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조웅전』과 군담소설
(1) 군담소설의 개념
(2) 군담소설의 내용상 특징과 『조웅전』
(3) 『조웅전』에 나타나는 군담
3. 『조웅전』의 전개 과정과 영웅소설적 면모
(1) 『조웅전』의 작품 구성과 내용
(2) 『조웅전』의 영웅소설적 면모
4. 고전소설교육의 제재로서 『조웅전』의 특징
(1) 『조웅전』이 지어질 당시 작자층과 시대적 상황
(2) 『조웅전』의 서술상의 특징
(3) 『조웅전』의 이본 양상
(4) 고전소설교육의 제재로서의 『조웅전』 - 수업의 구상
5. 결 론
2. 『조웅전』과 군담소설
(1) 군담소설의 개념
(2) 군담소설의 내용상 특징과 『조웅전』
(3) 『조웅전』에 나타나는 군담
3. 『조웅전』의 전개 과정과 영웅소설적 면모
(1) 『조웅전』의 작품 구성과 내용
(2) 『조웅전』의 영웅소설적 면모
4. 고전소설교육의 제재로서 『조웅전』의 특징
(1) 『조웅전』이 지어질 당시 작자층과 시대적 상황
(2) 『조웅전』의 서술상의 특징
(3) 『조웅전』의 이본 양상
(4) 고전소설교육의 제재로서의 『조웅전』 - 수업의 구상
5. 결 론
본문내용
태자는 귀양을 가고 조웅은 이두병을 모욕하는 글을 쓰고 자취를 감춘다.
이두병은 조웅 모자를 잡아 바치면 상금과 봉후하겠다고 각 고을에 통문한다.
조웅 모(왕부인)는 조웅을 데리고 각지를 전전, 죽은 남편의 현몽으로 고난 끝에 월경대사를 만나 거처를 얻게 되고 조웅은 대사에게 글과 도술을 배운다.
― 전환(고난)
조웅이 각지를 유람하던 중 어떤 노인(화산도사)에게서 조웅검을 얻는다.
관산에서 철관대사를 만나 천문지리와 육도삼략을 배우고 천리마를 얻는다.
수련 중 모친과 상봉하기 위해 길을 달리다 위나라 장진사집에 이르러 장소저를 만나 운우지정을 나누고 몰래 백년가약을 맺은 뒤 징표를 준다.
장소저가 병을 얻어 죽을 위기에 처하자 조웅은 철관대사에게 선약을 얻어 구한다.
― 위기(극복)
서번이 강성하여 위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조웅이 나타나 적장의 머리를 베고 위왕으로부터 대원수에 임명된다.
조웅(조원수)이 군사를 모아 번진으로 돌격하자 번왕과 번장이 변복하고 도망한다.
번군이 깊은 밤에 조웅을 납치하려하나 오히려 조웅이 번진을 포위하고 항서를 받는다.
― 절정(회운)
조웅이 위왕을 구하고 태자를 모셔와 구신들과 힘을 합쳐 황성으로 진격하여 이두병을 몰아낸다.
태자가 환궁하자 이두병의 반역죄를 물어 죽인다.
새 황제는 조웅을 번왕으로 삼고 부인들에게 작위를 하사한다.
― 결말(행복)
번왕은 가족들을 이끌고 번국으로 떠난다.
천하가 태평하여 격양가를 부르며 즐긴다.
번국의 백성들이 번왕의 충성을 찬양한다.
이상의 구성을 도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윤경수, 위의 글 p.155
어둠
입사식
광명
싸움
승리
고
난
전환
결말
극
복
역경
행운
전개
절정
비운
회운
발단
위기
곰
동굴
웅녀
이렇게 조웅이 자라서 죽을 고비를 넘기고 고난을 극복하여 마침내 번왕으로 신분이 상승된 것은 집단 무의식에 의한 국조신화의 동굴모티프의 수용이라고 보는 것이다. 집단무의식의 개념을 조선 후기 독자들의 향유 욕구와 연관시켜 본다면, 일견 『조웅전』이 『춘향전』 다음으로 가장 많은 이본이 생산된 작품이라는 점 조희웅(1978), 위의 글 pp. 121~122
에서 일리가 있는 견해라 생각된다.
○ 『조웅전』의 영웅소설적 면모
『조웅전』은 창작 군담소설로서, 이름부터 영웅의 기세가 엿보이는 주인공 ‘조웅’의 일대기를 취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동일의 유명한 ‘영웅의 일대기’ 구성과 『조웅전』에서 조웅의 일대기와 대비시켜 본다면 다음과 같다.
구분
영웅의 일대기 조동일, 「영웅의 일생, 그 문학사적 전개」, 『동아문화』10, 서울대동아문화연구소, 1971, p.169
조웅의 일대기
1
고귀한 혈통을 가진 인물이다.
명승상 조정인의 유복자로 태어난다.
2
잉태나 출생이 비정상적이다.
-
3
凡人과는 다른 탁월한 능력을 타고났다.
분명치 않으나, 어려서부터 황제의 총애를 받는다.
4
어려서 棄兒가 되어 죽을 고비를 만나지만, 조력자의 도움으로 벗어난다.
逆臣 이두병으로부터 추격을 당하다가, 부친 현몽, 도사들로부터 도움을 받는다.
5
자라서 다시 위기에 부딪친다.
이두병과 번왕 때문에 나라가 위기에 처한다.
6
위기를 투쟁적으로 극복하고 승리자가 된다.
도사들의 도움으로 적을 물리치고 부귀를 누린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주인공의 탄생에 있어서 天上人의 謫降과 祈子 정성, 胎夢과 같은 비정상적인 출생의 모티프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다른 영웅소설들과 마찬가지로 『조웅전』도 상당히 판에 박힌 영웅소설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특이한 점은 고난을 극복하는 장면에서 번번이 도사와 같은 조력자들의 도움을 받는다는 것이다. 『구운몽』이나 『숙
이두병은 조웅 모자를 잡아 바치면 상금과 봉후하겠다고 각 고을에 통문한다.
조웅 모(왕부인)는 조웅을 데리고 각지를 전전, 죽은 남편의 현몽으로 고난 끝에 월경대사를 만나 거처를 얻게 되고 조웅은 대사에게 글과 도술을 배운다.
― 전환(고난)
조웅이 각지를 유람하던 중 어떤 노인(화산도사)에게서 조웅검을 얻는다.
관산에서 철관대사를 만나 천문지리와 육도삼략을 배우고 천리마를 얻는다.
수련 중 모친과 상봉하기 위해 길을 달리다 위나라 장진사집에 이르러 장소저를 만나 운우지정을 나누고 몰래 백년가약을 맺은 뒤 징표를 준다.
장소저가 병을 얻어 죽을 위기에 처하자 조웅은 철관대사에게 선약을 얻어 구한다.
― 위기(극복)
서번이 강성하여 위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조웅이 나타나 적장의 머리를 베고 위왕으로부터 대원수에 임명된다.
조웅(조원수)이 군사를 모아 번진으로 돌격하자 번왕과 번장이 변복하고 도망한다.
번군이 깊은 밤에 조웅을 납치하려하나 오히려 조웅이 번진을 포위하고 항서를 받는다.
― 절정(회운)
조웅이 위왕을 구하고 태자를 모셔와 구신들과 힘을 합쳐 황성으로 진격하여 이두병을 몰아낸다.
태자가 환궁하자 이두병의 반역죄를 물어 죽인다.
새 황제는 조웅을 번왕으로 삼고 부인들에게 작위를 하사한다.
― 결말(행복)
번왕은 가족들을 이끌고 번국으로 떠난다.
천하가 태평하여 격양가를 부르며 즐긴다.
번국의 백성들이 번왕의 충성을 찬양한다.
이상의 구성을 도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윤경수, 위의 글 p.155
어둠
입사식
광명
싸움
승리
고
난
전환
결말
극
복
역경
행운
전개
절정
비운
회운
발단
위기
곰
동굴
웅녀
이렇게 조웅이 자라서 죽을 고비를 넘기고 고난을 극복하여 마침내 번왕으로 신분이 상승된 것은 집단 무의식에 의한 국조신화의 동굴모티프의 수용이라고 보는 것이다. 집단무의식의 개념을 조선 후기 독자들의 향유 욕구와 연관시켜 본다면, 일견 『조웅전』이 『춘향전』 다음으로 가장 많은 이본이 생산된 작품이라는 점 조희웅(1978), 위의 글 pp. 121~122
에서 일리가 있는 견해라 생각된다.
○ 『조웅전』의 영웅소설적 면모
『조웅전』은 창작 군담소설로서, 이름부터 영웅의 기세가 엿보이는 주인공 ‘조웅’의 일대기를 취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동일의 유명한 ‘영웅의 일대기’ 구성과 『조웅전』에서 조웅의 일대기와 대비시켜 본다면 다음과 같다.
구분
영웅의 일대기 조동일, 「영웅의 일생, 그 문학사적 전개」, 『동아문화』10, 서울대동아문화연구소, 1971, p.169
조웅의 일대기
1
고귀한 혈통을 가진 인물이다.
명승상 조정인의 유복자로 태어난다.
2
잉태나 출생이 비정상적이다.
-
3
凡人과는 다른 탁월한 능력을 타고났다.
분명치 않으나, 어려서부터 황제의 총애를 받는다.
4
어려서 棄兒가 되어 죽을 고비를 만나지만, 조력자의 도움으로 벗어난다.
逆臣 이두병으로부터 추격을 당하다가, 부친 현몽, 도사들로부터 도움을 받는다.
5
자라서 다시 위기에 부딪친다.
이두병과 번왕 때문에 나라가 위기에 처한다.
6
위기를 투쟁적으로 극복하고 승리자가 된다.
도사들의 도움으로 적을 물리치고 부귀를 누린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주인공의 탄생에 있어서 天上人의 謫降과 祈子 정성, 胎夢과 같은 비정상적인 출생의 모티프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다른 영웅소설들과 마찬가지로 『조웅전』도 상당히 판에 박힌 영웅소설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특이한 점은 고난을 극복하는 장면에서 번번이 도사와 같은 조력자들의 도움을 받는다는 것이다. 『구운몽』이나 『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