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문학사의 의미와 범주
2. 국문학사의 유형과 시대구분의 문제
3. 국문학사의 전개
4. 형성기
2. 국문학사의 유형과 시대구분의 문제
3. 국문학사의 전개
4. 형성기
본문내용
전 등으로 전래.
인도 설화에서 왔다는 설도 있음.
(3) 시가의 발생
① 원시종합예술
- 가무악의 삼위일체.
모든 문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노동요적 성격을 지님.
② 국중대회 (나라굿) - 夫餘의 迎鼓, 高句麗의 東盟, 濊의 舞天 등
→ 파종, 수확기에 거행.
국가 규모의 행사. 서사적 성격의 노래
③ 도솔가
- 신라 유리왕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거의 같은 내용으로 실려 있음.
兜率 - 미륵의 거처.
돗노래 → 터노래 → 신라의 국가상을 노래한 것이다. (양주동)
두레노래 → 노동요 (이해고)
有嗟辭 詞惱格 - 감탄사(嗟)가 있고, 향찰의 형식이다.
(4) 한문(漢文)의 전래(傳來)
1) 전래
- B.C 2세기 경.
한무제의 한사군(漢四郡) 경영으로 가속화.
고조선(古朝鮮)의 공후인(引) 발생.
2) 금석문
3) 공무도하가(=공후인)
4) 황조가(黃鳥歌)
3. 형성기
(1) 민족통일과 국문학의 형성
- 신라에 의한 삼국 통일.
→ 국문학의 형성.
구전 문학이 문자로 정착 - 향찰(이두), 한문의 도입.
(2) 향찰의 출현
향찰 - 한자의 音(소리), 訓(새김), 意(뜻)을 빌려 쓴 차자.
우리말과 어순이 같다.
이두 - 우리말의 부사나 조사/어미 +한문의 문장 구조(음, 훈, 의)
→ 향찰보다 우리말스러움.
구결 - ‘토’로 사용.
⇒ 표의문자인 한문을 표음문자화 하여 사용.
한자의 음, 훈, 의를 빌려 우리말의 어순대로 적음.
(3) 향가(鄕歌)와 향곡(鄕曲)
1) 향가
① 향가의 범주
- 향찰 -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7세기 이후에 일반화?
- 형식 - 삼구육명.(균여전)
- 협의 - 서동요
인도 설화에서 왔다는 설도 있음.
(3) 시가의 발생
① 원시종합예술
- 가무악의 삼위일체.
모든 문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노동요적 성격을 지님.
② 국중대회 (나라굿) - 夫餘의 迎鼓, 高句麗의 東盟, 濊의 舞天 등
→ 파종, 수확기에 거행.
국가 규모의 행사. 서사적 성격의 노래
③ 도솔가
- 신라 유리왕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거의 같은 내용으로 실려 있음.
兜率 - 미륵의 거처.
돗노래 → 터노래 → 신라의 국가상을 노래한 것이다. (양주동)
두레노래 → 노동요 (이해고)
有嗟辭 詞惱格 - 감탄사(嗟)가 있고, 향찰의 형식이다.
(4) 한문(漢文)의 전래(傳來)
1) 전래
- B.C 2세기 경.
한무제의 한사군(漢四郡) 경영으로 가속화.
고조선(古朝鮮)의 공후인(引) 발생.
2) 금석문
3) 공무도하가(=공후인)
4) 황조가(黃鳥歌)
3. 형성기
(1) 민족통일과 국문학의 형성
- 신라에 의한 삼국 통일.
→ 국문학의 형성.
구전 문학이 문자로 정착 - 향찰(이두), 한문의 도입.
(2) 향찰의 출현
향찰 - 한자의 音(소리), 訓(새김), 意(뜻)을 빌려 쓴 차자.
우리말과 어순이 같다.
이두 - 우리말의 부사나 조사/어미 +한문의 문장 구조(음, 훈, 의)
→ 향찰보다 우리말스러움.
구결 - ‘토’로 사용.
⇒ 표의문자인 한문을 표음문자화 하여 사용.
한자의 음, 훈, 의를 빌려 우리말의 어순대로 적음.
(3) 향가(鄕歌)와 향곡(鄕曲)
1) 향가
① 향가의 범주
- 향찰 -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7세기 이후에 일반화?
- 형식 - 삼구육명.(균여전)
- 협의 - 서동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