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중화와 평폐쇄음화
3. 평폐쇄음화의 방향
3.1. 입력이 ㅎ이 아닌 경우
3.2. 입력이 ㅎ인 경우
3.3. ㅎ → ㄷ 긍정론과 마찰음화
3.4. ㅎ→ㄷ 부정론
3.5. 정리
4. 평폐쇄음화의 환경
4.1. 두 견해
4.2. 잠재 휴지
5. 음절의 끝소리 규칙 정리
6. 마무리
[참고 문헌]
2. 중화와 평폐쇄음화
3. 평폐쇄음화의 방향
3.1. 입력이 ㅎ이 아닌 경우
3.2. 입력이 ㅎ인 경우
3.3. ㅎ → ㄷ 긍정론과 마찰음화
3.4. ㅎ→ㄷ 부정론
3.5. 정리
4. 평폐쇄음화의 환경
4.1. 두 견해
4.2. 잠재 휴지
5. 음절의 끝소리 규칙 정리
6. 마무리
[참고 문헌]
본문내용
국어의 평폐쇄음화 현상에 대하여 배주체, 음절말 평폐쇄음화에 대하여, ‘관학어문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2, 181~203의 내용을 요약한 것임.
1. 머리말
한 형태소는 한 가지의 음운 형태만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태소와 만나면 그 형태소의 음운이 바뀌는 일이 있다. ‘꽃’이란 형태소는 단독으로 발음될 때에는 [
1. 머리말
한 형태소는 한 가지의 음운 형태만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태소와 만나면 그 형태소의 음운이 바뀌는 일이 있다. ‘꽃’이란 형태소는 단독으로 발음될 때에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