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행동주의적 접근
1.Pavlov의 고전적 조건화
2.Guthrie의 근접설
3.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
4.Thorndike의 시행착오설
인지주의적 접근
1.인지이론의 형성과정
1)형태주의
2)통찰이론
(1)Kohler의 통찰설
(2)Lewin의 장이론
3)Tolman의 기호_형태이론
2.정보처리 이론
(1)감각등록기
(2)작업기억과 단기기억
(3)장기기억
2)처리수준 이론
1.Pavlov의 고전적 조건화
2.Guthrie의 근접설
3.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
4.Thorndike의 시행착오설
인지주의적 접근
1.인지이론의 형성과정
1)형태주의
2)통찰이론
(1)Kohler의 통찰설
(2)Lewin의 장이론
3)Tolman의 기호_형태이론
2.정보처리 이론
(1)감각등록기
(2)작업기억과 단기기억
(3)장기기억
2)처리수준 이론
본문내용
이 처해있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역동적이며 전체적인 통합체에 의한 결과로 보았다.
이와 같이 그는 장 이론을 도입하여 학습을 개인과 환경과의 역동적 관계로 형성되는 장에서 인지구조가 성립한다던가, 기존의 인지구조가 재구조화되는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인지구조의 변화는 인지의 분화, 인지의 일반화, 인지의 재구조화 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3)Tolman의 기호_형태이론
Tolman에 있어서 학습은 유기체의 기대화 이러한 기대를 충족하는 목표간에 의미 체계를 형성해줄 것으로 예상되는 환경 내의 단서 간의 관계에 대한 인지의 획득이다. 다시 말해서 어떤 추제적인 자그은 일정한 행동의 결과로서, 어떤 결과를 획득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되는 시호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학습은 이러한 수단-목적 관계의 성립 또는 기호-의미체계 간의 관계의 성립을 볼 수 있다.
(1)보상 기대 실험
보상기대의 실험에서 밀상자 속의 동물은 자신이 어떤 장소에 가면 어떤 보상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며, 만일 보상이 기대했던 것과 다를 때 좌절을 경험하게 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2)장소학습 실험
장소학습 실험에서 Tolman은 쥐의 미로 학습이 행동주의자들의 주장대로 자극과 반응의 결합인지 혹은 인지도에 의한 장소 학습인지를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유기체의 학습은 장소에 대한 인지도를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3)잠재 학습 실험
잠재 학습은 일반적으로 어느 한 순간에 유기체에게 잠재되어 있지만 학습의 수행으로 나타나지 않은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2.정보처리 이론
1)중다저장 이론 정보처리적 접근에서는 기억이란 감각기관에 유입된 정보를 기화화하고, 이를저장하며, 반응을 위해 인출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기억체제를 감각기억 장치, 단기기억 장치, 장기기억 장치로 구분하고 있다. 이와 같이 3단계의 기억과정을 거치는 것을 구조론적 입장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정보처리 이론에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학습을 학습자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과정으로 가정한다.
(1)감각등록기
감각수용 기관을 통하려 정보를 최초로 저장하는 곳으로 투입되는 정보가 즉시 처리되지 않을 경우 그 정보는 곧 유실된다.
(2)작업기억과 단기기억
청킹의 적극적인 활용은 제한된 작동기억의 수용량을 증가시키는 좋은 방안이다.
(3)장기기억
일상기억과 의미기억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기기억은 주로 개인의 경험을 보유하는 저장소이다. 정보는
이와 같이 그는 장 이론을 도입하여 학습을 개인과 환경과의 역동적 관계로 형성되는 장에서 인지구조가 성립한다던가, 기존의 인지구조가 재구조화되는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인지구조의 변화는 인지의 분화, 인지의 일반화, 인지의 재구조화 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3)Tolman의 기호_형태이론
Tolman에 있어서 학습은 유기체의 기대화 이러한 기대를 충족하는 목표간에 의미 체계를 형성해줄 것으로 예상되는 환경 내의 단서 간의 관계에 대한 인지의 획득이다. 다시 말해서 어떤 추제적인 자그은 일정한 행동의 결과로서, 어떤 결과를 획득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되는 시호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학습은 이러한 수단-목적 관계의 성립 또는 기호-의미체계 간의 관계의 성립을 볼 수 있다.
(1)보상 기대 실험
보상기대의 실험에서 밀상자 속의 동물은 자신이 어떤 장소에 가면 어떤 보상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며, 만일 보상이 기대했던 것과 다를 때 좌절을 경험하게 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2)장소학습 실험
장소학습 실험에서 Tolman은 쥐의 미로 학습이 행동주의자들의 주장대로 자극과 반응의 결합인지 혹은 인지도에 의한 장소 학습인지를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유기체의 학습은 장소에 대한 인지도를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3)잠재 학습 실험
잠재 학습은 일반적으로 어느 한 순간에 유기체에게 잠재되어 있지만 학습의 수행으로 나타나지 않은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2.정보처리 이론
1)중다저장 이론 정보처리적 접근에서는 기억이란 감각기관에 유입된 정보를 기화화하고, 이를저장하며, 반응을 위해 인출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기억체제를 감각기억 장치, 단기기억 장치, 장기기억 장치로 구분하고 있다. 이와 같이 3단계의 기억과정을 거치는 것을 구조론적 입장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정보처리 이론에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학습을 학습자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과정으로 가정한다.
(1)감각등록기
감각수용 기관을 통하려 정보를 최초로 저장하는 곳으로 투입되는 정보가 즉시 처리되지 않을 경우 그 정보는 곧 유실된다.
(2)작업기억과 단기기억
청킹의 적극적인 활용은 제한된 작동기억의 수용량을 증가시키는 좋은 방안이다.
(3)장기기억
일상기억과 의미기억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기기억은 주로 개인의 경험을 보유하는 저장소이다. 정보는
추천자료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학습의 행동주의적 관점
행동주의적접근(왓슨,반두라)
파블로브와 스키너 학습이론의 비교와 이를 바탕으로 한 교수이론의 특징
학습의 행동주의적 관점
사회학습이론 핵심요점정리
[교육학]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교육학) 표로 깔끔히정리!
인간 학습이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예체능] 행동주의 학습 이론
행동, 형태, 인지, 인본주의 학자 정리
인간행동과사회환경1B) 행동발달에 대한 행동주의 이론의 입장과 요점에 대한 고찰
아동의 학습이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_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행동발달에 대한 행동주의 이론의 입장과 요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