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화답시조란
Ⅱ. 화답시조가 시조 교육에서 갖는 의의
Ⅲ. 학습 활동
1. 임제와 한우의 화답시조
1) 작품 배경
2) 교육적 측면
2. 정몽주와 이방원의 화답시조
1) 작품 배경
2) 교육적 측면
3. 성삼문과 주의식의 시조
1) 작품배경
2) 교육적 측면
Ⅲ. 마치며
◎ 참고문헌
Ⅱ. 화답시조가 시조 교육에서 갖는 의의
Ⅲ. 학습 활동
1. 임제와 한우의 화답시조
1) 작품 배경
2) 교육적 측면
2. 정몽주와 이방원의 화답시조
1) 작품 배경
2) 교육적 측면
3. 성삼문과 주의식의 시조
1) 작품배경
2) 교육적 측면
Ⅲ. 마치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이를 통해 의사소통이 직접적인 대면 상황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을 교육하고 인터넷 댓글 등 공론화된 사항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형태의 사회적 의사소통을 인식하게 하여 고전을 통한 보편성 교육에서부터 올바른 표현 습관을 기르도록 하는 수행, 경험, 태도의 측면으로 확대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 다음 작품을 감상하고 제시된 활동을 해보자.
1. 다음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 혹은 작자에 대해 하고 싶은 말을 댓글 형식으로 간단히 써보자.
수양산 바라보며 이제를 한하노라
주려 죽을진들 채미도 하는것가
비록애 푸새의 것인들 긔 뉘땅에 났더니
주려 죽으려하고 수양산에 들었거니
설마 고사리를 먹어려 캐었으랴
물성이 굽은줄 미워 펴보려고 캠이라
2. 다음 작품을 읽고 작자가 의도하는 바에 대해 생각해보고, 그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담은 시조를 써보자.
FTA
꽃 나비 사이랄까
물과 흙의 관계랄까
주거니 받거니 밀고 당기는 애증같은
죽는 일
하나 말고는
사는 일은 協商이라 인터넷 시조 교류 사이트 (http://www.sijoworld.com/)에서 발췌.
* 활동 해설
문학은 기본적으로 개인의 독창을 바탕으로 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볼 때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표현 양식이다. 따라서 개인의 독창성을 바탕으로 사회적인 소재를 언어화 하여 보존하고 전승하는 기능을 한다.
성삼문과 주의식의 시조는 ‘화답’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다. 서로 주고받은 시가 아니라, 성삼문의 시에 주의식이 자신의 생각을 내비친 것이다. 성삼문의 시가 담고 있는 내용에 대하여 주의식이 토론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처럼 사회적인 의사소통을 체험해 보는 것은 일정한 시대적 상황에서 사회의 공유 양식의 성격을 띠는 문학 양식을 체득하거나 향유하는 일 자체가 문화적 의미를 가지며 동시에 사회적 대화 통로로 들어서는 경험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로 하여금 사회적 공유 양식으로서의 문학을 체득하게 하는 일은 문학교육의 주요한 학습 내용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언어 능력을 신장하고, 문화를 계승하며 창조적인 글쓰기를 할 수 있는 인간을 길러내는 일로 나아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활동 1은 의사표현과 의사소통의 장면에 대해 학습자들이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구안하였다. 일상적 대화나 일대일 대면 상황에서의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형태를 학습자들이 쉽게 접하고 있는 인터넷문화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시조 속에 담긴 작자의 견해를 정확히 이해하고 그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펼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을 수행하면서 사회적 층위의 의사소통을 직접 경험해볼 수 있도록 유도한다.
활동 2는 현대 시조 작품을 통해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인터넷 사이트에서 아마추어가 창작한 글을 읽으면서 시조를 통한 사회적 의사 표현을 경험하고 작자가 제기한 문제에 대해 각자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직접 화답시조를 써보는 것은 화답시조의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동시에 학습자가 자신과 다른 다양한 관점에 대해 인지하고 삶의 태도 역시 다양할 수 있음을 깨달을 수 있도록 돕는다면 보다 개방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각각의 삶의 방식에 대해 평가적 수용 태도를 길러줄 것이다. 고영화, 앞의 책.
Ⅲ. 마치며
지금까지 화답 시조를 통한 시조 교육에 대해 접근해보았다. 이는 단순히 수많은 시조들이 갖는 제재의 특성보다는 시조 자체가 갖는 특성, 그 중에서도 대화적, 의사소통적이라는 특성에 집중하여 이루어졌다. 비록 미시적인 고찰에 불과하지만 시조교육과 문학교육, 나아가서는 국어교육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리라 본다.
문학은 인간들의 세계관을 반영한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시조 역시 과거로부터 오늘에 이르는 인간들의 세계관의 한 반영이다. 시조를 통해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는 세계관의 보편성을 경험하고 전통을 의미화하는 경험을 통해 인식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나정순, 「시조 전통성 연구의 시론」, 『국어국문학』 100, 국어국문학회, 1988.
문학을 통한 경험의 총체화는 삶의 가치론적 종합이며, 경험의 전 범위를 조화와 법칙으로 질서화하는 것이다. 이 때 경험의 총체성은 우리의 삶의 과정을 이해하고 그 방향성을 부여하는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문학적 경험의 총체성은 우리 삶의 내밀한 질서를 발견하는 통로로 기능하는 것이다.
성장기 아동을 매우 높은 가소성(可塑性)을 지니고 있다. 그들의 정신은 일종의 백지 상태로서, 모방 가능한 모형에 대한 동일시의 경험이 축적되는 가운데 자아를 형성한다. 이들의 현실 체험과 상상 차원의 체험이 총체성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배려가 문학교육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참고문헌
고영화, 「감정이입의 표현교육론적 의의 연구」, 『국어국문학』 134, 국어국문학회,
2003.
고영화, 「시조교육의 위계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7.
구인환 외, 『문학교육론』, 三智院, 2001.
김대행 외, 『국어교육연구소연구총서18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김덕현, 『시조문학 교육론』, 박이정, 2004,
김흥규, 「고전문학 교육과 역사적 이해의 원근법」, 『현대비평과 이론』3, 한신문화사, 1992.
나정순, 「시조 전통성 연구의 시론」, 『국어국문학』 100, 국어국문학회, 1988.
박춘우, 「대화체 시조의 작시 원리와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한국어문학회, 2006.
성낙은, 『고시조 산책』, 국학자료원, 1996.
이정자, 『시조 문학 연구론』, 국학자료원, 2003.
정운채, 「윤선도의 시조와 한시의 대비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목차
Ⅰ. 화답시조란
Ⅱ. 화답시조가 시조 교육에서 갖는 의의
Ⅲ. 학습 활동
1. 임제와 한우의 화답시조
1) 작품 배경
2) 교육적 측면
2. 정몽주와 이방원의 화답시조
1) 작품 배경
2) 교육적 측면
3. 성삼문과 주의식의 시조
1) 작품배경
2) 교육적 측면
Ⅲ. 마치며
◎ 참고문헌
◎ 다음 작품을 감상하고 제시된 활동을 해보자.
1. 다음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 혹은 작자에 대해 하고 싶은 말을 댓글 형식으로 간단히 써보자.
수양산 바라보며 이제를 한하노라
주려 죽을진들 채미도 하는것가
비록애 푸새의 것인들 긔 뉘땅에 났더니
주려 죽으려하고 수양산에 들었거니
설마 고사리를 먹어려 캐었으랴
물성이 굽은줄 미워 펴보려고 캠이라
2. 다음 작품을 읽고 작자가 의도하는 바에 대해 생각해보고, 그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담은 시조를 써보자.
FTA
꽃 나비 사이랄까
물과 흙의 관계랄까
주거니 받거니 밀고 당기는 애증같은
죽는 일
하나 말고는
사는 일은 協商이라 인터넷 시조 교류 사이트 (http://www.sijoworld.com/)에서 발췌.
* 활동 해설
문학은 기본적으로 개인의 독창을 바탕으로 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볼 때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표현 양식이다. 따라서 개인의 독창성을 바탕으로 사회적인 소재를 언어화 하여 보존하고 전승하는 기능을 한다.
성삼문과 주의식의 시조는 ‘화답’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다. 서로 주고받은 시가 아니라, 성삼문의 시에 주의식이 자신의 생각을 내비친 것이다. 성삼문의 시가 담고 있는 내용에 대하여 주의식이 토론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처럼 사회적인 의사소통을 체험해 보는 것은 일정한 시대적 상황에서 사회의 공유 양식의 성격을 띠는 문학 양식을 체득하거나 향유하는 일 자체가 문화적 의미를 가지며 동시에 사회적 대화 통로로 들어서는 경험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로 하여금 사회적 공유 양식으로서의 문학을 체득하게 하는 일은 문학교육의 주요한 학습 내용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언어 능력을 신장하고, 문화를 계승하며 창조적인 글쓰기를 할 수 있는 인간을 길러내는 일로 나아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활동 1은 의사표현과 의사소통의 장면에 대해 학습자들이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구안하였다. 일상적 대화나 일대일 대면 상황에서의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형태를 학습자들이 쉽게 접하고 있는 인터넷문화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시조 속에 담긴 작자의 견해를 정확히 이해하고 그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펼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을 수행하면서 사회적 층위의 의사소통을 직접 경험해볼 수 있도록 유도한다.
활동 2는 현대 시조 작품을 통해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인터넷 사이트에서 아마추어가 창작한 글을 읽으면서 시조를 통한 사회적 의사 표현을 경험하고 작자가 제기한 문제에 대해 각자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직접 화답시조를 써보는 것은 화답시조의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동시에 학습자가 자신과 다른 다양한 관점에 대해 인지하고 삶의 태도 역시 다양할 수 있음을 깨달을 수 있도록 돕는다면 보다 개방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각각의 삶의 방식에 대해 평가적 수용 태도를 길러줄 것이다. 고영화, 앞의 책.
Ⅲ. 마치며
지금까지 화답 시조를 통한 시조 교육에 대해 접근해보았다. 이는 단순히 수많은 시조들이 갖는 제재의 특성보다는 시조 자체가 갖는 특성, 그 중에서도 대화적, 의사소통적이라는 특성에 집중하여 이루어졌다. 비록 미시적인 고찰에 불과하지만 시조교육과 문학교육, 나아가서는 국어교육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리라 본다.
문학은 인간들의 세계관을 반영한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시조 역시 과거로부터 오늘에 이르는 인간들의 세계관의 한 반영이다. 시조를 통해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는 세계관의 보편성을 경험하고 전통을 의미화하는 경험을 통해 인식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나정순, 「시조 전통성 연구의 시론」, 『국어국문학』 100, 국어국문학회, 1988.
문학을 통한 경험의 총체화는 삶의 가치론적 종합이며, 경험의 전 범위를 조화와 법칙으로 질서화하는 것이다. 이 때 경험의 총체성은 우리의 삶의 과정을 이해하고 그 방향성을 부여하는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문학적 경험의 총체성은 우리 삶의 내밀한 질서를 발견하는 통로로 기능하는 것이다.
성장기 아동을 매우 높은 가소성(可塑性)을 지니고 있다. 그들의 정신은 일종의 백지 상태로서, 모방 가능한 모형에 대한 동일시의 경험이 축적되는 가운데 자아를 형성한다. 이들의 현실 체험과 상상 차원의 체험이 총체성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배려가 문학교육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참고문헌
고영화, 「감정이입의 표현교육론적 의의 연구」, 『국어국문학』 134, 국어국문학회,
2003.
고영화, 「시조교육의 위계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7.
구인환 외, 『문학교육론』, 三智院, 2001.
김대행 외, 『국어교육연구소연구총서18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김덕현, 『시조문학 교육론』, 박이정, 2004,
김흥규, 「고전문학 교육과 역사적 이해의 원근법」, 『현대비평과 이론』3, 한신문화사, 1992.
나정순, 「시조 전통성 연구의 시론」, 『국어국문학』 100, 국어국문학회, 1988.
박춘우, 「대화체 시조의 작시 원리와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한국어문학회, 2006.
성낙은, 『고시조 산책』, 국학자료원, 1996.
이정자, 『시조 문학 연구론』, 국학자료원, 2003.
정운채, 「윤선도의 시조와 한시의 대비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목차
Ⅰ. 화답시조란
Ⅱ. 화답시조가 시조 교육에서 갖는 의의
Ⅲ. 학습 활동
1. 임제와 한우의 화답시조
1) 작품 배경
2) 교육적 측면
2. 정몽주와 이방원의 화답시조
1) 작품 배경
2) 교육적 측면
3. 성삼문과 주의식의 시조
1) 작품배경
2) 교육적 측면
Ⅲ. 마치며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