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회사개요
1.개관
2.발전과정
3.주요현황
Ⅱ 주요사업그룹
1.사업현황
2.맥쿼리 인프라펀드
Ⅲ 성장전략 및 요인
1.Niche MarKet 개척
2.선택적 시장확장 및 진출
3.회사경영이념상 성공요인
Ⅳ 시사점
1.적극적 해외시장개척 필요
2.인프라펀드 등 성장잠재력 있는 분야 관심 필요
3.장기간이 소요되는 업무에 대한 보상방법 모색 필요
1.개관
2.발전과정
3.주요현황
Ⅱ 주요사업그룹
1.사업현황
2.맥쿼리 인프라펀드
Ⅲ 성장전략 및 요인
1.Niche MarKet 개척
2.선택적 시장확장 및 진출
3.회사경영이념상 성공요인
Ⅳ 시사점
1.적극적 해외시장개척 필요
2.인프라펀드 등 성장잠재력 있는 분야 관심 필요
3.장기간이 소요되는 업무에 대한 보상방법 모색 필요
본문내용
및 개인용 펀드를 운용.
고객이 새로운 분야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혁신적인 상품 개발의 선두주자이다.
오직 성과에만 근거하여 보수를 징구하는 다양한 인센티브 펀드의 선구자이다.
-펀드운용 그룹은 한국에서 합작법인 맥쿼리 IMM 자산운용을 골드만삭스에게 인도하면서 전년대비 200%라는 큰 성장을 기록했으며, 전체 그룹에 대한 수익기여도는 4%이다.
Other Groups and Divisions(내부지원 그룹)
-6개의 영업그룹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 사업그룹의 원활한 운영 도모
부서
업무
(1)리스크관리 부문(Risk Management division)
그룹의 운영에 관련된 모든 리스크를 적절히 평가
하고 이의 관리에 책임을 지는 중앙단위 독립부서
(2)회사내부
지원그룹
(Corporate
A f f a i r s
Group)
재무(Financial
Operations)
그룹운영 전반에 대한 재무관리, 계획, 자금관리,
예산, 부서별 회계서비스 및 해외사업지원 업무 담당
지급결제
(Settlement)
그룹운영 전반에 영업 관련 금융상품 및 통화거래에
대하여 전체적인 운영리스크 기준을 유지하면서
대금결제 시설 및 지불기한을 넘기지 않는 대금결제
업무 담당
기획(Business
Improvement
and Strategy)
그룹의 전략기획에 따른 모든 영업부서에 자문
서비스 제공
세제지원
(Taxation)
그룹의 모든 영업부문 관련 세제관련 의무 및
해외영업그룹의 해당국가 과세기관과의 관계조율
IR부서(Secret
arial and IR
Division)
투자자와의 관계, 해외 투자시장에 대한 연계 및
그룹 주주들과의 관계 강화관련 업무 담당
인사부서(HR
Division)
우수직원 유치, 유지를 위한 보상체계관련 전략
수립, 타 영업그룹에 대하여 운영 및 자문관련
서비스를 제공
총무부서(Busi
ness Services
Division)
사무공간, 임대관리, 영업의 계속 및 보안, 조달업무,
영업정보에 관한 제공 등
(3)전산부서(Information
Services Division)
그룹의 전산시설 및 영업시스템 설비지원 및 개발
(4)계량분석부(Quantitive
Application Division)
그룹 각 영업부문에 대하여 핵심 분석기술을 제공
하고, 특히 40여 파생상품에 대한 가격부여방법에
대하여 이를 시험하고 승인하는 업무 담당
( 5)홍보부서( Corporate
Communications Division)
그룹 브랜드의 평판유지 및 이를 보호하는 업무 담당
-강력한 리스크관리를 통한 Macquarie의 사업 운영 통제가 그룹의 성공적인 실적 달성에 핵심적인 역할
*맥쿼리의 조직구조
맥쿼리 인프라펀드
인프라 펀드의 개요
-인프라펀드의 개념
다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집, 도로, 철도, 항만 등의 사회간접자본(SOC)에 투자해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펀드가 인프라펀드이다. 한마디로 사회간접자본에 투자하는 펀드이다.
인프라펀드의 법적 형태는 상법상 주식회사이며, 공모나 사모방식에 의한 설립 모두 가능하다. 공모설립은 증권거래법상 모집이나 매출 등의 공개적인 방법을 통해 투자자를 모집하며 투자자수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현행 국내 인프라펀드는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민간투자법)에 근거한 간접투자회사를 말한다. `민간투자법\'에는 투자대상이 되는 사회간접자본을 도로, 항만 등 44개 업종으로 제한하고 있다. 일반펀드와 중요한 차이점은 자산운용상 투자비율 제한이 없다는 점이다. (일반펀드는 동일종목 10% 제한)
인프라펀드는 실체가 없는 명목회사(Paper Company)로 상근 임직원을 둘 수 없다. 따라서 자산운용업무를 위탁할 외부 자산운용회사를 운영한다. 자산운용회사 외에 펀드재산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자산보관회사, 펀드의 각종 사무처리 및 운영을 담당하는 일반사무관리회사, 펀드의 투자증권 판매 업무를 담당하는 판매회사 등도 필요하다.
인프라펀드의 설립목적은 물론 최저 자본금 규모나 환매허용 여부, 투자대상 등에서 일반펀드와는 차이가 있다. 인프라펀드는 민간투자법에 근거해 설립되지만 일반펀드의 특별한 형태이므로 일부 조항을 제외한 펀드 관련 내용은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 적용을 받는다.
이같은 인프라펀드는 민간부문의 사회간접자본 투자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도입됐다. 민자투자사업은 정부 주도의 사회간접자본 투자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가적으로 시급한 사회간접자본의 조기 확충에 기여한다. 여기에 사회간접자본 투자는 물론 관리 및 운영 등 사업전반에 걸쳐 민간의 창의성과 효율적인 경영기법 등을 적극 도입함으로써 투자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평가이다.
-인프라펀드 운영절차
수익형 민자사업 (Build Transfer Operation: BTO)방식
① 민간부문(기관, 외국인 및 개인 등) 투자자로부터 투자자금을 모집
② 모집된 자금으로 사회기반시설을 운영하는 회사(SPC)에 대출 실행 및 지분 투자
③ 운영회사(SPC)는 대출 및 지분 투자금액을 해당 사회기반시설의 건설비용 등으로 집행
④ 완공 이후, 운영회사는 해당 시설을 정부에 양도
⑤ 그 대신 일정기간(통상 25~30년) 동안 통행료를 징수할 수 있는 권리(관리운영권)을 부여 받아 사업을 운영함
⑥ 해당 시설 이용자가 이용료(Toll fee) 지불
⑦ 인프라펀드로부터 투자된 대출의 이자 및 원금과 지분 투자에 대한 배당 등을 인프라펀드에 지급
⑧ 인프라펀드는 운영회사로부터 받은 이자와 배당수입을 펀드 투자자에게 배분
임대형 민자사업(Build Transfer Lease: BTL)방식
사업시행자가 관리,운영권을 인정받되, SOC시설을 국가에 임대하여 협약에 정한 기간동안임대료를 지급받아 투자비를 회수하는 방식이다.
BTO방식은 최종 이용자에 대한 사용료 부과로 투자비 회수가 가능한 도로, 항만 등 산업기간시설에 적용되며, BTL방식은 상대적으로 회수가 용인하지 않은 교육, 문화, 복지시설등에 주로 이용된다.
-인프라펀드에 대한 투자는 주식투자에 비해 수익률이 낮은 반면에 안전자산인 채권투자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객이 새로운 분야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혁신적인 상품 개발의 선두주자이다.
오직 성과에만 근거하여 보수를 징구하는 다양한 인센티브 펀드의 선구자이다.
-펀드운용 그룹은 한국에서 합작법인 맥쿼리 IMM 자산운용을 골드만삭스에게 인도하면서 전년대비 200%라는 큰 성장을 기록했으며, 전체 그룹에 대한 수익기여도는 4%이다.
Other Groups and Divisions(내부지원 그룹)
-6개의 영업그룹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 사업그룹의 원활한 운영 도모
부서
업무
(1)리스크관리 부문(Risk Management division)
그룹의 운영에 관련된 모든 리스크를 적절히 평가
하고 이의 관리에 책임을 지는 중앙단위 독립부서
(2)회사내부
지원그룹
(Corporate
A f f a i r s
Group)
재무(Financial
Operations)
그룹운영 전반에 대한 재무관리, 계획, 자금관리,
예산, 부서별 회계서비스 및 해외사업지원 업무 담당
지급결제
(Settlement)
그룹운영 전반에 영업 관련 금융상품 및 통화거래에
대하여 전체적인 운영리스크 기준을 유지하면서
대금결제 시설 및 지불기한을 넘기지 않는 대금결제
업무 담당
기획(Business
Improvement
and Strategy)
그룹의 전략기획에 따른 모든 영업부서에 자문
서비스 제공
세제지원
(Taxation)
그룹의 모든 영업부문 관련 세제관련 의무 및
해외영업그룹의 해당국가 과세기관과의 관계조율
IR부서(Secret
arial and IR
Division)
투자자와의 관계, 해외 투자시장에 대한 연계 및
그룹 주주들과의 관계 강화관련 업무 담당
인사부서(HR
Division)
우수직원 유치, 유지를 위한 보상체계관련 전략
수립, 타 영업그룹에 대하여 운영 및 자문관련
서비스를 제공
총무부서(Busi
ness Services
Division)
사무공간, 임대관리, 영업의 계속 및 보안, 조달업무,
영업정보에 관한 제공 등
(3)전산부서(Information
Services Division)
그룹의 전산시설 및 영업시스템 설비지원 및 개발
(4)계량분석부(Quantitive
Application Division)
그룹 각 영업부문에 대하여 핵심 분석기술을 제공
하고, 특히 40여 파생상품에 대한 가격부여방법에
대하여 이를 시험하고 승인하는 업무 담당
( 5)홍보부서( Corporate
Communications Division)
그룹 브랜드의 평판유지 및 이를 보호하는 업무 담당
-강력한 리스크관리를 통한 Macquarie의 사업 운영 통제가 그룹의 성공적인 실적 달성에 핵심적인 역할
*맥쿼리의 조직구조
맥쿼리 인프라펀드
인프라 펀드의 개요
-인프라펀드의 개념
다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집, 도로, 철도, 항만 등의 사회간접자본(SOC)에 투자해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펀드가 인프라펀드이다. 한마디로 사회간접자본에 투자하는 펀드이다.
인프라펀드의 법적 형태는 상법상 주식회사이며, 공모나 사모방식에 의한 설립 모두 가능하다. 공모설립은 증권거래법상 모집이나 매출 등의 공개적인 방법을 통해 투자자를 모집하며 투자자수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현행 국내 인프라펀드는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민간투자법)에 근거한 간접투자회사를 말한다. `민간투자법\'에는 투자대상이 되는 사회간접자본을 도로, 항만 등 44개 업종으로 제한하고 있다. 일반펀드와 중요한 차이점은 자산운용상 투자비율 제한이 없다는 점이다. (일반펀드는 동일종목 10% 제한)
인프라펀드는 실체가 없는 명목회사(Paper Company)로 상근 임직원을 둘 수 없다. 따라서 자산운용업무를 위탁할 외부 자산운용회사를 운영한다. 자산운용회사 외에 펀드재산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자산보관회사, 펀드의 각종 사무처리 및 운영을 담당하는 일반사무관리회사, 펀드의 투자증권 판매 업무를 담당하는 판매회사 등도 필요하다.
인프라펀드의 설립목적은 물론 최저 자본금 규모나 환매허용 여부, 투자대상 등에서 일반펀드와는 차이가 있다. 인프라펀드는 민간투자법에 근거해 설립되지만 일반펀드의 특별한 형태이므로 일부 조항을 제외한 펀드 관련 내용은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 적용을 받는다.
이같은 인프라펀드는 민간부문의 사회간접자본 투자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도입됐다. 민자투자사업은 정부 주도의 사회간접자본 투자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가적으로 시급한 사회간접자본의 조기 확충에 기여한다. 여기에 사회간접자본 투자는 물론 관리 및 운영 등 사업전반에 걸쳐 민간의 창의성과 효율적인 경영기법 등을 적극 도입함으로써 투자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평가이다.
-인프라펀드 운영절차
수익형 민자사업 (Build Transfer Operation: BTO)방식
① 민간부문(기관, 외국인 및 개인 등) 투자자로부터 투자자금을 모집
② 모집된 자금으로 사회기반시설을 운영하는 회사(SPC)에 대출 실행 및 지분 투자
③ 운영회사(SPC)는 대출 및 지분 투자금액을 해당 사회기반시설의 건설비용 등으로 집행
④ 완공 이후, 운영회사는 해당 시설을 정부에 양도
⑤ 그 대신 일정기간(통상 25~30년) 동안 통행료를 징수할 수 있는 권리(관리운영권)을 부여 받아 사업을 운영함
⑥ 해당 시설 이용자가 이용료(Toll fee) 지불
⑦ 인프라펀드로부터 투자된 대출의 이자 및 원금과 지분 투자에 대한 배당 등을 인프라펀드에 지급
⑧ 인프라펀드는 운영회사로부터 받은 이자와 배당수입을 펀드 투자자에게 배분
임대형 민자사업(Build Transfer Lease: BTL)방식
사업시행자가 관리,운영권을 인정받되, SOC시설을 국가에 임대하여 협약에 정한 기간동안임대료를 지급받아 투자비를 회수하는 방식이다.
BTO방식은 최종 이용자에 대한 사용료 부과로 투자비 회수가 가능한 도로, 항만 등 산업기간시설에 적용되며, BTL방식은 상대적으로 회수가 용인하지 않은 교육, 문화, 복지시설등에 주로 이용된다.
-인프라펀드에 대한 투자는 주식투자에 비해 수익률이 낮은 반면에 안전자산인 채권투자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추천자료
이마트(E-Mart)의 중국시장 진출사례 분석 보고서
준오헤어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조사
KB카드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조사
경영성공사례 연구보고서-본죽 그 분석과 개선방법
유망중소기업의 발굴 및 지원, 중소기업 금융지원제도와 인력지원제도, 중소기업 기술지원제...
[분석/조사] [기업합병(Merger)] 사례를 통해 본 M&A의 특징, 현황, 문제점 및 시사점 분...
한국사회문제D) 현재 한국사회의 청년실업문제가 단순히 실업율의 문제가 아닌지에 대하여 설...
소주시장에 관한 경영사례 조사.ppt
[벤처기업][벤처][기업][벤처기업 창업지원시책][벤처기업의 인력지원시책][벤처기업의 육성...
[다국적기업광고][다국적기업광고 역사][다국적기업광고 특성][다국적기업광고 영향][다국적...
비타 500을 통하여 본 광동 제약 기업 보고서
[기업복지][기업복지 연혁][기업복지 유형][기업복지 전략][기업복지 내실화 과제]기업복지의...
A+경영레포트, 조직문화와 윤리적 가치<유한킴벌리 기업의 사례분석>
[기업 부동산][기업][부동산][투자][자산관리]기업 부동산투자, 기업 부동산자산관리, 기업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