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각 지방별 방언의 특징과 예.
2.1 전라도 방언.
2.2 강원도 방언.
* 강원도 방언의 특징
2.3 경상도 방언.
2.4 제주도 방언.
2.5 충청도 방언
3. 결론
4.내용출처
2. 각 지방별 방언의 특징과 예.
2.1 전라도 방언.
2.2 강원도 방언.
* 강원도 방언의 특징
2.3 경상도 방언.
2.4 제주도 방언.
2.5 충청도 방언
3. 결론
4.내용출처
본문내용
1. 서 론
방언은 우리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향토적인 언어라 할 수 있다. 때로는 표준어와 방언의 심한 차이로 의미 전달에 방해가 되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방언에 대한 평가가 단순한 비표준어의 의미로 무조건 사용에 제약을 받아야 할 필요는 없다. 방언에 의해 표준어만으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의미를 가진 단어들이 생겨나고, 그로 인해 국어사용에 있어서 단어 선택의 여유가 생긴다.
방언은 왜 생겼을까? 먼저 두 지역 사이에 큰 산맥이나 강, 또는 큰 숲이나 늪 등의 지리적인 장애가 있을 때면 그것에 의하겠지만 이러한 뚜렷한 장애물이 없더라도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으면, 그 양쪽 지역 주민들 사이의 왕래가 어려워지고 따라서 두 지역의 언어는 점차 다른 모습으로 발전해 가리라는 것은 쉽게 짐작되는 일이다. 행정구역이 다르다든가 시장권이나, 학군, 또는 교구등이 다르다는 것도 서로의 왕래를 소원하게 함으로써 방언의 분화를 일으키는 요인이 되는 수가 많다. 어떠한 조건에 의해서든 이처럼 지역이 떨어져 있어서 생기는 방언을 지역방언이라 한다. 우리 나라에서 흔히 ‘제주도 방언, 경상도 방언, 전라도 방언’ 등으로 도명을 붙여 부르는 방언들이 이 지역방언의 전형적인 예이지만, ‘중부방언, 영동방언, 흑산도 방언, 강릉방언’과 같은 이름의 방언도 역시 지역방언의 예이다.
두 번째로 사회방언이 있다. 방언은 지역이 달라짐에 따라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동일한 지역 안에서도 몇 개의 방언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한 지역의 언어가 다시 분화를 일으키는 것은 대개 사회계층의 다름, 세대의 차이 또는 성별의 차이 등의 사회적 요인에 기인한다. 이처럼 지리적인 거리에 의해서가 아니라 사회적인 요인에 의하여 형성되는 방언을 사회방언이라 한다.
이 글에서는 지역의 거리, 장애물에 의한 각 지방별(전라도, 강원도, 경상도, 제주도, 충청도) 지역방언에 대해 조사하여 보았다.
2. 각 지방별 방언의 특징과 예.
2.1 전라도 방언.
전라도 방언을 고노 로쿠로(河野六郞)는 경상도방언과 묶어 남선방언(南鮮方言)이라 하였다. 오늘날 남부방언으로 바꾸어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전라도 방언과 경상도 방언은 공통적인 면이 많이 있다. 우선 그 중 대표적인 것들 몇 가지를 (이들 중 어떤 것은 어느 한 방언에만 해당한다. 가령 예문 ⑵에서 전라도방언에도 쓰이는 것은 \'새비\' 뿐이다.) 봄으로써 이 방언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중세국어에서 \'ㅿ, ㅸ\'으로 표기되던 것들이 이 지방에서는 각각 \'ㅅ\'과 \'ㅂ\'으로 살아남은 것을 들 수 있다.
⑴가실(가을), 모시(모이), 여시/야시(여우), 나숭개(냉이), 잇어라(이어라), 젓으니 (저으니), 낫았다(나았다)
⑵ 새비(새우), 누베(누에), 호박(확), 추비(추위), 더버서(더워서), 달버요(달라요), 고바서(고와서) 등이 그 예다. \'ㅅ\'유지형은 중부에서도 꽤 넓게 발견되나 \'ㅂ\'유지형은 경기도 중심의 중부나 그 이북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음들이다. 그만큼 고형(古形)이 남부에 많이 유지되어 있는 것이다. 또 중세국어의 \'ㆍ\'가 \'ㅗ\'로 변한 특이한 단어들이 있는 것도 전라도방언과 경상도방언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이다.
⑶ 포리(파리), 폴(팔), 모실(마을), 몰(말), 노물(나물),
방언은 우리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향토적인 언어라 할 수 있다. 때로는 표준어와 방언의 심한 차이로 의미 전달에 방해가 되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방언에 대한 평가가 단순한 비표준어의 의미로 무조건 사용에 제약을 받아야 할 필요는 없다. 방언에 의해 표준어만으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의미를 가진 단어들이 생겨나고, 그로 인해 국어사용에 있어서 단어 선택의 여유가 생긴다.
방언은 왜 생겼을까? 먼저 두 지역 사이에 큰 산맥이나 강, 또는 큰 숲이나 늪 등의 지리적인 장애가 있을 때면 그것에 의하겠지만 이러한 뚜렷한 장애물이 없더라도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으면, 그 양쪽 지역 주민들 사이의 왕래가 어려워지고 따라서 두 지역의 언어는 점차 다른 모습으로 발전해 가리라는 것은 쉽게 짐작되는 일이다. 행정구역이 다르다든가 시장권이나, 학군, 또는 교구등이 다르다는 것도 서로의 왕래를 소원하게 함으로써 방언의 분화를 일으키는 요인이 되는 수가 많다. 어떠한 조건에 의해서든 이처럼 지역이 떨어져 있어서 생기는 방언을 지역방언이라 한다. 우리 나라에서 흔히 ‘제주도 방언, 경상도 방언, 전라도 방언’ 등으로 도명을 붙여 부르는 방언들이 이 지역방언의 전형적인 예이지만, ‘중부방언, 영동방언, 흑산도 방언, 강릉방언’과 같은 이름의 방언도 역시 지역방언의 예이다.
두 번째로 사회방언이 있다. 방언은 지역이 달라짐에 따라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동일한 지역 안에서도 몇 개의 방언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한 지역의 언어가 다시 분화를 일으키는 것은 대개 사회계층의 다름, 세대의 차이 또는 성별의 차이 등의 사회적 요인에 기인한다. 이처럼 지리적인 거리에 의해서가 아니라 사회적인 요인에 의하여 형성되는 방언을 사회방언이라 한다.
이 글에서는 지역의 거리, 장애물에 의한 각 지방별(전라도, 강원도, 경상도, 제주도, 충청도) 지역방언에 대해 조사하여 보았다.
2. 각 지방별 방언의 특징과 예.
2.1 전라도 방언.
전라도 방언을 고노 로쿠로(河野六郞)는 경상도방언과 묶어 남선방언(南鮮方言)이라 하였다. 오늘날 남부방언으로 바꾸어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전라도 방언과 경상도 방언은 공통적인 면이 많이 있다. 우선 그 중 대표적인 것들 몇 가지를 (이들 중 어떤 것은 어느 한 방언에만 해당한다. 가령 예문 ⑵에서 전라도방언에도 쓰이는 것은 \'새비\' 뿐이다.) 봄으로써 이 방언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중세국어에서 \'ㅿ, ㅸ\'으로 표기되던 것들이 이 지방에서는 각각 \'ㅅ\'과 \'ㅂ\'으로 살아남은 것을 들 수 있다.
⑴가실(가을), 모시(모이), 여시/야시(여우), 나숭개(냉이), 잇어라(이어라), 젓으니 (저으니), 낫았다(나았다)
⑵ 새비(새우), 누베(누에), 호박(확), 추비(추위), 더버서(더워서), 달버요(달라요), 고바서(고와서) 등이 그 예다. \'ㅅ\'유지형은 중부에서도 꽤 넓게 발견되나 \'ㅂ\'유지형은 경기도 중심의 중부나 그 이북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음들이다. 그만큼 고형(古形)이 남부에 많이 유지되어 있는 것이다. 또 중세국어의 \'ㆍ\'가 \'ㅗ\'로 변한 특이한 단어들이 있는 것도 전라도방언과 경상도방언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이다.
⑶ 포리(파리), 폴(팔), 모실(마을), 몰(말), 노물(나물),
키워드
추천자료
노동신문에 나타난 북한언어의 특징..
우리 나라 민요의 특징
*중국의 사회문화적 특징*
(식생활과문화D형)우리나라의 각 지역별 향토음식에 대하여
일본음식의특징
[한국전통음식][전통요리][각 지방 대표적 음식][요리][보양식][바람직한 식사예절][바람직한...
한국음식(한국요리)의 특성, 한국의 상차림, 강원도와 경기도요리(경기도음식), 충청도와 전...
[막걸리]막걸리의 특징과 다양한 효과 및 우수성, 국내외 막걸리 열풍 현황과 배경 원인 분석...
한용운의 시세계의 특징(방송통신대과제)
[국어][기본어휘][국어 부정문 유형][국어 부정문 구조][국어 의문문 유형][국어 의문문 특징...
프랑스어(불어) 특징, 프랑스어(불어) 성립, 프랑스어(불어) 모음 구조, 프랑스어(불어) 의미...
[언어지도] 영아기 언어발달특징의 예를 들고 지도방안에 대한 생각을 제시
한국어 어휘의 특징과 어휘 분류 (어휘 능력과 어휘의 특징, 한국어 어휘의 특징, 어휘의 분류)
호남인(湖南 : 전라도)의 정체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