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국 시장의 분석
2. 중국 사회 계층의 배경과 분석
- 사회 계층의 정의
- 중국에서의 사회계층
- 중국사회의 변화와 특성
- 중국인의 라이프스타일
- 중국인의 소비패턴
- 중국의 사회계층에 맞추어 마케팅을 접목시킨
<국순당>
3. 앞으로의 전망
2. 중국 사회 계층의 배경과 분석
- 사회 계층의 정의
- 중국에서의 사회계층
- 중국사회의 변화와 특성
- 중국인의 라이프스타일
- 중국인의 소비패턴
- 중국의 사회계층에 맞추어 마케팅을 접목시킨
<국순당>
3. 앞으로의 전망
본문내용
되고 이에 따라 정보의 다양화와 대중화에 대한 요구도 높아져 경제정보, 기술정보, 오락정보에 중점을 둔 정보지, 종합지, 전문지, 오락지 등이 탄생했고 텔리비젼의 비중도 높아졌다.
● 의식 및 가치관의 변화
○ 가치관의 붕괴에 따른 배금주의의 팽배도 심각하다. 전통적으로 “적은 돈에 신경쓰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라는 것이 강조되었으나 이제는 “적은 지식이 크게 벌고, 지식이 많으면 돈벌이가 시원찮다”는 말이나 “수술칼을 든 의사보다는 계란장수가 돈을 더 많이 벌고, 로케트를 연구하는 과학자보다 음식점주인이 더 많은 돈을 번다”는 말은 이러한 세태를 반영한다.
■ 중국인의 라이프스타일
● 중국인의 라이프스타일 특징
○ 절대적 빈곤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溫胞」문제를 해결하고, 이제는 서서히 풍요로운 삶이 가능해진 사회로 변화하고 있어 개개인은 이제 양이 아니라 질을 추구하는 소비자로서 변모하고 있다.
○ 개체지향성이다. 초과성과에 대해 보너스가 지급되고 이윤이 생기면 국가에 바치는 것이 아니라 재투자나 장려금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됨으로써 획일성과 집단성이 감소되는 대신 개인의 역할과 능력이 강조되는 쪽으로 변화했다.
○ 다양한 소비주체가 생겨나고 있다는 것이다. 여성의 지위와 소득이 증가하면서 과거 소비의 중요한 주체였던 남성위주의 소비를 감소시켰고 노인, 청소년, 심지어는 어린이까지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등장하게 되어 새로운 시장이 생겨나게 되었다.
○ 감성중시의 시대로 진입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즉 모자람의 시대와 가난의 시대에 살아 왔던 중국인들은 이제 자신들의 구미에 맞는 제품을 선택해서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이성보다 감성을 중시하는 라이프스타일의 추세는 경제성 소비의 퇴색과 더불어 오락성과 예술성, 외관의 중시, 개성과 낭만, 그리고 자아만족 등의 요소를 중시하고 강조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 시간과 공간에 대한 개념의 변화이다. 산업화와 정보화는 시간의 중요성을 증가시켰고 그 가치 또한 증대되었다. 가전제품과 주방용 제품의 인기상승,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주문구매, 「快餐(콰이찬)」이라 불리는 인스턴트 식품이나 패스트푸드 등은 모두 불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데 더 없이 편리한 것이 되고 말았다.
○ 단순한 관람형에서 참여형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가활동에 있어서 중국인들은 소극적인 「休息」에서 적극적인 「休閑」, 즉 여가생활을 즐기는 추세로 바뀌고 있다. 점차 스포츠와 레저생활의 활성화, 여가시간을 통해 자신을 계발하고 취미생활을 즐기고 있다.
● 중국인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 「衣」: 중국인의 의생활
- 자기자신의 체형이나 개성, 그리고 감성에 따라 의복을 사서 입거나 자신의 취향에 맞게 옷을 맞춰입는 개성화의 시대가 중국에서도 서서히 도래하고 있다. 입어서 편하고, 아름답고, 자신의 개성에 맞는다면 가격, 브랜드, 패션, 색상 등은 그다지 문제삼지 않는 사람이 늘고 있는 것도 개성화의 특성이다. 중국에서 이러한 개성화를 추구하는 의생활은 중국의 의류패션을 주도하게 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이며 과거 무개성, 획일화된 의복을 ‘입는 것’에서 이제는 ‘보여주기 위해 입는’ 시대가 오고 있는 것이다.
○ 「食」: 중국인의 식생활
- 중국인들의 식품소비구조의 변화추세는 품질중시, 외식에 대한 지출의 증가, 브랜드 지향, 소비격차의 확대, 소비수요의 다양화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중국인들은 식품을 선택할 때 영양, 보건, 과학 등 기능을 중시하고 있으며 건강음료에 대한 지출도 증가하고 있다. 야외나 가족식당, 또는 외국의 패스트푸드점에서 식사를 하는 것이 유행하고 있으며 이용인구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 패스트 푸드시장의 성장은 중국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수위를 차지하고 있고 점차 중국의 중소도시에까지 파급되고 있다.
○ 「住」: 중국인의 주생활
- 일부 대도시와 중소도시에서 신축되는 아파트를 중심으로 현대식 주방설비를 갖추는 주민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현재 중국은 이들 대도시와 지방의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서서히 주방혁명이 진행되고 있다. 주로 대도시에서 시작된 주방혁명은 「三大件」(도시개스 레인지, 냉장고, 주방용환풍기)의 설치를 비롯하여 주방의 개념과 기능이 변화하고 있고 개성과 편의성을 강조하는 주방으로 변모하고 있다. 중국인들도 주방의 개조를 통해 「省力, 省事, 省時」, 즉 힘도 덜 들고, 일도 줄이고 시간도 줄이는 주방에다 衛生이 추가되는 기능성 주거문화를 추구하려 하고 있다. 이미 일부 대도시 주민들을 중심으로 제2의 주방혁명의 도구라 불리는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전기오븐, 식기건조소독기, 식기세척기, 제빵기, 제면기 등의 고급주방제품이 보급되고 있다.
○ 「樂」: 중국인의 여가생활
- 놀라운 것은 엄청난 속도로 여가의 상업화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결과 중국인들의 레저와 여가시간의 개인적인 활용은 오히려 하나의 「문화시장(Cultural Market)」을 형성시켰다. 또 한 가지는 대중스포츠의 급속한 보급이다. 중국의 대도시 및 중소도시의 일반주민들에게도 스포츠가 인기여가활용방법이 되었고 현재 중국에서는 약 3억명이 각종 스포츠활동에 참가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국민건강의 증진과 건전한 스포츠문화의 보급을 위해 「露天舞場(노천 댄스홀)」의 보급을 장려했다. 특히 1995년 5월 1일부테 주5일 근무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쇼핑 및 여행 등 여가활동의 기회가 늘어났고 토요일과 일요일에 집중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현재 중국의 대도시에서 나타나고 있는 흥미있는 현상은 90년대초부터 열병처럼 번졌던 「拉OK(카라오케)」,「歌舞廳(꺼우팅:댄스클럽)」, 「夜總會(예쫑훼이: 나이트클럽」의 급속한 쇠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고급유흥업소의 쇄락과 불경기의 원인은 도시주민들의 오락소비가 다양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수년동안 문화생활에 대한 북경시민의 수요의 변화가 나날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대중문화소비에 새로운 패턴이 형성되고 있다. 즉 스포츠나 클래식음악의 부활, VCD의 보급, 관광 및 여행붐의 등장 등 주민들의 여가형태가 다양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 「用」: 중국인의 소비생활
- 중국인의 씀씀이도 변화하고 있다. 「家庭大件(쟈팅따
● 의식 및 가치관의 변화
○ 가치관의 붕괴에 따른 배금주의의 팽배도 심각하다. 전통적으로 “적은 돈에 신경쓰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라는 것이 강조되었으나 이제는 “적은 지식이 크게 벌고, 지식이 많으면 돈벌이가 시원찮다”는 말이나 “수술칼을 든 의사보다는 계란장수가 돈을 더 많이 벌고, 로케트를 연구하는 과학자보다 음식점주인이 더 많은 돈을 번다”는 말은 이러한 세태를 반영한다.
■ 중국인의 라이프스타일
● 중국인의 라이프스타일 특징
○ 절대적 빈곤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溫胞」문제를 해결하고, 이제는 서서히 풍요로운 삶이 가능해진 사회로 변화하고 있어 개개인은 이제 양이 아니라 질을 추구하는 소비자로서 변모하고 있다.
○ 개체지향성이다. 초과성과에 대해 보너스가 지급되고 이윤이 생기면 국가에 바치는 것이 아니라 재투자나 장려금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됨으로써 획일성과 집단성이 감소되는 대신 개인의 역할과 능력이 강조되는 쪽으로 변화했다.
○ 다양한 소비주체가 생겨나고 있다는 것이다. 여성의 지위와 소득이 증가하면서 과거 소비의 중요한 주체였던 남성위주의 소비를 감소시켰고 노인, 청소년, 심지어는 어린이까지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등장하게 되어 새로운 시장이 생겨나게 되었다.
○ 감성중시의 시대로 진입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즉 모자람의 시대와 가난의 시대에 살아 왔던 중국인들은 이제 자신들의 구미에 맞는 제품을 선택해서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이성보다 감성을 중시하는 라이프스타일의 추세는 경제성 소비의 퇴색과 더불어 오락성과 예술성, 외관의 중시, 개성과 낭만, 그리고 자아만족 등의 요소를 중시하고 강조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 시간과 공간에 대한 개념의 변화이다. 산업화와 정보화는 시간의 중요성을 증가시켰고 그 가치 또한 증대되었다. 가전제품과 주방용 제품의 인기상승,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주문구매, 「快餐(콰이찬)」이라 불리는 인스턴트 식품이나 패스트푸드 등은 모두 불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데 더 없이 편리한 것이 되고 말았다.
○ 단순한 관람형에서 참여형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가활동에 있어서 중국인들은 소극적인 「休息」에서 적극적인 「休閑」, 즉 여가생활을 즐기는 추세로 바뀌고 있다. 점차 스포츠와 레저생활의 활성화, 여가시간을 통해 자신을 계발하고 취미생활을 즐기고 있다.
● 중국인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 「衣」: 중국인의 의생활
- 자기자신의 체형이나 개성, 그리고 감성에 따라 의복을 사서 입거나 자신의 취향에 맞게 옷을 맞춰입는 개성화의 시대가 중국에서도 서서히 도래하고 있다. 입어서 편하고, 아름답고, 자신의 개성에 맞는다면 가격, 브랜드, 패션, 색상 등은 그다지 문제삼지 않는 사람이 늘고 있는 것도 개성화의 특성이다. 중국에서 이러한 개성화를 추구하는 의생활은 중국의 의류패션을 주도하게 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이며 과거 무개성, 획일화된 의복을 ‘입는 것’에서 이제는 ‘보여주기 위해 입는’ 시대가 오고 있는 것이다.
○ 「食」: 중국인의 식생활
- 중국인들의 식품소비구조의 변화추세는 품질중시, 외식에 대한 지출의 증가, 브랜드 지향, 소비격차의 확대, 소비수요의 다양화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중국인들은 식품을 선택할 때 영양, 보건, 과학 등 기능을 중시하고 있으며 건강음료에 대한 지출도 증가하고 있다. 야외나 가족식당, 또는 외국의 패스트푸드점에서 식사를 하는 것이 유행하고 있으며 이용인구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 패스트 푸드시장의 성장은 중국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수위를 차지하고 있고 점차 중국의 중소도시에까지 파급되고 있다.
○ 「住」: 중국인의 주생활
- 일부 대도시와 중소도시에서 신축되는 아파트를 중심으로 현대식 주방설비를 갖추는 주민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현재 중국은 이들 대도시와 지방의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서서히 주방혁명이 진행되고 있다. 주로 대도시에서 시작된 주방혁명은 「三大件」(도시개스 레인지, 냉장고, 주방용환풍기)의 설치를 비롯하여 주방의 개념과 기능이 변화하고 있고 개성과 편의성을 강조하는 주방으로 변모하고 있다. 중국인들도 주방의 개조를 통해 「省力, 省事, 省時」, 즉 힘도 덜 들고, 일도 줄이고 시간도 줄이는 주방에다 衛生이 추가되는 기능성 주거문화를 추구하려 하고 있다. 이미 일부 대도시 주민들을 중심으로 제2의 주방혁명의 도구라 불리는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전기오븐, 식기건조소독기, 식기세척기, 제빵기, 제면기 등의 고급주방제품이 보급되고 있다.
○ 「樂」: 중국인의 여가생활
- 놀라운 것은 엄청난 속도로 여가의 상업화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결과 중국인들의 레저와 여가시간의 개인적인 활용은 오히려 하나의 「문화시장(Cultural Market)」을 형성시켰다. 또 한 가지는 대중스포츠의 급속한 보급이다. 중국의 대도시 및 중소도시의 일반주민들에게도 스포츠가 인기여가활용방법이 되었고 현재 중국에서는 약 3억명이 각종 스포츠활동에 참가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국민건강의 증진과 건전한 스포츠문화의 보급을 위해 「露天舞場(노천 댄스홀)」의 보급을 장려했다. 특히 1995년 5월 1일부테 주5일 근무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쇼핑 및 여행 등 여가활동의 기회가 늘어났고 토요일과 일요일에 집중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현재 중국의 대도시에서 나타나고 있는 흥미있는 현상은 90년대초부터 열병처럼 번졌던 「拉OK(카라오케)」,「歌舞廳(꺼우팅:댄스클럽)」, 「夜總會(예쫑훼이: 나이트클럽」의 급속한 쇠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고급유흥업소의 쇄락과 불경기의 원인은 도시주민들의 오락소비가 다양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수년동안 문화생활에 대한 북경시민의 수요의 변화가 나날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대중문화소비에 새로운 패턴이 형성되고 있다. 즉 스포츠나 클래식음악의 부활, VCD의 보급, 관광 및 여행붐의 등장 등 주민들의 여가형태가 다양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 「用」: 중국인의 소비생활
- 중국인의 씀씀이도 변화하고 있다. 「家庭大件(쟈팅따
키워드
추천자료
중소기업지원 행정체제의 구조분석과 대안
브랜드와 글로벌화
인터넷 쇼핑이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국제경영에서의 마케팅 믹스 표준화 전략과 차별화 전략(광고전략을 중심으로)
[조직관리론]거스너와 IBM 조직분석
자유무역협정 체결과정에서 고려요소와 바람직한 체결방향
[금융규제]유럽연합(EU) 금융감독제도의 현황 및 제도개선 방안
[투자][문화][관광][환경][산재예방][교육][문화산업 투자][관광산업 투자][환경산업 투자][...
기업 분석 보고서- 맥쿼리 그룹에 관한 조사
[인문교육] 다문화 교육
어린이집에서 각 흥미영역별 놀잇감이나 영유아의 놀이 상황을 관찰하고 편견이 들어간 부분...
[글로벌 CEO의 비전과 전략] (주)락앤락의 기업과 CEO에 대한 조사
한국과 콜롬비아 FT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