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본문내용
의 인지적 과정 중 세 번째 단계인 내용 비판은 고등 사고 능력으로, 들은 내용을 분석하고 판단한다. 정보의 정확성, 타당성, 적절성을 평가하고, 사실과 추론, 가정, 의견을 각각 구분하고, 화자의 목적과 의도를 파악한다. 관점의 차이도 인지한다.
비판적인 듣기는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화자의 의도나 가치에 대하여 의문을 갖고, 화자의 논리적 모순이나 타당성, 준거의 적절성, 기타 여러 가지 문제를 고려한다. 이 단계에서는 들은 내용에 대한 청자의 사전 지식, 즉 청자의 경험과 지식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종 단계인 감상은, 이해하고 비판한 의미들에 대한 가치 판단이나 반응으로서의 행동 등을 포함한다. 물론 가시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정서적인 변화도 감상에 포함한다. 마지막 단계이긴 하지만, 반드시 정보 확인, 내용 이해, 내용 비판의 단계를 거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어느 단계에서든지 감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감상은 모든 인지적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청자의 정의적인 판단인 것이다.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탐구』박영목한철우윤희원 공저
이야기 문법
이야기 문법은 이야기의 생성 과정을 문법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이야기 스키마의 중요한 특성을 포착하기 위한 형식적 장치이다. 최근 학자들의 관심이 단일 문장에서 텍스트나 담화(談話)로 옮아감에 따라 텍스트나 담화 구조의 규칙성을 설명하기 위한 방편으로 ‘글의 생성 문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런 제안들은 대부분 촘스키의 변형 생성 문법에서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빌려 왔으며, 그 구체적인 모습은 담화 생성의 원리인 담화 문법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야기 스키마는 어떤 특정의 이야기에 대한 이해를 안내하는 인지적(認知的) 구조이다. 이야기 문법의 적용 대상은 주로 동화나 전설 등과 같은 비교적 간단한 구어적(口語的) 서사 구조이다. 이야기 문법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문제 해결의 상황에 직면한 단일 주인공, 그 주인공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주인공의 행위 구조, 목표 성취 여부를 위주로 한 행위의 결과 등으로 구성된다.
지금까지 제안된 이야기 문법의 대부분은 이야기의 원초적(原初的) 구조에 대한 사람들의 지식을 기술하기 위해 ‘다시 쓰기 규칙(rewrite rules)'을 적용하고 있다. 다시 쓰기 규칙은 이야기에 나오는 여러 사건들의 발생 순서와 각 사건들 사이의 영향 관계를 명시해 준다. 즉, 이야기 구조는 이야기에 나오는 주인공의 행위에 대한 독자의 내면화된 문법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야기 문법은 이야기 구조에 대하여 몇 가지의 기본 가정을 하고 있다. 첫째, 이야기의 독해 및 기억은 이야기 속에 담긴 정보와 이야기의 원초적 특성에 대한 독자의 지식 구조 사이의 상호 작용 속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둘째, 모든 이야기는 어떤 형태이든 내적 구조(이야기 스키마)를 띠고 있을 것이다. 셋째, 이야기의 내적 구조는 위계적 내용 범주망과 각 범주들 사이의 논리적 관계로 기술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독자가 갖고 있는 이야기 스키마는 이야기의 독해 과정에서 이야기의 내용을 여러 범주로 확인하고 분류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다섯째, 이야기 구조에서 각 범주들 사이의 관련성은 독자들이 이야기의 내용을 확인하고 분류하는 방법과 유사할 것이다. 즉, 이야기 구조의 범주는 정보의 유형과 같을 것이다.
-『국어교육학 사전』에서
□ 홈페이지
# 뉴스 듣기
http://news.kbs.co.kr/
http://www.imbc.com/tv/news/index.html
http://news.sbs.co.kr/
# 토론 듣기
(KBS 길종섭의 쟁점토론) http://www.kbs.co.kr/sisa/jtoron/
(KBS 2TV 생방송 심야토론) http://www.kbs.co.kr/sisa/toron/
(MBC 100분 토론) http://www.mbc.co.kr/sisa_docu/talk100/html/home.html
(EBS 생방송 난상토론) http://www.ebs.co.kr/cgi-bin/ebs/
# 문학 듣기
(TV 책을 말한다) http://www.kbs.co.kr/1tv/book/board1.htm
(정운영의 책으로 읽는 세상) http://www.ebs.co.kr/cgi-bin/ebs/main/main_start.jsp
(라디오 독서실) http://www.kbs.co.kr/2radio/dramacenter/p_library.htm
(이주향의 책마을 산책) http://www.kbs.co.kr/1r/leebook/
# 교양/문화 듣기
http://www.kbs.co.kr/section/1tv/1tv_index.html
-KBS스페셜, 일요스페셜, 역사스페셜, 환경스페셜, 자연스페셜,
http://www.imbc.com/tv/culture/
-mbc스페셜, TV특강, 성공시대, 아름다운 인생, 임현식의 세상 돋보기, 우리말나들이, 한국에 가고싶다.
http://www.ebs.co.kr/cgi-bin/ebs/main/main_start.jsp
-10대 표현 우리가 말한다, 청소년 미술감상, 철학에세이, 예술의 광장, 일요초청특강
제2 라디오 드라마 센터(http://www.kbs.co.kr/2radio/dramacenter/)
-이제는 그리운 사람들, 이명숙 변호사의 가정법원, 특집 프로그램, kbs무대
※ 위 홈페이지는 방송사의 사정에 따라 프로그램이 변경되거나 폐지될 수 있음.
건의사항
1) 정리하며 듣기
활동3) 극심한 불행이---
지문 점검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2) 판단하며 듣기
활동4) 발문을 바꾸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현재의 발문은 적절하지 못한 근거를 말하 고 있는 사람이 보이지 않습니다.
(적절하지 못한 근거로 주장을 말하고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찾고, 그 의견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적절한 근거를 마련해 보자.)
⇒
무감독 시험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정하고 자신의 생각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보자.
보충심화
활동4)
압구정과 반구정
물음이 더 있어야 할 듯 합니다.
예) 이 이야기를 들으면서 느낀 점은 무엇인가?
비판적인 듣기는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화자의 의도나 가치에 대하여 의문을 갖고, 화자의 논리적 모순이나 타당성, 준거의 적절성, 기타 여러 가지 문제를 고려한다. 이 단계에서는 들은 내용에 대한 청자의 사전 지식, 즉 청자의 경험과 지식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종 단계인 감상은, 이해하고 비판한 의미들에 대한 가치 판단이나 반응으로서의 행동 등을 포함한다. 물론 가시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정서적인 변화도 감상에 포함한다. 마지막 단계이긴 하지만, 반드시 정보 확인, 내용 이해, 내용 비판의 단계를 거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어느 단계에서든지 감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감상은 모든 인지적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청자의 정의적인 판단인 것이다.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탐구』박영목한철우윤희원 공저
이야기 문법
이야기 문법은 이야기의 생성 과정을 문법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이야기 스키마의 중요한 특성을 포착하기 위한 형식적 장치이다. 최근 학자들의 관심이 단일 문장에서 텍스트나 담화(談話)로 옮아감에 따라 텍스트나 담화 구조의 규칙성을 설명하기 위한 방편으로 ‘글의 생성 문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런 제안들은 대부분 촘스키의 변형 생성 문법에서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빌려 왔으며, 그 구체적인 모습은 담화 생성의 원리인 담화 문법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야기 스키마는 어떤 특정의 이야기에 대한 이해를 안내하는 인지적(認知的) 구조이다. 이야기 문법의 적용 대상은 주로 동화나 전설 등과 같은 비교적 간단한 구어적(口語的) 서사 구조이다. 이야기 문법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문제 해결의 상황에 직면한 단일 주인공, 그 주인공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주인공의 행위 구조, 목표 성취 여부를 위주로 한 행위의 결과 등으로 구성된다.
지금까지 제안된 이야기 문법의 대부분은 이야기의 원초적(原初的) 구조에 대한 사람들의 지식을 기술하기 위해 ‘다시 쓰기 규칙(rewrite rules)'을 적용하고 있다. 다시 쓰기 규칙은 이야기에 나오는 여러 사건들의 발생 순서와 각 사건들 사이의 영향 관계를 명시해 준다. 즉, 이야기 구조는 이야기에 나오는 주인공의 행위에 대한 독자의 내면화된 문법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야기 문법은 이야기 구조에 대하여 몇 가지의 기본 가정을 하고 있다. 첫째, 이야기의 독해 및 기억은 이야기 속에 담긴 정보와 이야기의 원초적 특성에 대한 독자의 지식 구조 사이의 상호 작용 속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둘째, 모든 이야기는 어떤 형태이든 내적 구조(이야기 스키마)를 띠고 있을 것이다. 셋째, 이야기의 내적 구조는 위계적 내용 범주망과 각 범주들 사이의 논리적 관계로 기술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독자가 갖고 있는 이야기 스키마는 이야기의 독해 과정에서 이야기의 내용을 여러 범주로 확인하고 분류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다섯째, 이야기 구조에서 각 범주들 사이의 관련성은 독자들이 이야기의 내용을 확인하고 분류하는 방법과 유사할 것이다. 즉, 이야기 구조의 범주는 정보의 유형과 같을 것이다.
-『국어교육학 사전』에서
□ 홈페이지
# 뉴스 듣기
http://news.kbs.co.kr/
http://www.imbc.com/tv/news/index.html
http://news.sbs.co.kr/
# 토론 듣기
(KBS 길종섭의 쟁점토론) http://www.kbs.co.kr/sisa/jtoron/
(KBS 2TV 생방송 심야토론) http://www.kbs.co.kr/sisa/toron/
(MBC 100분 토론) http://www.mbc.co.kr/sisa_docu/talk100/html/home.html
(EBS 생방송 난상토론) http://www.ebs.co.kr/cgi-bin/ebs/
# 문학 듣기
(TV 책을 말한다) http://www.kbs.co.kr/1tv/book/board1.htm
(정운영의 책으로 읽는 세상) http://www.ebs.co.kr/cgi-bin/ebs/main/main_start.jsp
(라디오 독서실) http://www.kbs.co.kr/2radio/dramacenter/p_library.htm
(이주향의 책마을 산책) http://www.kbs.co.kr/1r/leebook/
# 교양/문화 듣기
http://www.kbs.co.kr/section/1tv/1tv_index.html
-KBS스페셜, 일요스페셜, 역사스페셜, 환경스페셜, 자연스페셜,
http://www.imbc.com/tv/culture/
-mbc스페셜, TV특강, 성공시대, 아름다운 인생, 임현식의 세상 돋보기, 우리말나들이, 한국에 가고싶다.
http://www.ebs.co.kr/cgi-bin/ebs/main/main_start.jsp
-10대 표현 우리가 말한다, 청소년 미술감상, 철학에세이, 예술의 광장, 일요초청특강
제2 라디오 드라마 센터(http://www.kbs.co.kr/2radio/dramacenter/)
-이제는 그리운 사람들, 이명숙 변호사의 가정법원, 특집 프로그램, kbs무대
※ 위 홈페이지는 방송사의 사정에 따라 프로그램이 변경되거나 폐지될 수 있음.
건의사항
1) 정리하며 듣기
활동3) 극심한 불행이---
지문 점검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2) 판단하며 듣기
활동4) 발문을 바꾸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현재의 발문은 적절하지 못한 근거를 말하 고 있는 사람이 보이지 않습니다.
(적절하지 못한 근거로 주장을 말하고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찾고, 그 의견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적절한 근거를 마련해 보자.)
⇒
무감독 시험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정하고 자신의 생각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보자.
보충심화
활동4)
압구정과 반구정
물음이 더 있어야 할 듯 합니다.
예) 이 이야기를 들으면서 느낀 점은 무엇인가?
추천자료
생활 속에서의 맞춤법, 표준어 사용 실태와 국어순화 방안
국어과교육, 수학과교육, 과학과교육 일반수업모형(일반학습모형), 도덕과교육, 음악과교육, ...
학습방법의 학습(기본학습훈련)의 학용품사용지도, 학습방법의 학습(기본학습훈련)의 학습생...
5)국어-5. 행복한 만남 - 중요한 내용 적으면서 방송 듣기
초등6)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 2.나눔과 어울림 (말하기∙듣기∙쓰...
생활연령보다 언어연령이 느린 아이가 있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언어적 어려움을 갖고 있는 ...
연령의 특성상 영아들은 하루일과가 일상생활의 활동들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등2) <국어 교수-학습 과정안 {세안} 듣기&#8228;말하기 82-83쪽 (2/4)차시> 7. 따뜻한...
초등4)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듣기말하기 (1/4)차시, 24-27쪽> 5. 생각을 펼쳐...
초등4)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듣기말하기쓰기 110-113쪽 (5/6)차시> 5. 생각을 ...
전달 효과를 평가하며 듣는다 [중등 10학년 듣기][고등학교 국어(하) 6. 표현과 비평
아동문학의 장르별 종류를 나열하고 한권 선정하여 보육과정의 연계성(생활주제에 따른)을 고...
그림책 1권을 선정하여, 그림책의 제목, 작가 소개, 그림책 줄거리, 출판사, 출판년도를 밝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