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자살이 자살을 부르는 사회
ⅱ. 연예인 자살은 모방자살을 부른다.
ⅲ. 최진실의 자살이 주는 의미
ⅳ. 악플문화의 심각성
ⅴ. 최진실 죽음과 그에 따른 우리의 대책
ⅱ. 연예인 자살은 모방자살을 부른다.
ⅲ. 최진실의 자살이 주는 의미
ⅳ. 악플문화의 심각성
ⅴ. 최진실 죽음과 그에 따른 우리의 대책
본문내용
인을 알수 없는 것은 명백한 것이다. 그러나 그 원인을 추정해본다면 몇가지로 추정은 가능할 것이다. 먼저 그가 연계된 사채설과의 연계성이다. 진실은 알 수 없지만 일정부분 안재환이라는 연예인의 자살과 일정한 연계관계가 있어 양심적 가책을 갖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원인은 그녀를 잘 알고 있는 지인들에 의하여 아니란 것이 좀더 신빙성이 있을 것이다. 또하나는 그녀의 유명야구선수와 결혼후 이혼한 것이 하나의 심리적 고통을 수반하였고 그러한 어려움이 지속적으로 심리적 좌절을 주다가 일정한 시점에 스스로를 속박하고 결국은 자살에 이르게 된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이러한 가능성은 일정한 그녀의 죽음에 많은 상당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우리 주위에는 유명한 연예인이 아니더라도 이러한 유사한 사례는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녀의 죽음을 결정적으로 규정짓는 그러한 원인은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그녀가 이혼을 한 이후에도 열심히 국민적 배우로써 또는 두 아이의 엄마로서 훌륭히 임무를 다한 것을 우리 모두는 안다. 결국 이러한 이유도 결정적인 자살에 이르게 된 주요한 원인은 아니라는 결론을 내리기에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그녀가 사채설의 잘못된 기사를 접하면서 혼란스러웠던 당시의 심경이나 상황을 보면 그녀 스스로의 가치관이나 인생을 살아가는 도덕관 그리고 인생관에 맞지 않는 잘못된 또는 과장된 루머들이 그녀로 하여금 참을 수 없는 존재감을 느끼게 했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녀가 자살을 하기전 몇 분 간의 대화를 고려하면 이러한 괴리감 사회가 또는 다수의 국민이 느끼는 물론 잘못된 왜곡 루머로 인하여 퍼진 자신에 대한 잘못된 시각들이 참을 수 없는 자신의 존재감의 상실을 불러왔을 가능성이 많으며 실로 자신이 책임져야 할 어린 두 자녀를 두고서도 이를 스스로 극복하기가 어려웠을 것으로 여겨진다. 결국 몇 가지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 자신 스스로에 대한 이길 수 없는 자존심의 상실감이 스스로에 대한 자살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극단적 상황을 맞이했을 것이다. 이러한 자존심의 상실이나 자괴감은 최진실이라는 배우를 떠나 우리 모두에게 언제나 올 수 있는 그러한 상황이다. 그리고 이러한 좌절감을 겪는 것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우리사회가 모든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지우고 있는 또 하나의 죽음에 이르는 공식이나 틀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종의 인간에 대한 생명에 대한 존중보다는 물질과 형식 허례와 허식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