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루소(Jean Jacques Rousseau, 1712-1778)
(1) 생애
(2) 교육사상
가. 자연주의
나. 아동중심교육사상
다. 『에밀』
2. 범애학파의 교육
(1) 바제도우(Johann Bernhard Basedow, 1724-1790)
참고문헌
(1) 생애
(2) 교육사상
가. 자연주의
나. 아동중심교육사상
다. 『에밀』
2. 범애학파의 교육
(1) 바제도우(Johann Bernhard Basedow, 1724-1790)
참고문헌
본문내용
(Johann Bernhard Basedow, 1724-1790)
1724년 독일의 함부르크에서 태어난 바제도우는 범애학파의 핵심인물이다. 그는 함부르크의 김나지움을 다녔고 라이프찌히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하였다. 그 후 가정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키일대학에서 새로운 수업방법에 관한 논문을 썼다. 1753년에는 덴마크의 기사아카데미(Ritterakademie)의 교수가 되어 도덕철학과 웅변을 가르쳤고 1761년 알토나에서는 김나지움교수
) 독일에서는 김나지움에서 근무하는 교사 중 일정한 자질을 갖춘 교사에게는 교수라는 칭호를 사용하고 있다.
로 활동하였다. 이 시기에 그는 신학, 철학, 교육학에 관한 많은 저술활동을 하였는데 바제도우는 루소의 『에밀』과 라 샬로테의 『국민교육론』에 큰 영향을 받아 1768년 『학교 및 학문과 이들의 공공복지에 대한 영향에 관하여 인류의 벗과 재력가들에게 말함』을 썼고 이를 통해 학교에 대해 국가의 중앙집권적 행정, 통일적인 학교제도, 종교적 개방성 등 독일의 학교개혁을 주장하였다. 그는 자신의 교육개혁안에 관한 정신적, 재정적 지원을 호소하였고 이로써 얻은 모금으로 1774년 독일의 데싸우(Dessau)에 범애학교를 쇼설립하였다. 1774년 바제도우는 그림이 삽입된 『초등공부(Elementarwerk)』를 출판하였다. 이는 교육방법에 관한 이론적인 해설서로 교육목적, 교육과정, 교수방법의 문제를 제시하고 있으며 인문학과 자연과학에 관한 여러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범애학교는 자연주의 교육사상을 실천에 옮기고자 했기 때문에 학생들의 짧은 머리, 헐렁한 옷, 열린 옷깃 등 위생적이고 자연적인 것을 강조했다. 그리고 부유한 집안의 자녀에게서는 교육비를 받은 반면, 가난한 집 자녀의 교육비는 면제해 주거나 적은 금액만을 받았다.
바제도우는 교육의 목적은 어린이가 행복을 누릴 수 있고 동시에 공공의 이익증진에 공헌하며 애국적인 생활을 하도록 안내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즉 교육이란 개인의 행복과 국가의 복지에 공헌하는 것이어야 하며, 이에 따라 교육내용은 실생활에 유용한 것, 그리고 행복한 생활을 위해 준비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바제도우는 작업장에서의 목공일을 통해 장롱과 책상, 의자 만들기 등 실제 체험을 하게 하였다. 또한 농장이나 정원에서 채소와 과일을 재배함으로써 자연을 체험하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직관적이고 자발적인 학습활동, 생동적인 외국어 학습, 모국어 교재를 통한 교육 등을 강조하였다. 그 밖에 신체단련을 위해 검술, 승마, 무용, 수영, 소풍, 축제, 야영 등의 체육교육과 여행을 실시하였다.
바제도우의 교육방법은 루소의 자연주의적 교육과 라 샬로테의 국가교육사상의 장점만을 모아 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그의 독특한 교육방법으로 유아교육에 있어서 놀이를 강조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한편 바제도우는 루소와 달리 교과서의 중요성을 논하고 유용성에 따라 사용할 것을 주장했다. 즉 그는 보통 사람을 위한 특수학교와 10세-15세까지의 부유한 계층의 자녀를 위한 일반학교를 제안하면서 학교 설립안의 실현가능성은 교사와 교과서, 특히 교과서의 확보여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하였다. 교사가 열심히 가르치고자 하고 교과서의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고자 하는 자세를 갖추고 있다면 교사에게 별도로 특별 교육을 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바제도우의 범애학교는 라틴어 같은 고전어보다는 모국어를, 그리고 일반교양교육보다는 직업을 위한 실용적인 교육을 강조했기 때문에 19세기 신인문주의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참고문헌
조경원·김미환·최양미·장선희·정광희 공저, 서양교육의 이해-역사와 사상, 교육과학사
1724년 독일의 함부르크에서 태어난 바제도우는 범애학파의 핵심인물이다. 그는 함부르크의 김나지움을 다녔고 라이프찌히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하였다. 그 후 가정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키일대학에서 새로운 수업방법에 관한 논문을 썼다. 1753년에는 덴마크의 기사아카데미(Ritterakademie)의 교수가 되어 도덕철학과 웅변을 가르쳤고 1761년 알토나에서는 김나지움교수
) 독일에서는 김나지움에서 근무하는 교사 중 일정한 자질을 갖춘 교사에게는 교수라는 칭호를 사용하고 있다.
로 활동하였다. 이 시기에 그는 신학, 철학, 교육학에 관한 많은 저술활동을 하였는데 바제도우는 루소의 『에밀』과 라 샬로테의 『국민교육론』에 큰 영향을 받아 1768년 『학교 및 학문과 이들의 공공복지에 대한 영향에 관하여 인류의 벗과 재력가들에게 말함』을 썼고 이를 통해 학교에 대해 국가의 중앙집권적 행정, 통일적인 학교제도, 종교적 개방성 등 독일의 학교개혁을 주장하였다. 그는 자신의 교육개혁안에 관한 정신적, 재정적 지원을 호소하였고 이로써 얻은 모금으로 1774년 독일의 데싸우(Dessau)에 범애학교를 쇼설립하였다. 1774년 바제도우는 그림이 삽입된 『초등공부(Elementarwerk)』를 출판하였다. 이는 교육방법에 관한 이론적인 해설서로 교육목적, 교육과정, 교수방법의 문제를 제시하고 있으며 인문학과 자연과학에 관한 여러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범애학교는 자연주의 교육사상을 실천에 옮기고자 했기 때문에 학생들의 짧은 머리, 헐렁한 옷, 열린 옷깃 등 위생적이고 자연적인 것을 강조했다. 그리고 부유한 집안의 자녀에게서는 교육비를 받은 반면, 가난한 집 자녀의 교육비는 면제해 주거나 적은 금액만을 받았다.
바제도우는 교육의 목적은 어린이가 행복을 누릴 수 있고 동시에 공공의 이익증진에 공헌하며 애국적인 생활을 하도록 안내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즉 교육이란 개인의 행복과 국가의 복지에 공헌하는 것이어야 하며, 이에 따라 교육내용은 실생활에 유용한 것, 그리고 행복한 생활을 위해 준비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바제도우는 작업장에서의 목공일을 통해 장롱과 책상, 의자 만들기 등 실제 체험을 하게 하였다. 또한 농장이나 정원에서 채소와 과일을 재배함으로써 자연을 체험하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직관적이고 자발적인 학습활동, 생동적인 외국어 학습, 모국어 교재를 통한 교육 등을 강조하였다. 그 밖에 신체단련을 위해 검술, 승마, 무용, 수영, 소풍, 축제, 야영 등의 체육교육과 여행을 실시하였다.
바제도우의 교육방법은 루소의 자연주의적 교육과 라 샬로테의 국가교육사상의 장점만을 모아 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그의 독특한 교육방법으로 유아교육에 있어서 놀이를 강조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한편 바제도우는 루소와 달리 교과서의 중요성을 논하고 유용성에 따라 사용할 것을 주장했다. 즉 그는 보통 사람을 위한 특수학교와 10세-15세까지의 부유한 계층의 자녀를 위한 일반학교를 제안하면서 학교 설립안의 실현가능성은 교사와 교과서, 특히 교과서의 확보여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하였다. 교사가 열심히 가르치고자 하고 교과서의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고자 하는 자세를 갖추고 있다면 교사에게 별도로 특별 교육을 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바제도우의 범애학교는 라틴어 같은 고전어보다는 모국어를, 그리고 일반교양교육보다는 직업을 위한 실용적인 교육을 강조했기 때문에 19세기 신인문주의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참고문헌
조경원·김미환·최양미·장선희·정광희 공저, 서양교육의 이해-역사와 사상, 교육과학사
추천자료
- 사실주의, 자연주의
- 존듀이의 자연주의 교육관 , 전통적 교육관의 개념과 비교분석
- 자연주의와 낭만주의 교육
- 자연주의적 교육 [自然主義的敎育]
- [교육철학]자연주의 교육사상
- [일본문학][자연주의][신감각파][오에 겐자부로][파계]일본문학의 특징, 일본문학과 자연주의...
- 교육철학이란 무엇인가, 자연주의와 교육(교육학 발표 자료)
- 자연주의와 이상주의
- 자연주의
- [교육고전의이해]교재에 소개된 고전 중 1권을 선택하여 읽고, 독후감을 작성 - [루소의 에밀]
- [자연주의] 자연주의 바르비종파 밀레와 농민화 서민의 삶
- 자연주의
- (인간과교육) 주입식, 자연주의, 진보주의, 실존주의 교육관을 비교 및 에릭슨의 성격발달...
- 주입식교육관과 성장식교육관(자연주의,진보주의 실존주의교육관)을 비교설명,그 교육적 시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