라고 보여지는데, 이러한 퍼주기식의 전략이나, 입소문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던킨도넛처럼 활발한 광고촉진 전략 등을 이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광고 효과가 없기 때문에 현재 우리나라에서 고객들의 인지도뿐만 아니라 인식정도를 보아도 크리스피 크림은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이러한 크리스피 크림을 고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경쟁업체(던킨도넛)과는 다른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그 전략으로 생각해 낸 것이 바로\'Hot Doughnuts\'이다. 다른 도넛업체들을 보면 대부분이 본사에서 가져온 재료와 식품을 그대로 고객들에게 판매하고 있으며, 여러 종류의 맛을 선사해줄 수 있을지는 몰라도 도넛의 신선함이나 따뜻함을 그대로 판매해주고 있는 업체는 크리스피 크림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크리스피 크림은 각 매장당 도넛의 생산기계를 설치하여 고객들이 볼 수 있는 오픈 형 주방에서 본사에서 가져온 재료로 갓 구워낸 따뜻하고 신선한 도넛을 판매함으로써 고객으로 하여금 신뢰도를 높여줄 수 있고 맛이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신선함을 고객들에게 판매하고 있다.
현재 크리스피 크림은 경쟁사(던킨도넛)보다는 낮은 인지도와 높은 신선도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높은 신선도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신선도를 강점으로 광고 , 홍보하여 점차 고객들을 유치하고 인지도를 넓혀 나아가야 한다.
Ⅲ. 결론
도넛시장은 최근에 와서 던킨은 Coffee &Donuts 라는 문구를 중심으로 광고 / 촉진 활동을 펼침으로써 크리스피 크림을 견제하는 마케팅 활동보다는 자사의 수요를 증가시키기에 여념이 없다. 즉, 이미 도넛은 던킨도너츠라고 카테고리화함을 다시 커피와 도넛은 던킨 도너츠라고 카테고리화 하려함이다.
거기에 올해 GS그룹의 계열사인 GS리테일이 일본에서 \'미스터도넛\' 브랜드를 들여왔다. CJ에서는 독자브랜드인 \'도노스튜디오\'를 오픈 했다. 대기업이 도넛시장에 본격 진출함으로써 도넛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전망이다.
2004년 국내에 처음 상륙한 크리스피크림은 지난해 30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현재 22개의 매장으로 늘어났을 정도로 성장했다. 특유의 달콤한 맛에다 \'HOT NOW\'라는 네온사인이 켜졌을 때 도넛이 바로 만들어지는 제조 과정을 손님들이 지켜보게 해 시각과 후각, 촉각을 만족시키는 \'핫 도너츠 체험\' 콘셉트를 강조하며 여타 브랜드의 도전에 맞서고 있다.
특징으로는 손맛과 정성이 느껴지는 도너츠 작업 공간 이미지를 매장 내에 접목시켰다는 점이다. 매장 내에 들어서면 갓 구운 향긋한 도넛 냄새와 갓 뽑아낸 은은한 커피향이 나고 오픈 주방에서 맛있는 도넛 만들어 가는 소리가 난다는 것은 트렌드에 민감하고 감성을 중요시하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