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의 정치 사회학 - 정체성과 패미니즘으로 인한 성 정치학과 양성평등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의 정치 사회학 - 정체성과 패미니즘으로 인한 성 정치학과 양성평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I. 성의 사회․정치학 이론적 개요

<본 론>
II. 성 정체성의 이론 및 고찰
III. 성의 정체성에 대한 페미니즘 관점 차이와 다양한 페미니즘
IV. 패미니스트 운동과 사회적 변화
V. 제프리 윅스의 「섹슈얼리티 : 성의 정치」내용 탐구
VI. 성의 정치학 개념 및 관계 이해
VII. 세계 여성정치 참여 현황 및 한국 여성의원 비율 여성정책

<결 론>
VIII. 여성의 정치 세력화를 위한 우리의 과제
IX. 여성의 정치의 경향 및 쟁점과 보도 사례
X. 여성 정치의 지향점과 양성 평등 발전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적인 조약과 정세를 수용하도록 압력을 가함으로써 효과를 거두었다.
1995년에 캐나다 정부는 베이징 세계 여성대회의 결과를 수용하여 정책개발과 분석과정에서 모든 정책과 법안이 어떻게 남녀에게 다른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도록 의무화한 젠더에 기반한 분석(gender-based analysis)을 채택하였다(Status of Women Canada, 1997). 캐나다는 페미니스트 관료와 여성조직과의 공생적인 관계가 정권교체와 경제적 합리주의에 의해 변화를 가져왔지만 국제사회에 대한 적극적인 반응이 여성의제를 정책으로 실현하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3) 호주
① 평등주의와 사회정의의 전통
19세기에 호주 정착자 들은 영국의 차아 티스트 운동의 급진적인 요구들을 수용하면서 남성참정권, 비밀, 보통선거와 같은 민주적인 조치들을 취하였다. 국가형성 초기부터 정부는 사회 경제적 하부구조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호주인 들은 항상 국가가 선 경제 발전, 후 복지의 기관차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해 왔다(Sawer, 1994).
호주의 민주적인 제반 조치들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까지도 여성들은 공적영역에 그 모습을 드러내지 못하였다. 1970년대에 들어 여성들의 의회진출이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여 1972년에 의회에서 여성의 수는 2%에 불과하였으나 1991년에 13%에 이르렀다. 의회에 진출한 대부분의 여성들이 노동당원이기는 하지만, 1977년 연방선거에서 노동당은 패배하였다. 노동당은 패인을 여성들이 노동당에 투표하는 비율이 남성보다 낮은 데서 기인하는 것으로 평가하고, 전통적으로 노동당이 일하는 남성의 당이라는 이미지를 벗기 위해 1981년에 정당정치에서 여성들에 대한 적극적인 우대조치 정책을 발전시켜갔다(Grieve and Burns, 1986).
② 여성선거로비와 네트워크 조직: 여성주의 관료와 중심-주변모델의 정채기구
호주의 여성운동은 1880년대에 금주운동, 아동복지 개선운동과 여성참정권 운동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1902년에 여성참정권이 주어졌고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조직화된 페미니즘이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940년대에 부활하기 시작하였다.
호주에는 호주여성을 대표하는 전국조직이 있는 것은 아니다. 570여 개의 여성단체가 가입되어 있는 전국여성위원회는 보수주의 정파를 따르고 있다. 호주의 제2의 페미니즘의 물결을 대표하는 조직으로는 WEL, 편모와 아동을 위한 전국위원회(National Council of Single Mothers and their Children), 호주 여성교육 연합(Austrailian Women\'s Education Coalition) 등이 있다. 지방에는 수많은 여성조직들이 있지만 페미니스트 문화를 확산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어 정치적 행동에 관여하지는 않는다. 여성쉼터를 운영하는 급진적 분리주의 페미니스트들과 주정부에서 운영하는 일하는 여성의 집(Working Women\'s Centers)에 고용되어 있는 사회주의 페미니스트, 그리고 전문직 여성들의 연합체에 의해 대표되는 자유주의적 개량주의 등 여성운동의 이념과 지향의 스펙트럼은 넓다(Sawer, 1994).
호주에서 최초의 여성해방 그룹은 1969년에 시드니와 캔버라에서 조직되었고 반전운동에서 활동가들이 배출되었다. 1970년대에 의식고양 그룹들이 전국적으로 형성되면서 여성해방그룹들은 1972년에 여성선거로비(WEL)라는 비당파적이고 비위계적인 조직을 결성하였다. WEL은 종종 사안에 따라 광범위한 여성연대를 창출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Sawer, 1994; Watson, 1990).
1972년 호주의 전국 선거에서 노동당의 당수인 위트 램(Whittlam)이 승리하였다. 이 선거에서 개량적 페미니스트 그룹인 여성선거로비(Women\'s Electoral Lobby-WEL)는 선거 캠페인에서 여성 이슈를 가지고 강력하게 로비를 하였고, 위트램의 당선은 상당한 정도로 여성운동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평가된다. 위트 램은 당선 이후 엘리자베스 레이드를 여성위원회의 초대 자문위원으로 지명하였고 차별금지 법안, 고용평등 프로그램, 통합된 육아 정책을 만들었다. 1975년 세계여성의 해에 위트 램 정부는 놀라울 정도의 기금을 호주 전 지역에 지원하였다. 그러나 차기 선거에서 위트 램이 패배하자 페미니스트들은 선거에서의 승리를 통하여 여성들의 이해를 증진시키는 방법은 그다지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하고, 그 대안으로 정부 조직 내에 영구적인 여성자문위원을 확립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Eisenstein, 1995).
국무총리 산하에 여성자문위원을 세우는 일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차원에서 급속히 진전되었고 1976년과 1990년 사이에 전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전략은 노동, 복지, 보건 등을 포함한 정부의 각 부처에서 여성들의 자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성공적으로 밀어 붙였다. 차별금지법안의 통과와 함께 여성주의 관료들은 실질적인 연결망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여성주의 관료의 확립이라는 전략은 시작부터 자신들의 직위가 조직화된 여성운동으로 부터의 요구와 압력을 수용하여 여성 전반의 이해를 증진시키는 정책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인식되었다(Grieve and Burns, 1986; Sawer, 1990).
호주의 여성정책 관련 기구의 성립은 여성주의 관료와 여성운동 단체들의 논쟁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 논쟁에서 페미니스트들이 직면한 문제는 여성운동의 반위계적인(anti-hierarchical) 집합성의 원칙과 정부 관료제의 위계구조 간의 모순, 여성정책 국가기구가 충분한 자원을 확보하고 집행권을 확보해야 하는 점, 그리고 독립된 기구가 주변화될 수 있는 한계를 극복하는 문제였다(Watson, 1990). 이 논쟁을 통하여 페미니스트들은 중앙-주변모델(center-periphery model)을 채택하였다. 중심단위는 모든 내각의 입안사항에 접근할 수 있는 내각과 총리실에 두어지고 연방과 주정부의 부처별 단위는 초기단계에서부터 양성평등을 위한 정책의 발전을 감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며, 부처별 여성담당기구들 간의 네트
  • 가격3,000
  • 페이지수46페이지
  • 등록일2010.11.28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09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