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장애와 주의산만 문제를 가진 학습자를 위한 프로그램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습장애와 주의산만 문제를 가진 학습자를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론적 배경Ⅰ
2. 이론적 배경Ⅱ
-자기조절 학습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MMIS 모형
1) 서론
2) 자기조절 학습 모형(MMIS 모형) 개관
3) MMIS 모형의 구성요소와 자기조절 학습 유도 전략
4) 자기조절 학습자: 주인의식의 실천
5) 자기조절 학습을 구현하기 위한 체계적 교수설계 절차
3. 회기구성
4. 주요 회기 내용
1). 자아 존중감 향상
2). 자기지시훈련 문제해결 ②

Ⅲ. 결론

*자료출처

본문내용


주요내용
제 1회 자기소개제
제 2회 : 신뢰감 쌓게하기
제 3회 : 친구관계 돌아보기
제 4회 : 관심 기울이기( 경청하기)
제 5회 : 대화 기술
제 6회 : 자기표현 기술
제 7회 : 자기 표현 (자기 주장) 훈련하기
제 8회 : 감정나누기
제 9회 : 분노통제
제 10회 : 마무리 및 소감 교류
준비사항
크레파스, 도화지, 워크북, 그림, 종이, 펜, 감정표현의 얼굴 그림,
활동내용
제1회 자기소개하기
1. 조장을 선출 합시다.
2 조명과 조구호를 만듭시다.
3. 전체가 한번 크게 외쳐본다.
4.자기자신을 가족 중 자기를 가장 사랑하는 어른의 입장에서 소개해 봅시다.
5. 소감 나누기
자기 자신과 집단원에 대해 깨달은 점, 프로그램을 하면서 느낀 것과 학습한 것을 함께 나눈다.
제 2회 : 신뢰감 쌓기
1) 신문지 위에 올라가기
2) 인간 실풀기
3) 비행기 조정게임
제 3 회 : 친구관계 돌아보기
활동 : 이제까지 사귀어 온 친구 관계를 돌아보고 어떤 친구가 좋은 친구이고, 어떤 친구가 나쁜 친구인지 토론하고 발표한다.
제 4회 : 관심 기울이기( 경청하기)
0. 활동
1) 그림보고 말 전하기
2) 두 사람씩 짝을 짓게 한 후에 먼저 관심기울이지 않는 행동 (경청하지 않고 주의산만한)을 역할 연기하게 하고 다음으로 관심기울이기 행동을 역할 연기하게 한다.
듣기기술과 관심기울이는 자세
듣기기술
1단계 : 말하고 있는 사람을 쳐다보기
2단계 : 조용하게 앉아서 끝가지 듣기
3단계 : 들은 내용을 생각하고 정리하기
4단계 ; 이해가 가면 고개를 끄덕이기
5단계 ; 이해가 안가면 조용히 손을 들고 질문하기
관심 기울이는 자세
o. 팔이 미칠 수 있는 거리로 마주 앉는다.
o. 자세는 상대 쪽으로 약간기울이고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하여 상대방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도록 한다.
o. 온화하고 부드러운 시선을 보낸다.
o. 잘 듣고 있다는 표시로 고개를 끄덕인다.
o. 말을 들으며 간단한 언어반응을 한다.(“아! 그래”, “그랬니”?, “으흥”등)
o. 말을 중간에 자르지 잃는다.
o. 상대방의 말을 자기가 이해한 말로 요약하여 다시 말한다.
3) 소감나누기
제 5 회 : 대화 기술
주제 : 친구 칭찬하기
1) 친구와 친하게 지낼 수 있는 방법으로 칭찬에 대해 토론 해보기
2) 이 학습과제가 중요한 이유를 설명한다.
3) 다음 상황 중 하나를 이용해 모델링이나 역할놀이를 한다.
4) 다음의 정반응이 일어나도록 촉구나 단서를 사용하고, 정반응 하면 강화를 한다.
5) 경험 나누기
6) 지난 시간에 숙제로 제시한 장점 100가지를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발표한다.
7) 한 사람씩 발표가 끝나면 집단원이 돌아가면서 장점을 더 해준다.
8) 발표자는 모든 얘기가 끝나면 감사를 전달한다.
제 6회 : 자기표현 기술
주제 : 정확한 자기 표현하기
1) 어른들이 여러분을 불공평하게 대할 때 어떻게 해야할지 토론해 봅시다.
①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여러분을 불공평하게 대할 때 여러분은 기분이 어땠습니까?
② 만약 어른들이 불공평하게 대할 때 여러분은 무슨 말을 합니까?
2) 행동의 중요성 설명
① 불공평한 대우를 받았다고 생각되면 공손한 태도로 자신의 입장을 이야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② 불공평한 대우에 대해 떳떳이 말하는 것이 올바른 행동이다.
3) 다음 상황을 이용해 모델링이나 역할놀이를 한다.
0. 친구와 교실에서 장난을 치다가 교실의 액자를 깨뜨렸다. 내가 깨진 화병을 주으려 할 때 마침 선생님이 오셔서 나에게 더 심한 벌을 주셨다.
4) 위의 지시대로 천천히 자신의 입장을 이야기 해 봅시다.
0. 선생님의 처벌이 불공평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상황을 자세하게 말씀 드린다.
(집단원이 돌아가면서 두 사람이 짝을 지어 역할놀이를 해본다.)
5) 소감 나누기 및 과제
과제 1. 시험시간에 옆 사람이 좀 보여달라고 한다. 그런데, 나는 보여주고 싶지 않았다. 그 때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 말해봅시다.
과제 2. 재미있는 TV프로를 보고 있는데 엄마가 그만 보고 가서 숙제를 하
라고 하신다. 그때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 말해봅시다.
제 7 회 : 자기 표현 (자기 주장) 훈련하기
◇ 학습과제 1 : ‘형식적 관계“에서 상대방에게 자기표현 행동하기
◇ 학습과제 2 : 친하지는 않지만 반복되거나 중요한 관계
◇ 학습과제 3 : 아주 친밀한 관계
2. 위의 상황을 하나, 하나 모델링이나 역할놀이를 한다.
3. 위의 상황에 대한 정반응을 하면 강화를 한다
4. 각자의 경험을 나누고, 소감을 발표 한다.
제 8회 : 감정나누기
3. 활동
(1) 다양한 감정표현의 얼굴 그림을 보고 그 얼굴이 어떤 감정과 상태를 표현하는지 감정 형용사를 찾아 감정을 알아 맞추는 연습을 한다.
(2) 둘러 앉아서 3초이내에 감정을 나타내는 낱말(형용사)를 찾아본다.
(3)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다양한 감정의 얼굴 표정 중 한 가지를 선택해 표정연기를 하고 나마지 친구들은 그 친구의 얼굴 표정을 보고 그 친구의 감정을 알아 맞춘다.
4. 소감나누기
종료 10분 전에 프로그램을 하면서 느낀 것과 경험한 것, 깨달은 것을 함께 나눈다. 지도자는 오늘 한 활동을 요약해 주고 마친다.
제 9회 : 분노통제
활동
(1) 자신의 실망했던 경험이나 분노했던 경험을 떠올려 실망이나 분노로 생기는 심리적인 반응에 어떤 것이 있는지 나누어본다.
(2)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망이나 분노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방법을 토론하고 발표한다.
(3)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학생들이 발표한 것 외에 빠진 것을 보충해서 더 설명해 준다.
(4) 실망이나 분노했던 경험을 회상해 주제를 하나 선택하고 이 감정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방법으로 역할연기를 꾸며서 발표해본다.
<참고하기>
1. 실망 감정 다루기
(1) 실망한 내 모습을 보고 자신의 감정을 인정한다.
(2) 실망했을 때 상대방에 대해 가질수 있는 긍정적인 생각을 통해 상대를 이해한다.
(3) 실망한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한다.
(4) 실망했을 때 할 수 있는 건전한 행동을 찾아본다.
2. 분노 감정 다루기
(1) 분노한 내 모습 보고 분노한 자신의 감정을 인정한다.
(2) 분노했을
  • 가격2,900
  • 페이지수50페이지
  • 등록일2008.09.30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19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