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하회마을 답사 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안동 하회마을 답사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서며

2. 삼남(三南)지방의 4대 길지(吉地)

3. 하회마을의 자연환경
1) 하회마을의 지형과 기후
2) 하회마을의 사면향별 가옥분포

4. 하회마을의 풍수 지리적 형국
1)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
2)행주형(行周形)

5. 나서며
<참고문헌>
<그림 출처>

본문내용

동안 잘 유지되어온 안동하회마을의 전통과 더불어 관광지로 발돋움하기에 좋은 조건을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실재로 많은 이 지역의 주민들의 삶은 과거와 같은 경작과 관직생활이 아닌 관광객을 상대로 하는 식당과 숙박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많은 건물들이 전통적인 외양을 그대로 갖추고 있으면서 현대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림 13>을 보면 전통 기와집의 모습으로 보건소의 역할을 하고 있는 건물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모습을 하회마을의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숱한 음식점과, 민박집도 <그림1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통 가옥을 살짝 개조하여 운영되고 있었다.
가옥들의 경우에도 과거에 지어졌던 집들을 잘 보수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므로 사전조사에서 살펴보았던 것과 같은 풍수지리적 이유에 따라 가옥이 입지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이전과 같이 많은 가구들이 모여살 필요가 없는 연유로 인해, 하회마을의 남쪽에는 많은 집들이 비어있거나, 헐리어서 경작지로 변해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뿐만아니라, 강변이 아닌 산 구릉에 경작지를 가지고 있던 과거의 경관과 달리 강변의 빈 집을 헐고 거기에 자그마한 밭을 경작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그림 10 참고)
<참고문헌>
-논문-
최희만. [영남지방 4대 전통취락의 지형적 입지 특성], {한국지리학회지}. 제9권 제4호. 2003.
-단행본-
경북도청. {下回마을 調査報告書}. 경북: 乙支社, 1979
임재해. {안동 하회 마을}. 서울: 대원사, 1994
신영훈. {안동 下回마을}. 서울: 朝鮮日報社, 1999
서수용. {안동 하회마을을 찾아서}. 서울: 민음사, 1999
-Web-
안동시청: http://www.andong.go.kr/
하회마을: http://www.hahoe.or.kr/
네이버 오픈백과: http://kin.naver.com/open100/
구글 이미지 검색: http://images.google.com/
-etc.-
성동환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풍수지리학과 교수
. [짧은 글 긴 생각]
epma.snu.ac.kr/keewook/tour/10.htm
<그림 출처>
■그림 1, 2, 6, 7 : 최희만. [영남지방 4대 전통취락의 지형적 입지 특성], {한국지리학회지}. 제9권 제4호. 2003.
■그림 9, 11, 12 : 구글 이미지 검색: http://images.google.com/
*목차
1. 들어서며
2. 삼남(三南)지방의 4대 길지(吉地) 村山智順의 「朝鮮의 風嗽」에서 제시되고 있는 용어이다. 저자는 일본인이지만, 조선말기 왕실 지관(地官)인 전기응의 도움을 받아 저술하였다고 하므로, 저자의 판단이 아닌 조선시대에 널리 알려진 길지관(吉地觀)을 수용한 것이라 볼 수 있다.
3. 하회마을의 자연환경
1) 하회마을의 지형과 기후
2) 하회마을의 사면향별 가옥분포
4. 하회마을의 풍수 지리적 형국
1)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
2)행주형(行周形)
5. 나서며
<참고문헌>
<그림 출처>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0.0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5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