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목차
6. 간호윤리의 개관
1) 간호윤리의 의의
1. 간호윤리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현대간호에서 간호윤리가 강조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3. 최근 간호윤리 연구 주제를 2개 이상 나열할 수 있다.
4.
5.
....
----------------------------------------------------------
6. 윤리학의 기본개념
7. 전문직 윤리강령
8. 간호사와 간호사간의 윤리
9. 간호사와 대상자간의 윤리
10. 간호사와 협동자와의 윤리
11. 간호실무
1) 간호윤리의 의의
1. 간호윤리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현대간호에서 간호윤리가 강조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3. 최근 간호윤리 연구 주제를 2개 이상 나열할 수 있다.
4.
5.
....
----------------------------------------------------------
6. 윤리학의 기본개념
7. 전문직 윤리강령
8. 간호사와 간호사간의 윤리
9. 간호사와 대상자간의 윤리
10. 간호사와 협동자와의 윤리
11. 간호실무
본문내용
지 못함
② 문제 결정시에 개인의 권리가 존재하는 점을 고려하지 않음
③ 경우에 따라 정의를 고려하지 않을 수 있음
♣ 공리주의에 대한 옳지 않은 설명은 어느 것인가?
1) 결과주의적 윤리의 대표적인 이론이다.
2) 효용의 윤리와 결과주의 원리를 기본으로 한다.
3)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의 분류 기준은 효용의 원리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가 된다.
4) 다원적 공리주의는 다양한 내재적 가치를 받아들이고 행복, 쾌락, 우정, 지식 등이 포함된다.
5) 행위 공리주의는 효용성의 원리를 규칙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정답: 5)
해설: 공리주의 유형은 무엇을 효용성으로 보느냐에 따라 쾌락적 공리주의와 다원적 공리주의, 주관적인 선호에 기초한 공리주의로 나눌 수 있고, 효용의 원리를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로 분류할 수 있다. 5) 항의 행위 공리주의는 공리의 원리를 개별적인 행위에 직접 적용할 때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 행위 공리주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행위 공리주의에서 행위의 옳고 그름의 기준은 유용성의 원리이다.
나. 유용성의 원리를 구체적인 개별행위에 적용시켜 그 행위의 도덕적 가치를 판단한다.
다. 행위공리주의자들은 규칙을 어기는 것이 최대한의 공리를 생산한다면 규칙을 어길 수 있다.
라. 행위공리주의에서 각각의 특수한 상황에 민감하게 대응하기 위해선 수많은 규칙이 요구된다.
1) 가, 나, 다
2) 가, 다
3) 나, 라
4) 라 5) 가, 나, 다, 라
정답: 1)
해설: 규칙 공리주의에서 각각의 특수한 상황에 민감하게 대응하기 위해선 수많은 규칙이 요구된다.
2. 의무론을 설명할 수 있다
(1) 의무론의 정의
: 결과와 무관하게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는 수행하여야 하고 도덕 규칙을 준수하여야 한다는 이론
(2) 분류
① 일원론적 의무론
: 옳음, 그름에 관한 판단을 위해 단 한 개의 유일한 원리가 있다고 적용
② 다원론적 의무론
: 하나 이상의 기본규칙이나 원리주장
③ 행위 의무론
: 직관에 의해 개별 행위 판단
④ 규칙 의무론
: 도덕적으로 선택, 판단, 추론하는데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규칙이나 원칙에 의거함
(3) 장점
① 일반인들이 통상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도덕을 고려
② 인간관계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판단
③ 과거 행위를 고려한다. 즉 과거에 대한 특정행위로 인하여 특정의 의무를 가짐
(4) 단점
① 도덕 규칙들 간의 상충이 있을 때 문제해결이 어려움
② 도덕 추론의 절차가 복잡하여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
③ 도덕의 목표로 도덕의 중요성에 대해 명료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함
♣ 의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원론적 의무론: ‘옳음’이나 ‘그름’에 관한 모든 판단을 위하여 단 한 개의 유일한 원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2) 도덕적 의무론: 도덕 규칙의 원리를 이용하여 관련된 사람에게 최선의 의무를 다한다.
3) 행위의무론: 직관에 의해 개별행위에 대하여 판단한다.
4) 규칙의무론: 도덕적으로 선택하고 판단, 추론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규칙이나 원칙에 의거하게 된다.
5) 다원론적 의무론: 하나 이상의 기본 규칙이나 원리를 주장한다.
정답: 2)
해설: 의무론이란 결과와 무관하게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는 수행하여야 하고 도덕규칙을 준수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도덕 판단의 기본이 되는 원리의 수효에 따라 일원론적 의무론과 다원론적 의무론으로 분류하고 규칙을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 행위의무론과 규칙의무론으로 나눈다.
♣ 칸트의 의무론에 해당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
가. 본질적으로 선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선한 의지뿐이라고 하였다.
나. 어떤 행위의 도덕적 가치는 행위가 행해진 동기에 의해 결정된다.
다. 도덕 규칙들은 언제나 정언명령의 형식을 취한다.
라. 완전한 의무는 언제나 불완전한 의무보다 선행한다.
1) 가, 나, 다
2) 가, 다
3) 나, 라
4) 라 5) 가, 나, 다, 라
정답: 5)
해설: 칸트는 도덕규칙들은 항상 정언명령의 형식을 취한다고 하였고 완전한 의무나 언제나 불완전한 의무보다 선행한다고 하였다.
♣ 다음 중 로스의 의무론에서 제시한 조건부 의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신의와 보상의 의무
나. 보은과 정의의 의무
다. 선행과 악행금지의 의무
라. 자기계발의 의무
1) 가, 나, 다
2) 가, 다
3) 나, 라
4) 라 5) 가, 나, 다, 라
정답: 5)
해설: 조건부 의무는 다른 조건이 같을 경우 의무가 되는 어떤 것으로 다른 도덕적 고려사항이 개입되지 않는 한 실제적 의무가 되는 어떤 것이다. 로스는 이상의 의무를 모두 조건부 의무라 하였다.
3. 공리주의와 의무론을 비교 설명할 수 있다.
공리주의
의무론
특징
ㆍ다수의 행복을 위해서 소수가 희생 되어도 좋다는 논리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ㆍ결과적으로 나타난 선의 유무가 윤 리 행동의 척도
ㆍ어떤 것도 그 자체로서 옳거나 그르 지 않음
ㆍ최선의 결과를 가져올 것인가 하는 문제에 관심이 많음
ㆍ신축성 있는 도덕 규칙 적용
ㆍ효용의 원리 + 결과주의 원리
ㆍ책임에서 유래
ㆍ통상적인 도덕 규칙에 의거하여 문 제를 다룸
ㆍ지켜야 할 절대 가치 전제
ㆍ결과보다 취해진 행동의 형태의 본 질 중시
ㆍ인간을 대할 때 목적으로 대함
장점
ㆍ행해여 할 올바른 일을 결정할 때 분명한 절차를 제시
ㆍ옳은 행위의 수행이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결과를 가져옴
ㆍ도덕적 갈등이나 딜레마에 대한 합 리적 방향을 제시
ㆍ윤리적 상황에 대한 신축성을 활용, 결과의 예외를 인정
ㆍ행위의 일반원칙을 제시하여 상황에 좌우되지 않음
ㆍ인간의 과거 행위를 고려하여 특정 한 의무를 지움
단점
ㆍ다수의 행복을 위해 소수의 고통 받 는 사람이 희생되어도 좋다.
→ 개인의 인권이 무시될 가능성
ㆍ경우에 따라 개인의 권리가 무시될 수 있음
ㆍ도덕적 의무보다 효용이 중시
ㆍ행위의 도덕성 평가의 유일한 요인 이 ‘결과’
→ 일상적, 도덕적 가치가 무시될 가능성
ㆍ도덕규칙간의 상충이 있을 때 문제 해결이 어려움
♣ 다음은 공리주의의 장점에 대한 설명이다. 제외되는 것은?
1) 행해야 할 올바른 일을 결정할
② 문제 결정시에 개인의 권리가 존재하는 점을 고려하지 않음
③ 경우에 따라 정의를 고려하지 않을 수 있음
♣ 공리주의에 대한 옳지 않은 설명은 어느 것인가?
1) 결과주의적 윤리의 대표적인 이론이다.
2) 효용의 윤리와 결과주의 원리를 기본으로 한다.
3)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의 분류 기준은 효용의 원리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가 된다.
4) 다원적 공리주의는 다양한 내재적 가치를 받아들이고 행복, 쾌락, 우정, 지식 등이 포함된다.
5) 행위 공리주의는 효용성의 원리를 규칙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정답: 5)
해설: 공리주의 유형은 무엇을 효용성으로 보느냐에 따라 쾌락적 공리주의와 다원적 공리주의, 주관적인 선호에 기초한 공리주의로 나눌 수 있고, 효용의 원리를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로 분류할 수 있다. 5) 항의 행위 공리주의는 공리의 원리를 개별적인 행위에 직접 적용할 때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 행위 공리주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행위 공리주의에서 행위의 옳고 그름의 기준은 유용성의 원리이다.
나. 유용성의 원리를 구체적인 개별행위에 적용시켜 그 행위의 도덕적 가치를 판단한다.
다. 행위공리주의자들은 규칙을 어기는 것이 최대한의 공리를 생산한다면 규칙을 어길 수 있다.
라. 행위공리주의에서 각각의 특수한 상황에 민감하게 대응하기 위해선 수많은 규칙이 요구된다.
1) 가, 나, 다
2) 가, 다
3) 나, 라
4) 라 5) 가, 나, 다, 라
정답: 1)
해설: 규칙 공리주의에서 각각의 특수한 상황에 민감하게 대응하기 위해선 수많은 규칙이 요구된다.
2. 의무론을 설명할 수 있다
(1) 의무론의 정의
: 결과와 무관하게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는 수행하여야 하고 도덕 규칙을 준수하여야 한다는 이론
(2) 분류
① 일원론적 의무론
: 옳음, 그름에 관한 판단을 위해 단 한 개의 유일한 원리가 있다고 적용
② 다원론적 의무론
: 하나 이상의 기본규칙이나 원리주장
③ 행위 의무론
: 직관에 의해 개별 행위 판단
④ 규칙 의무론
: 도덕적으로 선택, 판단, 추론하는데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규칙이나 원칙에 의거함
(3) 장점
① 일반인들이 통상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도덕을 고려
② 인간관계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판단
③ 과거 행위를 고려한다. 즉 과거에 대한 특정행위로 인하여 특정의 의무를 가짐
(4) 단점
① 도덕 규칙들 간의 상충이 있을 때 문제해결이 어려움
② 도덕 추론의 절차가 복잡하여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
③ 도덕의 목표로 도덕의 중요성에 대해 명료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함
♣ 의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원론적 의무론: ‘옳음’이나 ‘그름’에 관한 모든 판단을 위하여 단 한 개의 유일한 원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2) 도덕적 의무론: 도덕 규칙의 원리를 이용하여 관련된 사람에게 최선의 의무를 다한다.
3) 행위의무론: 직관에 의해 개별행위에 대하여 판단한다.
4) 규칙의무론: 도덕적으로 선택하고 판단, 추론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규칙이나 원칙에 의거하게 된다.
5) 다원론적 의무론: 하나 이상의 기본 규칙이나 원리를 주장한다.
정답: 2)
해설: 의무론이란 결과와 무관하게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는 수행하여야 하고 도덕규칙을 준수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도덕 판단의 기본이 되는 원리의 수효에 따라 일원론적 의무론과 다원론적 의무론으로 분류하고 규칙을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 행위의무론과 규칙의무론으로 나눈다.
♣ 칸트의 의무론에 해당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
가. 본질적으로 선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선한 의지뿐이라고 하였다.
나. 어떤 행위의 도덕적 가치는 행위가 행해진 동기에 의해 결정된다.
다. 도덕 규칙들은 언제나 정언명령의 형식을 취한다.
라. 완전한 의무는 언제나 불완전한 의무보다 선행한다.
1) 가, 나, 다
2) 가, 다
3) 나, 라
4) 라 5) 가, 나, 다, 라
정답: 5)
해설: 칸트는 도덕규칙들은 항상 정언명령의 형식을 취한다고 하였고 완전한 의무나 언제나 불완전한 의무보다 선행한다고 하였다.
♣ 다음 중 로스의 의무론에서 제시한 조건부 의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신의와 보상의 의무
나. 보은과 정의의 의무
다. 선행과 악행금지의 의무
라. 자기계발의 의무
1) 가, 나, 다
2) 가, 다
3) 나, 라
4) 라 5) 가, 나, 다, 라
정답: 5)
해설: 조건부 의무는 다른 조건이 같을 경우 의무가 되는 어떤 것으로 다른 도덕적 고려사항이 개입되지 않는 한 실제적 의무가 되는 어떤 것이다. 로스는 이상의 의무를 모두 조건부 의무라 하였다.
3. 공리주의와 의무론을 비교 설명할 수 있다.
공리주의
의무론
특징
ㆍ다수의 행복을 위해서 소수가 희생 되어도 좋다는 논리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ㆍ결과적으로 나타난 선의 유무가 윤 리 행동의 척도
ㆍ어떤 것도 그 자체로서 옳거나 그르 지 않음
ㆍ최선의 결과를 가져올 것인가 하는 문제에 관심이 많음
ㆍ신축성 있는 도덕 규칙 적용
ㆍ효용의 원리 + 결과주의 원리
ㆍ책임에서 유래
ㆍ통상적인 도덕 규칙에 의거하여 문 제를 다룸
ㆍ지켜야 할 절대 가치 전제
ㆍ결과보다 취해진 행동의 형태의 본 질 중시
ㆍ인간을 대할 때 목적으로 대함
장점
ㆍ행해여 할 올바른 일을 결정할 때 분명한 절차를 제시
ㆍ옳은 행위의 수행이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결과를 가져옴
ㆍ도덕적 갈등이나 딜레마에 대한 합 리적 방향을 제시
ㆍ윤리적 상황에 대한 신축성을 활용, 결과의 예외를 인정
ㆍ행위의 일반원칙을 제시하여 상황에 좌우되지 않음
ㆍ인간의 과거 행위를 고려하여 특정 한 의무를 지움
단점
ㆍ다수의 행복을 위해 소수의 고통 받 는 사람이 희생되어도 좋다.
→ 개인의 인권이 무시될 가능성
ㆍ경우에 따라 개인의 권리가 무시될 수 있음
ㆍ도덕적 의무보다 효용이 중시
ㆍ행위의 도덕성 평가의 유일한 요인 이 ‘결과’
→ 일상적, 도덕적 가치가 무시될 가능성
ㆍ도덕규칙간의 상충이 있을 때 문제 해결이 어려움
♣ 다음은 공리주의의 장점에 대한 설명이다. 제외되는 것은?
1) 행해야 할 올바른 일을 결정할
추천자료
안락사에 관한 연구
보조생식술에대해
생명문화-낙태
[기독교와 현대사회]안락사에 대한 생명윤리적 접근
낙태에 대해서 찬성과 반대의 입장을 서술하시오.
미국의 낙태
낙태 찬반론
[안락사]안락사의 어원, 안락사의 정의, 안락사의 역사, 안락사의 종류, 안락사의 요건, 국내...
4개월 3주 그리고 2일 + 생명윤리에 대한 고찰
인간복제의 가능성, 사회적 일대 혼란, 생명의 가치전도, 생명복제의 끝, 특징, 현황, 관리, ...
모성간호학 교과서 정리
사회복지의 분야 중 의료 분야에서 사회복지는 무엇인가 정의 의료사회사업론
낙태와 안락사 (낙태 일반적 개념, 낙태 개념, 낙태 역사, 낙태 배경, 낙태에 관한 규정, 낙...
(A+ 레포트,시험대비) [사회복지와 윤리] 안락사와 존엄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