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트레온 : 영화관 건축의 새로운 패러다임
2. 추상성과 예술성을 앞세운 아트레온
3. Open&Close에서 독보적인 ‘빛’의 역할
3.1. 1층 - 열린 놀이마당
3.2. 2층 매점 및 휴식 공간
3.2.1. 태양광을 전반 조명으로 활용한 주간
3.2.2. 기능적 공간으로써 충분한 광원을 확보한 야간
3.3. 상영관 주변(3층~11층)
3.3.1. 주간에 공간의 크기와 자연채광의 적절한 연관성
3.3.2. 야간 조명 환경
3.4 그 밖의 공간
3.4.1. 화장실
3.4.2. 비상구 계단
3.4.3. 1층 다른 입구
4. 전면유리로 사용된 로이 복층 유리
4.1. 로이 복층 유리
4.2. 로이 유리의 개념
4.3. 로이 유리의 적용
5. 자연 채광의 적절한 활용의 필요성 및 결론
6. 참고문헌
2. 추상성과 예술성을 앞세운 아트레온
3. Open&Close에서 독보적인 ‘빛’의 역할
3.1. 1층 - 열린 놀이마당
3.2. 2층 매점 및 휴식 공간
3.2.1. 태양광을 전반 조명으로 활용한 주간
3.2.2. 기능적 공간으로써 충분한 광원을 확보한 야간
3.3. 상영관 주변(3층~11층)
3.3.1. 주간에 공간의 크기와 자연채광의 적절한 연관성
3.3.2. 야간 조명 환경
3.4 그 밖의 공간
3.4.1. 화장실
3.4.2. 비상구 계단
3.4.3. 1층 다른 입구
4. 전면유리로 사용된 로이 복층 유리
4.1. 로이 복층 유리
4.2. 로이 유리의 개념
4.3. 로이 유리의 적용
5. 자연 채광의 적절한 활용의 필요성 및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난방기구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내부로 반사
3) 사계절용
계절에 상관없이 실내의 우수한 단열성능 발휘
4.4. 로이 유리의 장점
① 에너지 절약
② 우수한 단열성능 효과
③ 소음 차단효과 우수
④ 유리면에 발생하는 결로 저감
⑤ 다양한 색상 가능
5. 자연 채광의 적절한 활용의 필요성 및 결론
그림 5.1 : 인공 조명을 사용하지 않아도 밝은 주간
아트레온은 로이 복층 유리로 된 전면 커튼월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많은 양의 태양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로로 길고 세로 로 짧은 건물이라 공간이 다른 건물에 비해 협소한 편이므로 주간에는
태양광만으로도 생활이 가능하기 때문에
창에서 비교적 떨어져 있는 공간도 인공
조명을 켜 놓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조명 시스템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아래 사진들을 보면 환한 주간에도 인공 조명이 켜져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상영관 층의 화장실의 경우 전면 유리 맞은 편에 위치해 있어, 태양광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천장 조명등은 주간에 꺼 놓는 것이 에너지 절약상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비상구 계단에 있는 고층의 조명등도 주간에 켜 놓아봤자 빛을 내는데 큰 기여를 해주지 못한다. 따라서 이 조명도 주간에는 꺼 놓는 것이 좋다. 그러나 저층의 경우는 주간에도 어둡기 때 그림 5.2 문에 조명등을 켜 놓 밝은 공간을 확보해야한다. 이렇듯 공간에 따라 인공 조명이 주간에 필요한 경우도 있고 필요 없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자연 채광량에 매우 의존적인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아트레온은 빛 감지 센서를 통해 현명하게 전원을 조절하는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는 비상구 계단의 경우는 많은 사람들이 그림 5.3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계단을 통해 이동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으므로 재실 감 지센서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공간에 따른 유연한 조명 시스템이 요구된다.
전면 유리로 인해 그리고 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해 유리 주변에서 이동할 수밖에 없는 아트레온은 이동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했다. 또한 아무리 로이 복층 유리로 온도의 변동 폭을 줄일 수 있다고는 하지만 실제로 11월 3일 낮12시쯤 직접 방문해 보았을 때 직사일광으로 인해 초겨울임에도 불구하고 온도가 높아 덥기까지 했다. 겨울에는 온도가 높아 따뜻함을 느낄 수 있으나, 이는 여름에 온실 효과로 인해 높은 온도로 관객에게 불쾌함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빛을 어느정도 차단하기 위해서는 블라인드나 반투명 창, 수평, 수직 차양을 그림 5.4
이용할 수 있다. 첫째, 블라인드의 경우는 건물 정면이 전면 유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층에 블라인드를 설치하기엔 너무 많은 비용이 든다. 그러나 상영관 층이 아닌 13층,14층 사무실의 경우는 직사일광이 사무생활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므로 곳곳에 설치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그림 5.4] 둘째, 반투명 창의 경우는 곳곳에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모든 면을 반투명 창을 적용시키면 그 의도가 깨질 염려가 있다. 셋째, 수직차양이나 수직 루버 또한 마찬가지로 설치하게 되면 정면에서 전면 유리의 미화성이 떨어지므로 피해야 하고, 마지막으로 가장 그럴 듯한 대안책은 수평 차양으로, 정면에서 전면 유리의 모습을 왜곡시키지 않는 한도 내에서 직사 일광을 차단할 수 있다.
아트레온은 빛 환경에 앞서 대학가의 Open&Close라는 건축 설계 컨셉을 우위에 두고 지은 추상적인 메시지를 담은 건물이다. 하지만 전면 유리를 통해 담고자 했던 도시의 모습은 빛을 통해 형상화되므로 이 건물에서 빛의 역할은 매우 크다. 그러므로 아트레온은 적절한 빛 환경 개선 및 보완을 통해 빛 환경 에너지 건축의 관점에서 건물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상징적인 건물과 함께 친환경적인 건축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6. 참고문헌
SUN, WIND & LIGHT / G.Z. Brown and Mark DeKay / WILEY
Energy and Environment in Architecture/Nick Baker and Koen Steemers/E&FN SPON
건축 환경 계획 / 송승영
근 현대 한국 영화 극장의 공간 변화에 대한 연구 / 최윤실, 남경숙 / AURIC
초고층 건축의 자연 채광과 인공 조명 / 송규동 / AURIC
http://mementohora.tistory.com/tag/%EB%B9%9B%EA%B3%BC%20%EC%A1%B0%EB%AA%85%EC%97%90%EB%8C%80%ED%95%9C%20%EC%A0%95%EB%A6%AC
한국조명기술연구소
http://www.kilt.re.kr/board.do?cmd=listarticle&bi_serialNo=8&perPage=15
http://blog.naver.com/ikechi2002?Redirect=Log&logNo=100021746217
http://kin.naver.com/knowhow/entry.php?d1id=10&dir_id=10&eid=+4gIPXX9jlLxKqqWMW4nNS0CBhsQjfNL&qb=t87AzLq5w/7Ar7iu&pid=fesh1doi5T0ssZ/XmlKsss--481657&sid=SRAY1TUPEEkAAE-uYvM
전자 잡지 모아진 http://olv.moazine.com/rviewer/index.asp
http://blog.naver.com/gagi079?Redirect=Log&logNo=80004786616
http://blog.naver.com/k915j?Redirect=Log&logNo=10033526566
http://blog.naver.com/designmaeg?Redirect=Log&logNo=150013295468
http://blog.naver.com/allthatmovie?Redirect=Log&logNo=60003460977
http://blog.naver.com/hotawa?Redirect=Log&logNo=60015773074
3) 사계절용
계절에 상관없이 실내의 우수한 단열성능 발휘
4.4. 로이 유리의 장점
① 에너지 절약
② 우수한 단열성능 효과
③ 소음 차단효과 우수
④ 유리면에 발생하는 결로 저감
⑤ 다양한 색상 가능
5. 자연 채광의 적절한 활용의 필요성 및 결론
그림 5.1 : 인공 조명을 사용하지 않아도 밝은 주간
아트레온은 로이 복층 유리로 된 전면 커튼월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많은 양의 태양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로로 길고 세로 로 짧은 건물이라 공간이 다른 건물에 비해 협소한 편이므로 주간에는
태양광만으로도 생활이 가능하기 때문에
창에서 비교적 떨어져 있는 공간도 인공
조명을 켜 놓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조명 시스템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아래 사진들을 보면 환한 주간에도 인공 조명이 켜져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상영관 층의 화장실의 경우 전면 유리 맞은 편에 위치해 있어, 태양광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천장 조명등은 주간에 꺼 놓는 것이 에너지 절약상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비상구 계단에 있는 고층의 조명등도 주간에 켜 놓아봤자 빛을 내는데 큰 기여를 해주지 못한다. 따라서 이 조명도 주간에는 꺼 놓는 것이 좋다. 그러나 저층의 경우는 주간에도 어둡기 때 그림 5.2 문에 조명등을 켜 놓 밝은 공간을 확보해야한다. 이렇듯 공간에 따라 인공 조명이 주간에 필요한 경우도 있고 필요 없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자연 채광량에 매우 의존적인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아트레온은 빛 감지 센서를 통해 현명하게 전원을 조절하는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는 비상구 계단의 경우는 많은 사람들이 그림 5.3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계단을 통해 이동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으므로 재실 감 지센서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공간에 따른 유연한 조명 시스템이 요구된다.
전면 유리로 인해 그리고 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해 유리 주변에서 이동할 수밖에 없는 아트레온은 이동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했다. 또한 아무리 로이 복층 유리로 온도의 변동 폭을 줄일 수 있다고는 하지만 실제로 11월 3일 낮12시쯤 직접 방문해 보았을 때 직사일광으로 인해 초겨울임에도 불구하고 온도가 높아 덥기까지 했다. 겨울에는 온도가 높아 따뜻함을 느낄 수 있으나, 이는 여름에 온실 효과로 인해 높은 온도로 관객에게 불쾌함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빛을 어느정도 차단하기 위해서는 블라인드나 반투명 창, 수평, 수직 차양을 그림 5.4
이용할 수 있다. 첫째, 블라인드의 경우는 건물 정면이 전면 유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층에 블라인드를 설치하기엔 너무 많은 비용이 든다. 그러나 상영관 층이 아닌 13층,14층 사무실의 경우는 직사일광이 사무생활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므로 곳곳에 설치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그림 5.4] 둘째, 반투명 창의 경우는 곳곳에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모든 면을 반투명 창을 적용시키면 그 의도가 깨질 염려가 있다. 셋째, 수직차양이나 수직 루버 또한 마찬가지로 설치하게 되면 정면에서 전면 유리의 미화성이 떨어지므로 피해야 하고, 마지막으로 가장 그럴 듯한 대안책은 수평 차양으로, 정면에서 전면 유리의 모습을 왜곡시키지 않는 한도 내에서 직사 일광을 차단할 수 있다.
아트레온은 빛 환경에 앞서 대학가의 Open&Close라는 건축 설계 컨셉을 우위에 두고 지은 추상적인 메시지를 담은 건물이다. 하지만 전면 유리를 통해 담고자 했던 도시의 모습은 빛을 통해 형상화되므로 이 건물에서 빛의 역할은 매우 크다. 그러므로 아트레온은 적절한 빛 환경 개선 및 보완을 통해 빛 환경 에너지 건축의 관점에서 건물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상징적인 건물과 함께 친환경적인 건축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6. 참고문헌
SUN, WIND & LIGHT / G.Z. Brown and Mark DeKay / WILEY
Energy and Environment in Architecture/Nick Baker and Koen Steemers/E&FN SPON
건축 환경 계획 / 송승영
근 현대 한국 영화 극장의 공간 변화에 대한 연구 / 최윤실, 남경숙 / AURIC
초고층 건축의 자연 채광과 인공 조명 / 송규동 / AURIC
http://mementohora.tistory.com/tag/%EB%B9%9B%EA%B3%BC%20%EC%A1%B0%EB%AA%85%EC%97%90%EB%8C%80%ED%95%9C%20%EC%A0%95%EB%A6%AC
한국조명기술연구소
http://www.kilt.re.kr/board.do?cmd=listarticle&bi_serialNo=8&perPage=15
http://blog.naver.com/ikechi2002?Redirect=Log&logNo=100021746217
http://kin.naver.com/knowhow/entry.php?d1id=10&dir_id=10&eid=+4gIPXX9jlLxKqqWMW4nNS0CBhsQjfNL&qb=t87AzLq5w/7Ar7iu&pid=fesh1doi5T0ssZ/XmlKsss--481657&sid=SRAY1TUPEEkAAE-uYvM
전자 잡지 모아진 http://olv.moazine.com/rviewer/index.asp
http://blog.naver.com/gagi079?Redirect=Log&logNo=80004786616
http://blog.naver.com/k915j?Redirect=Log&logNo=10033526566
http://blog.naver.com/designmaeg?Redirect=Log&logNo=150013295468
http://blog.naver.com/allthatmovie?Redirect=Log&logNo=60003460977
http://blog.naver.com/hotawa?Redirect=Log&logNo=60015773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