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신조어에 대한 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터넷 신조어에 대한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본론
2.1 신조어 형성의 원인
2.2정치에 대한 인터넷 신조어
2.3 게임과 채팅에서의 신조어
2.3.1 게임과 채팅 상에 나타나는 신조어의 특징
2.3.2 게임과 채팅 상에서 나타난 신조어들의 예
2.4인터넷 댓글 상의 신조어
2.4.1 댓글 문화의 탄생

3.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없다. 위에서 언급한 폴리테인먼트의 전형적인 예로는 대선에서 노사모 등 정치인에 대한 팬덤 현상부터 시작해 총선 때 인터넷에서 본 정치패러디, 노회찬 어록 바람 등을 들 수 있다. 인터넷상에서 형성되는 정치적 신조어는 인터넷의 쌍방향적 특성상, 그 의미가 다양하고 포괄적인 것도 하나의 중요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정치에 대한 인터넷 상의 신조어의 예
1) - 스럽다[-따][-스러우니, -스러워]
‘-스럽다‘ 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러한 느낌이 있다’ 는 뜻의 형용사를 만드는데 쓰이는 접미사이다. 이 ‘-스럽다’를 활용한 정치적 신조어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 스럽다 ’를 활용한 정치적 신조어들의 의미는 믿거나 말거나 틀리거나 옳거나 하는 것과 관계가 없다. 기존에 존재하는 의미와 다소 비슷한 어법으로 쓰일 수 있으나, 그와는 달리 의미를 풀이하기가 간단치 않다. \'표현되어 나오는 논리전개 방식\'을 통해 좀 더 상세한 뜻풀이도 네티즌 사이에서 시도되고 있으며, 그에 따르면 \'-스럽다\'는 더욱 확장된 용법을 갖는 특성을 띈다.
‘-스럽다’가 사용된 예로는‘놈현스럽다, 유시민스럽다, 김대업스럽다, 검사스럽다, 오마이스럽다, 열우당스럽다, 영삼스럽다’등이 있는데, 다음은 그중 하나인‘놈현스럽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다.
‘놈현스럽다의 의미’
“상식과 원칙을 말하다가도 결정적인 순간에 뒷통수 친다”라는 뜻풀이 외에도 더욱 확장된 용법을 가진다.
-자기편 아니면 모두 적으로 간주, 보수든 진보든 모두 나쁜 놈이고 틀렸다고 우긴다.
-즉흥적인 판단 오류도 무언가 \'깊은 뜻\'이 있는 것으로 포장하고 옳다고 우긴다.
-\'상식과 원칙\'을 말하고 실제로 실천하기도 하다가 결정적인 순간에 뒷통수 친다.
-\'노무현\'에 대한 또는 스스로에 대한 절대적인 사랑, 믿음 등 종교적인 색채를 띤다.
-입장이 다른 경우 말이나 논리는 통하지 않는다(특히 \'진중권\'이라는 용어는 듣기도 싫어 완전히 격리 처리한다)
▲‘놈현스럽다’ 신조어에 실려 논란
출처:http://blog.naver.com/kjg0923?Redirect=Log&logNo=130023307790
이외에도 노 대통령에 관한 신조어는 아래와 같다,
노짱: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을 속되게 이르는 말.
노비어천가: 노 당선자 당선이후 갑자기 칭찬 일변도로 변한 언론의 논조 를 풍자한 말.
노빠: [명사]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친밀한 관계에 있는 인사나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을 적극 지지하는 사람을 속되게 이르는 말. (노무현(盧武鉉) 오빠’를 줄여 이르는 말)
노빠당: [명사]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친밀한 관계에 있는 인사로 이루어진 ‘열린 우리당’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차떼기
현 국어사전에서의 트럭 한 차에 얼마로 값을 쳐서 어떤 상품을 사들이는 일‘ 이란 의미와 달리 현금 수 백 억원이 실린 트럭을 정치인에게 통째로 넘겨주는 일을 나타내는 말로 ’차떼기 라는 용어가 쓰인다. 이를 기존 어휘에 새로운 의미가 추가되어 그 의미 폭이 확장된 신조어의 예이다. 또 하나의 특징은 오랜 시간 쓰이고 있는 것이고, 일부에서는 ‘차떼기 당’이라고 칭하면 의미를 확대 했다.
▲차떼기 등장이 약 5년이 넘는 지금도 계속 쓰이고 있다.
2.3 게임과 채팅에서의 신조어
채팅 상에서 신조어가 나타나게 된 이유로 우선 발화의 편리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채팅방에 들어가 보면 사람들이 정말 많이 들어갔다 나왔다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때마다 ‘안녕하세요, 안녕하십니까, 반갑습니다’라는 표현부터 시작해서 이어지는 말들을 일일이 적기가 불편하다. 그리고 이러한 진행은 계속해서 반복되어진다 할 수 있다. 이렇게 불편하고 귀찮은 것을 극복하고 보완하는 과정에서 채팅용어가 생겨났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문화 공유 차원에서 설명할 수 있다. 채팅용어가 빠르게 전파된 것은 ‘남들이 다 사용하는데 나만 사용하지 않는다면 나는 소외될 수 있다.’는 심리적 요인도 있다는 것이다. 특히 사회적 문화를 잘 받아들이고 이해가 빠른 편이 젊은이들이 주 사용 층이라 채팅용어의 파급이 빨라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게임 상에서 나타난 신조어들은 대게 온라인게임에서 나타난 경우가 많다. 1990년대 후반 온라인 게임 바람의 나라를 필두로 하여 각종 온라인게임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들 온라인 게임등장으로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은 온라인상에서 만나 어울려서 그들만의 언어를 만들어 내기 시작하고 사용하기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게임마다 다른 무수히 많은 신조어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렇게 나타나게 된 신조어들은 특정게임만을 하는 사람들만 알아들을 수 있는 신조어가 있는가 하며, 어떤 신조어는 그 게임 뿐 만 아니라 현실에서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하는 게임에서 나타난 용어 같은 경우 사회 전반에서 사용되어지기도 한다.
2.3.1 게임과 채팅 상에 나타나는 신조어의 특징
게임과 채팅 상에서 나타난 신조어들은 한 가지 공통된 특징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많은 축약어의 사용이다.
내용은 입말언어의 성향을 많이 띄지만 자판으로 쓰는 것으로는 입말언어를 하듯 할 수가 없기에 많은 사람들이 축약어를 사용함으로써 좀 더 빠르게 자신의 의사를 남에게 표현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와는 조금 다르게 게임을 하는 사람은 대게 게임을 진행하면서 같이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한다. 게임과 의사소통을 동시에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빠르고 간결하게 글자를 적어 상대방에게 말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축약어가 많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또 컴퓨터의 용어와 관련된 어휘와 게임 상 나타나는 용어와 합성되어져 만들어진 어휘도 찾아 볼 수 있다. 하지만 게임 상 나타난 신조어들은 특별한 사회적 의미를 담는 다기 보다는 개인적인 편의에 의해 생겨난 경우가 대부분이다.
2.3.2 게임과 채팅 상에서 나타난 신조어들의 예
△채팅상 신조어
1) 인사말 : 안녕하셨쎄요.하이염, 하이루, 방가방가, 방가영, 방가염.-안냐세요. 등
2) ~~체 : 하삼체, 하오체, 하셈체, 문근영체, 이나영체,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0.07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33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