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법제면(法制面)에서 본 기본원리(基本原理)
2. 운영면(運營面)에서 본 기본원리(基本原理)
3. 원리에 대한 비판
2. 운영면(運營面)에서 본 기본원리(基本原理)
3. 원리에 대한 비판
본문내용
서 규범적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
둘째, 이들 원리의 성격과 타당성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어떤 학자들은 모든 경우에 보편적으로 타당한 과학적 법칙과 동등하다고 하는가 하면, 어떤 학자들은 모든 경우가 아닌 어떤 경우에만 실무자를 도와주는 단순한 법칙으로 간주한다.
셋째, 다양한 원리간의 상호 모순을 비판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민주성과 능률성의 원리간에, 안정성과 적응성의 원리간에 모순이 있고, 통솔의 범위와 계층구조의 원리간에도 모순이 개재된다.
넷째, 원리가 너무 일반적이어서 구체적 상황에 지침이 되기에는 별로 쓸모가 없다. 예컨대 전문화의 원리는 어느 조건에서, 또는 어느 정도 전문화해야 할지를 지시해 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문화의 증가에서 얻는 이익과 그 때문에 증대된 조정의 필요에서 나타나는 비용과의 균형을 취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다섯째, 일반적으로 원리들이 지식의 체계라는 인상을 주기보다는 조직에 대한 지식의 증대에는 별로 기여하지 못하는 원리의 모자이크라는 인상을 준다.
이상과 같은 비판에도 불구하고 교육행정은 당위성과 규범, 준거에 의거하여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교육행정의 원리는 중요시되어야 한다.
◎ 참 고 문 헌 ◎
▷ 교육행정(敎育行政)의 이론(理論)과 실제(實際) - 김종철(金鍾喆)외
▷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 남정걸
▷ 교육학 - 원종철
▷ 교육학 - 구평회
▷ http://www.chuljin.pe.kr - 김철진 교육학
▷ http://learning.snu.ac.kr/cl01/c04/r401_04index.html
- 서울대 교육학과 (교육행정)
둘째, 이들 원리의 성격과 타당성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어떤 학자들은 모든 경우에 보편적으로 타당한 과학적 법칙과 동등하다고 하는가 하면, 어떤 학자들은 모든 경우가 아닌 어떤 경우에만 실무자를 도와주는 단순한 법칙으로 간주한다.
셋째, 다양한 원리간의 상호 모순을 비판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민주성과 능률성의 원리간에, 안정성과 적응성의 원리간에 모순이 있고, 통솔의 범위와 계층구조의 원리간에도 모순이 개재된다.
넷째, 원리가 너무 일반적이어서 구체적 상황에 지침이 되기에는 별로 쓸모가 없다. 예컨대 전문화의 원리는 어느 조건에서, 또는 어느 정도 전문화해야 할지를 지시해 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문화의 증가에서 얻는 이익과 그 때문에 증대된 조정의 필요에서 나타나는 비용과의 균형을 취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다섯째, 일반적으로 원리들이 지식의 체계라는 인상을 주기보다는 조직에 대한 지식의 증대에는 별로 기여하지 못하는 원리의 모자이크라는 인상을 준다.
이상과 같은 비판에도 불구하고 교육행정은 당위성과 규범, 준거에 의거하여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교육행정의 원리는 중요시되어야 한다.
◎ 참 고 문 헌 ◎
▷ 교육행정(敎育行政)의 이론(理論)과 실제(實際) - 김종철(金鍾喆)외
▷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 남정걸
▷ 교육학 - 원종철
▷ 교육학 - 구평회
▷ http://www.chuljin.pe.kr - 김철진 교육학
▷ http://learning.snu.ac.kr/cl01/c04/r401_04index.html
- 서울대 교육학과 (교육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