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학(禮拜學)[예배,기도,찬송,성례전,교회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예배학(禮拜學)[예배,기도,찬송,성례전,교회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예배의 본질

제 2 장 예배의 역사

제 3 장 예배의 성격

제 4 장 예배의 순서와 요소

제 5 장 예배와 말씀

제 6 장 예배와 기도

제 7 장 예배와 찬송

제 8 장 예배와 성례전

제 9 장 예배와 교회력

제 10 장 예배와 예배 처소

제 11 장 예배학에 대한 이해

본문내용

는데 그렇지; 못하면 참다운 기도가 되지 못한다.
모든 기도 순서는 사람이 보기에 아름답게 조성 되어질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신앙의 기도가 되어야 한다. 예배학적 입장이나 균형에 치우치다가 신앙의 기본 요소가 결여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므로 기도자는 신앙을 통하여 응답 하시는 하나님께 나아가야 한다. 기도의 순서를 잘 배열 하는 것은 예배자의 신앙적 성장을 보다 강하게 하며, 기도의 참다운 의미를 깨닫게 하는 것이다. 신앙을 통한 기도의 역사가 있어야 바른 신앙의 예배를 드릴 수가 있다. 우리들의 예배에는 기도순서가 많이 있는데, 이것들을 효율적으로 배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Ⅳ. 기도의 형태
기도의 형태에 대하여서는 여러 가지 분류가 있다. 공중기도에서의 기도는 전체 교인을 대표하는 기도이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적절한 준비가 있어야하다. 공중 기도의 표현은 여러 교파에 따라 그 특성을 달리하고 있다. 교파에서 발행한 기도서나 예배서를 통하여 나타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성문기도와 자유기도로 구분하고 있다.
첫째, 성문기도는 예전적 기도(Liturgical Prayer)라고도 하는데, 기도문에 따라서 기도하는 것으로서 로마 카톨릭 교회, 희랍 정교회, 영국 교회, 루터 교회 등에서 이 형태를 취하고 있다. 성문 기도의 장점은 성문기도는 회중을 목사의 일시적 기분에서 구출할 수 있다. 기도의 내용이나 예배의 균형은 예배를 인도하는 사람의 기질이나 기분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예배는 객관성과 안정성을 가지게 되고, 위엄과 질서도 확보되며, 보편성과 전통적 아름다움을 소유하게 된다.
성문 기도 단점은 성문기도는 하나의 고정된 형식에 의하여 기도드리는 것이므로 목사와 회중은 성령께서 주시는 기도의 은사를 빼앗아 버린다. 성령께서 우리의 마음에 역사하셔서 우리로 하여금 뜨거운 기도를 드리게 하는데, 기도문에 의한 것이라면 이러한 역사를 막는 결과가 된다.
둘째, 자유기도(Free Prayer)는 어떠한 형식에 따라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성령의 은사를 통해 자유스럽게 하나님께 기도하는 것을 말한다. 자유기도는 자발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기도자는 성령께서 기도하도록 역사하는데 응답하는 자유를 가진다. 자유기도는 목사와 회중의 목회적 관계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요소를 기도하게 하며, 예배의 어느 특정한 단계에서 자신이 느끼는 것을 기도하게 한다.
자유 기도의 결점은 목사도 인간이므로 자신의 기분에 따라 기도하는 경우가 있다. 즉 예배에 있어서 객관성이 파괴되는 죄악의 경우에는 예배를 완전히 손상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자유 기도는 지나치게 설교적인 경향을 띠우기 쉽다. 기도가 형식적으로는 하나님을 향하여 드려지는 것 같으나 실제에 있어서는 회중을 향하여 기도하는 경우가 많으며, 하나님에 대한 경배보다도 인간의 교화에 더욱 유익하는 경우가 많다. 자유기도의 또다른 결점은 위엄성과 질서의 결여이다. 자유스러운 기도 형태로 말미암아 기도의 위엄성이 파괴되고 있다. 또한 자유기도가 명목상으로는 자유이지만 실제에 있어서 형식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하나의 틀에 맞춘 기도를 드리는 경우가 많다는 결점이다. 그러므로 자유기도를 잘못 사용하면 기도의 진정한 의미를 파괴하는 경우가 생긴다.
성문기도나, 자유기도는 모두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배에서의 기도의 형태는 성문기도와 자유기도를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며,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것이어야 한다. 기도의 형식은 교회의 형태에 따르는 경우가 많다. 교파의 성장이나 다른 요소들을 통하여 기도의 형식이 달라지므로 어느 것을 가장 좋은 형식이라고 규정할 수 없다.
제 7 장 예배와 찬 송
예배의 요소를 취급할 때 찬송에 대하여 간략하게 말한바 있으나 여기서 예배와 찬송의 관계를 논하고 정당한 찬송의 개발과 사용에 대하여 언급하려고 한다. 찬송이 예배의 요소로서 필요하지만 이를 잘못 이해하여 찬송의 진정한 의미를 파괴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여기에 대하여 바른 이해를 가져야한다.
찬송(Hymns)은 예배의 의식에 있어서 하나님을 찬송(讚頌)하여 부르는 노래이다. 거룩하시고 전능하신 하나님을 향하여 아름다움 노래로 찬미(讚美)하는 것으로, 창조주 하나님의 그 모든 섭리하심을 높게 칭송하여 시적인 가사와 곡조 있는 음악과 벅찬 감동으로 역사 하시는 성령의 인도하심에 의하여 찬양(讚揚)하는 것이다. 시적인 가사로 찬송한다는 말은 거룩하신 하나님을 기도의 노래로서 찬송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일찍이 고대의 히브리인들은 그들이 때를 따라 느껴진 여호와께 대한 신앙고백, 감사, 참회 등을 시적 언어로 표시하여 노래하였던 것이다. 이는 곧 시편(Psalms)이다. 시편(Psalms)은 구약 성서 중에 있는 찬송가(讚頌歌)요, 성가(聖歌)이다. 특히 히브리 원전(MT)에서는 시편을 이라 하였는데, 그 뜻은 찬양의 책이다.
Ⅰ. 예배와 음악
예배와 음악의 관계는 오랜 옛날부터 연관되어 있다. 음악을 통하여 회심을 경ㅎ럼한 사람이 있으며, 하나님의 역사에 대하여 감사하는 사람이 있다. 예배와 음악의 관계를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 할 수 있다. 첫째, 음악의 암시적 기능이다. 음악은 예배의 보조라는 중요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음악이나 다른 예술적 기능을 통하여 하나님을 에배하여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음악은 감명적이며, 암시적인 기능(impressive or sugestive fun-ction)을 가지고 있다. 음악의 표현을 통하여 청중의 마음속에 감격을 주며, 하나님의 역사에 대하여 암시적인 은혜를 받게 된다. 유명한 성가곡들은 어떤 설교 보다도 더 깊은 감동을 청중에게 준다. 이 곡들은 하나님의 장엄하심을 깨닫게 하며,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한다. 여기에서 교회 음악인들의 사명을 발견할 수가 있다. 반주자나 성가대는 음악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영적 세계에 가까이 오게 하는 역사를 이룬다. 그러나 음악인에게 위험이 따르는데 그것은 완벽한 음악을 통하여 음악 자체가 목적이 되는 경우이다. 사단인 루시퍼는 타락하기 이전에 그는 온몸에 보석으로 치장했고 몸에서 빛을 내
  • 가격20,000
  • 페이지수59페이지
  • 등록일2008.09.29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17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