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현대중공업의 입지와 특성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울산 현대중공업의 입지와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현대중공업 역사와 입지
1) 현대 중공업의 역사
2) 울산의 조선산업 입지 요인

2.조선산업의 특성과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현황
1) 조선산업의 특성
2)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현황
3) 한국의 미흡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3.국내 조선산업의 전망과 도전
1) 조선산업의 향후 전망
2) 국내 조선산업의 장기 발전 비전
3) 발전 전략

<참고문헌>

본문내용

끝에 세계 최초로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 공법을 개발했다. 육상에서 만들어진 거대한 배의 조각(블록)를 해상에 마련된 바지선 위에서 조립한 뒤 배가 다 만들어지면, 바지선을 가라앉혀서 배를 띄우는 방법이다. 해상에서 배를 용접할 경우, 흔들리는 문제가 있는데 이를 극복한 것이다.
- 산, 학, 연 등의 공동개발체제를 국축하고 적극 추진하여 투자 위험성을 줄이고 기술과 제품 개발의 효율성 제고한다. 울산대학교 산업정보경영공학부와 생산성연구소(소장 주상윤)가 지역 산업체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추진한 산. 학. 연 참가 생산성 세미나가 1990년부터 18년 간 생산성 향상에 관한 최신 이슈와 방법론을 내용으로 연간 12~14회씩 총 186회 진행됐다. 세미나 내용은 기술보다 시스템 관점에서 종합적이고 실무적인 것을 주제로 다룸으로써 실무에 적용하는 실질적인 효과와 함께 활발한 산. 학. 연 교류 성과를 거두고 있다. 올해는 호황을 맞고 있는 조선산업을 진단하고 경쟁력 강화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조선산업을 주제로 진행됐다. “울산대, 산업 생산성 향상 세미나 \'實效\'”, 뉴시스, 조현철 기자, 2007. 03. 28
- 조선산업 정보화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 추진한다.
- 기술개발 위한 기금 확보전략 추진과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율 제고한다.
■ 우수기술, 기능 인력의 수요 예측과 확보 전략
- 우수 인력의 조선 전공 기피는 한, 중, 일 모두 발생하는 현상. 더불어 전공자들의 업종 진출에 대한 기피도 심각한 상황이다. 전공인력의 적극적인 유치 및 우수인력의 조선 전공 유도를 위해 장학기금을 조성하는 등의 지원방안을 모색한다.
- 노동력의 고령화 추세가 심화되고 있고 기능 인력이 부족한 상황으로 업계 자체의 훈 련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것은 기본이고 정부차원에서도 기능인력 훈련기관 설립을 위해 노력하며 더불어 여성 인력 및 외국인 근로자 활용방안을 모색한다.
■ 해운산업 등 연관분야와의 공동발전 방안 모색
- 조선산업의 공급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메가플로트(Mega-Float), 헬리포트, 인공섬 등 수요증가가 예상되는 해양 구조물사업에 진출한다. 남 거제시에 위치한 삼성중공업 조선소의 피솔지역에선 세계 최대 규모의 해양플랜트 건조작업이 한창 진행 중이다. 러시아 사할린 유전지대에 보내질 해양플랜트는 선주의 요구사항을 일일이 맞춰야 할 만큼 까다로운 공정이다. 원윤상 해양기술영업팀 상무는 “본체 중량만 따져도 2만9,000톤에 이를 만큼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면서 “다양한 신공법을 적용하는 등 삼성중공업의 모든 기술력을 총동원했다”고 밝혔다. “[흔들리는 한국의 캐시카우] (3부-3) 히든카드는 고도 기술”, 서울경제, 2007. 03. 29
- 조선, 철강, 해운업계로 구성된 ‘해양구조물 공동개발 기구’ 창설하여 신수요를 창출하 고, 핵심기술을 개발하여 앞으로 있을 중국과의 경쟁에 공동 대응한다. 한진중공업은 아랍 에미리트의 GULMAR사로부터 DSV(잠수작업 지원선) 2척을 약 2억 2000만달러에 수주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발표했다. 이는 회사의 고기술 선박 건조능력이 대내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증거이다. “한진중공업, 잠수작업 지원선 국내 최초로 수주”, 뉴시스, 박성태 기자, 2007.04.02
자료: “한진중공업, 잠수작업 지원선 국내 최초로 수주”, 뉴시스
그림 7. DSV 평면도
■ 핵심기자재 개발과 공동전략 추진
- ‘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의 기능 강화와 활성화를 통해 핵심 기자재 개발을 지원한다.
- 성능평가 및 국제공인 품질 인증시스템(KOLAS, CE마크 등) 확보 등의 기능 강화로 중소업체의 기자재 품질을 제고한다.
- 선주를 포함한 정기 협의채널을 구축하고, ‘기자재 종합 브로슈어’를 제작, 해외배포하며
산, 학, 연 공동의 ‘세일즈 및 홍보단’을 구성한다.
- ‘공동 해외 A/S망을 구축하여 탑재 제품들의 정비, 판매, 알선, 홍보를 위한 전초기지로 활용한다.
■ 산업의 균형발전과 다각화 추진
- 국내 중소 업계와 대형 업계의 협조체계 구축을 유도한다.
- 포화 상태의 내륙운송 대신 연안 해상 운송을 유도하여 중소형 화물과 여객선 내수건 조 수요를 창출한다.
- 해외마케팅을 강화하여 중형급 선박 수출 확대를 노린다.
■ 정부정책 연계로 정책효율성 제고
- 정부 관련부처의 유기적 연계 추진이 필요하다.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 해양수산부, 외교통상부의 관력 정책을 동시 복합적으로 추진하여 정책 효율성을 극대 화한다.
■ 조선 선도국의 위상 제고와 역할 강화
- 조선산업의 각종 규제와 국제 기준을 정하고 독려하는 가장 영향력이 있는 협의체인 IMO (국제해사기구), ISO(국제표준기구, IACS(국제선급연합회)와 같은 국제기구에서의 적극적으로 활동한다.
-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고 세계적 연구소의 연구프로젝트를 지원하여 공동기술개발 사 업에 대한 지원을 추진한다. 이러한 노력은 한국의 조선산업에 대해 세계적으로 우호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도움이 되어 통상협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 세계 시장의 약 90%점유하는 한, 중, 일 3국간 학술교류 네트워크, 조선소간 네트워크 활성화, 안정적 시장유지를 위한 공동 노력 등 유대 강화를 위해 노력하여 공동의 이익 을 획득하고 세계 조선시장 발전에 기여한다.
<참고문헌>
홍성인, 2003, 조선산업의 경쟁요소별 분석 및 대응전략, 산업연구원
최길선 외, 2005, 한국의 조선산업 - 성장과 과제, 한국조선공업협회
李敬守 2001, \"조선산업의 국제 경쟁력 분석과 그 향상 방안\", 서울大學校 大學院
강종열, 조형제 저, 2005, 울산의 산업(3) - 자동차, 조선산업, UUP
*목차
1. 현대중공업 역사와 입지
1) 현대 중공업의 역사
2) 울산의 조선산업 입지 요인
2.조선산업의 특성과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현황
1) 조선산업의 특성
2)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현황
3) 한국의 미흡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3.국내 조선산업의 전망과 도전
1) 조선산업의 향후 전망
2) 국내 조선산업의 장기 발전 비전
3) 발전 전략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10.0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5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