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행동주의 학습이론][스키너][파블로프][손다이크][행동주의]학습의 정의, 학습의 원리, 학습의 과정 고찰, 스키너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파블로프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손다이크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습][행동주의 학습이론][스키너][파블로프][손다이크][행동주의]학습의 정의, 학습의 원리, 학습의 과정 고찰, 스키너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파블로프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손다이크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학습의 정의

Ⅲ. 학습의 원리
1. 반복 연습
2. 강화
3. 일반화와 변별

Ⅳ. 학습의 과정
1. 행동 조형
2. 강화계획
1) 강화의 종류
2) 간헐적 강화의 종류

Ⅴ. 스키너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1. 스키너의 작동적 조건화이론 정의
2. 쥐 실험

Ⅵ. 파블로프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1. 조건반사설의 개념
2. 실험
3. 학습의 원리
4. 고전적 조건화의 기본개념들
5. 고차적 조건현성
6. 생활 속의 고전적 조건화

Ⅶ. 손다이크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그는 교육실제에 관심이 컸던 사람으로 그의 학습에 대한 관점, 즉 강화의 조작을 통해 자극-반응의 결속을 수반하는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생각은 학습심리학에서 지배적인 견해가 되었다. 손다이크(Thorndike)는 학습의 기본형식을 특정자극(S;Stimulus)에 대한 시행착오적인 반응(R;response)의 결합으로 보았다. 손다이크는 이 이론의 정립을 위해서 쥐의 미로실험과 고양이 문제함 실험을 하였다. 생활체는 시행착오적 반응을 반복하는 가운데 실패의 반응은 줄어들고 성공적 반응은 강화되어 학습이 성립된다. 손다이크의 결합주의(connectionism)란 그의 실험실에서 개를 관찰했던 시기에 실험실에서 고양이를 관찰하였다. 손다이크는 고양이를 적절 히 조작하면서 문이 열릴 수 있는 작은 우리(방) 속에다 배고픈 고양이를 넣었다. 그리고 그 방 밖에다 접시에 음식을 담아 놓았다. 이는 고양이로 하여금 방에서부터 밖으로 나오려고 하는 강한 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해서였다. 고양이는 배가 고플 때마다 시행착오(trial and error)를 거쳐 우연히 그 방의 문을 여는 것을 배우게 되었다. 여기에서 손다이크는 이러한 실험을 통해서 학습에서의 강화(reinforcement)의 중요성을 발견하였다. 즉, 반응의 결과는 자극과 반응간의 결합을 강화시킨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에 있어서 보상이란 그 학습이 얼마나 빨리 이루어지는가를 결정하게 된다는 것이다. 손다이크는 여기에서 만족스러운 결과에 의하여 자극과 반응간의 결합이 강해진다는 효과의 법칙(law of effect)을 발견하였다.
그는 학습의 법칙을 3가지로 제시하였는데, 그 중에서 효과의 법칙(law of effect)은 그가 학습에 있어서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한 부분이다. 이것은 자극-반응 연합의 각인이 자극과 반응이 반드시 함께 발생해야 한다는 사실뿐만 아니라 반응 후에 뒤따르는 효과에도 의존함을 말한다. 만일 반응 후에 만족인자, 예컨대 고양이 실험에서 맛있는 먹이와 같은 보상이 주어지면 그 자극-반응 연합은 강화된다. 그러나 반응 후에 불쾌한 결과가 주어지면 자극-반응의 연합은 약화된다. 반응의 만족스런 또는 불만족스러운 효과가 자극-반응 연합의 각인 여부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효과의 법칙 이외 쏜다이크는 시행과 착오의 연습을 많이 할수록 학습이 잘 된다는 연습의 법칙(law of exercise)과 고양이는 굶주려 있을 때 더 적극적으로 탈출하는데, 즉 학습자가 학습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학습한다면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준비성의 법칙(law of readiness)을 제시하였다. 한편 쏜다이크의 이론을 도구적 조건형성(instrumental conditioning)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그것은 반응이 결과를 산출하는데 있어서 도구적 역할을 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즉 고양이는 끈을 잡아당기는 반응을 통해서(반응의 도구적 사용) 먹이와 자유를 얻을 수 있는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Ⅷ. 결론
행동주의적 학습이론은 과거나 미래보다 현재의 구체적인 행동을 강조한다. 행동주의적 접근은 많은 다른 접근과는 달리 한 학자에 의해 체계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접근하는 방법에 따라서는 아주 다른 접근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행동주의적 학습이론에 접근한 대표적인 학자들이 바로 파블로프, 손다이크 그리고 스키너인 것이다. 파블로프는 소거와 자발적 회복, 일반화와 변별이라는 반응을 개를 이용한 타액분비 실험으로 유기체로부터 반응을 인출하였다. 스키너는 강화, 벌, 그리고 도피와 회피 등의 결과를 보상이 조작적 반응을 일으키는 비율에 주는 영향에 관심을 두면서 이론을 정립하였다. 이에 반해 같은 도구적 조건형성을 연구한 손다이크는 보상에 따른 과제수행에만 관심을 보이고 연구 결과를 얻어내었다.
참고문헌
김아영 외 3인 공역(2003), 교육심리학, 서울 박학사
심우협(2001), 교육심리학, 서울 교육과학사
오만록, 현대 학습이론, 동신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임의영(1993), 스키너의 행동주의적 인간관, 서울 문학과 지성사
오세진, 임영식(1999), Skinner의 급진적 행동주의, 중앙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프로이드, 스키너, 로저스, RobertD.Nye 지음-이영만·유병관 옮김, 심리학과 인간이해
David R. Shaffer, 송길연 외 역(1999, Developmental Psychology, 서울 시그마프레스
Paul Chance 지음, 김문수, 박소현 옮김, 학습과 행동 제 5판, 시그마프레스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8.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75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