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현 작가의 언어 - 문체적 특징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수현 작가의 언어 - 문체적 특징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1) 김수현의 드라마
(2) 드라마 작가 김수현

2. 본론
(1) 가족이라는 소우주
(2) 촌철살인의 대사
(3) 리얼리티

3. 맺으며

*참고자료

본문내용

럼. (현관 나가며 따라 나오는 금숙에게)마당에 불 켰니?
금숙-(따라 나가며)네
3. 맺으며
이렇듯 김수현의 드라마는 대단한 대본이기도 하고 실제 기록도 대단하기도 했지만, 그런 만큼 강한 비판점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 비판점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앞 서 말했듯이 가부장적인 요소에 의한 ‘부모 세대를 위한 가족 판타지’라는 점이다.
그 점에 비추어서 말하자면 [부모님 전상서]는 그 가족 판타지의 완성 본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실에서는 좀처럼 발견하기 힘든 젊은이 모습은 드라마에서 아주 일반적인 모습으로 등장한다. 대가족이 한옥집에 모두 모여살고, 자식들은 저마다 부모님을 모시겠다고 하며, 며느리들 또한 시부모 봉양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막내딸은 예쁘고 착하며 애교만점 처녀로 자라나준다. 이는 모든 부모가 바라는 이상적인 가족 내지는 자녀의 모습이며 그 자녀들을 둘러싼 주변인들마저 도덕 교과서에서 방금 튀어나온 것 마냥 착하고 성실한 사람들이다.
물론 이러한 사람들이 드라마에 나온 다는 것이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다른 사람에게 폐 끼치는 일 없이 반듯하게 살아가는 인물들을 보고 있으면 심리적으로 안정이 되고 이는 보는 이로 하여금 도덕적인 가치에 대해 높은 기대감을 마련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김수현이 만들어 내는 치밀한 세계 안에서 그려지는 이상적인 가족상은 한국의 현실에 비추어서 볼 때 너무나 자연스럽게 긍정적으로 그려지고 자식 세대로 이어지는 부모 세대의 가치관은 한편 보는 이들로 하여금 감정이입을 힘들게 하며, 특히 아무리 학력이 높고 능력이 있는 여자였다 하더라도 일단 집안의 며느리가 되면 자연스럽게 대가족의 주부의 위치로 수렴되는 것 또한 시청자들이 반발심을 일으키게 하기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족 판타지’ 특징 외에도 특징이라고도 할 수 있는 비판점은 등장인물 모두 비유의 달인이고 말투나 표현이 끊어지는 설명조라는 것, 속 깊은 캐릭터와 철 없는 캐릭터가 대조를 이룬다는 것 등이다.
특히 딱 떨어지는 말투와 확실히 튀는 표현은 너무 쏘아붙이기 때문에 시청자 입장에서나 배우의 입장에서 부담으로 작용해 감정이입에 애를 먹을 수 있다. 더구나 등장인물들, 특히 여자들은 각각 자신의 가치관과 인생관을 거침없이 절대적인 것인 양 내쏟아 낸다.
세밀하게 만들어진 배경에 논리적인 공격성을 띤 인물들이 살아 숨쉬는 김수현의 세계는 분명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는 매력을 가졌고, 작가의 남다른 주제의식과 한국 드라마 부분에 기여한 바는 실로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가족의 압박’, ‘준비된 대사들의 압박’, 그리고 치밀하게 짜여진 ‘배경의 압박’은 김수현 드라마의 세계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한편의 시청자들에게는 영영 김수현표 드라마는 불편하고 갑갑한 드라마로 남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참고자료
김수현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대본 참고.
*목차
1. 들어가며
(1) 김수현의 드라마
(2) 드라마 작가 김수현
2. 본론
(1) 가족이라는 소우주
(2) 촌철살인의 대사
(3) 리얼리티
3. 맺으며
*참고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1.08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03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