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평폐쇄음화 정의와 단어 용례
2. ㅎ -> ㄷ 논란
(1) ㅎ -> ㄷ 긍정론
(2) ㅎ -> ㄷ 부정론
(3) 보편적 견해
3. 규칙의 적용 및 적용 조건
4. 규칙과 도출
5. 평폐쇄음화와 중화
6. 표준 발음법
2. ㅎ -> ㄷ 논란
(1) ㅎ -> ㄷ 긍정론
(2) ㅎ -> ㄷ 부정론
(3) 보편적 견해
3. 규칙의 적용 및 적용 조건
4. 규칙과 도출
5. 평폐쇄음화와 중화
6. 표준 발음법
본문내용
로, 전설장애음은 전설음 ㄷ으로, 후설장애음은 후설음 ㄱ으로 바뀐다. 파찰음이나 마찰음은 폐쇄음으로 바뀌고 폐쇄음 중에서 경음이나 유기음은 평음으로 바뀌는 것이다. 따라서 평폐쇄음화는 폐쇄음화와 평음화가 동시에 일어나는 음운과정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평폐쇄음화가 일어나는 것은 음절말자음이 불파음이어야 한다는 국어의 특성 때문이다. 불파음으로 발음될 수 없는 마찰음과 파찰음, 그리고 경음과 유기음이 불파음으로 실현되기 위해 평폐쇄음으로 바뀌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 ㅎ -> ㄷ 논란
놓고〔노코〕 놓지〔노치〕 놓더라〔노터라〕 -> 유기음화
놓는〔논는〕 -> 비음화
놓습니다 〔노씀니다〕 -> 경음화
(1) ㅎ -> ㄷ 긍정론 배주채(2003) 국어음운론 개설, 신구문화사
ㅎ + ㄴ의 경우
놓 + 는 ->
2. ㅎ -> ㄷ 논란
놓고〔노코〕 놓지〔노치〕 놓더라〔노터라〕 -> 유기음화
놓는〔논는〕 -> 비음화
놓습니다 〔노씀니다〕 -> 경음화
(1) ㅎ -> ㄷ 긍정론 배주채(2003) 국어음운론 개설, 신구문화사
ㅎ + ㄴ의 경우
놓 + 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