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정의와특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랜차이즈정의와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프랜차이즈 정의와 특징
1. 프랜차이즈의 정의
2. 프랜차이즈 특징
3. 프랜차이징 모델의 분류

Ⅱ 패스트푸드의 정의와 특징
1. 패스트푸드의 정의
2. 패스트푸드의 발전배경
3. 패스트푸드의 특징

Ⅲ 우리나라 패스트푸드 산업의 역사와 현황
1. 우리나라 패스트푸드 의 역사
2. 국내햄버거 패스트푸드 시장현황
3. 국내 패스트푸드 프렌차이즈 사업의 발전방안
4. 국내 패스트푸드 프렌차이즈의 발전방안

Ⅳ 버거킹의 역사와 마케팅 전략
1. 버거킹의 역사
2. 버거킹의 차별화 마케팅전략
3. 타 패스트푸드점의 마케팅전략
4. 타 패스트푸드의 마케팅전략과의 비교

Ⅴ 버거킹의 마케팅전략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
1. 고객의 패스트 푸드점에 대해 바라는 사항

<<버거킹의 문제점 분석과 향후 대응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비자를 향해 같은 제품을 무단하게 매출한다면 일종의 영업권 침해가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자사의 공급조직을 통해 친절감, 신속한 서비스, 그리고 브랜드 로열티 등의 소프트웨어를 구성해야만 비로소 가치를 지닌 상품이 된다는 것이다.
둘째, 생산면의 혁신이 센트랄 키친의 도입이라 하면, 판매면의 혁신은 매뉴얼화라고 할 수 있다.
종래의 음식점은 접객 서비스를 하는 종사원의 숙련도, 그날의 기분 또는 인간 한계에 따라 크게 좌우되었다. 그리고 이용객측의 움직임에 따라 서비스의 질이 변하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부터 서비스의 수준을 향상하는 유일한 방벙인 표준화 된 서비스가 필요함에 따라 접객부문에서는 제조업의 이론을 도입하여 이른바 서비스의 매뉴얼화를 기하게 되는 것이다.
서비스의 매뉴얼이란 접객 종사원의 동작이나 언어에 이르기까지 명문화균일화시킨 것으로써 종사자의 자유기술과 기분에 따르는 동작, 창의적 행동을 일체 배제한 기술로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일정한 서비스 수준을 확보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 수준은 파트 타임이나 아르바이트 등 미숙련 종업원을 고용해도 같은 수준의 서비스를 확보할 수 있다.
3. 프랜차이징 모델의 분류
프랜차이징 모델의 유형은 마스터 프랜차이징 모델(Master Franchising Model), 서브 프랜차이징 모델(Sub-Franchising Model), 지역개발 모델(Area Development Model)로 분류되며, 그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마스터 프랜차이징 모델 (Master Franchising Model)
마스터 프랜차이징은 프랜차이지가 여러 개의 특수한 지리적 사업범위를 확대하며, 재무적 수단이나 직원이 많지 않은 상태에서 원하는 대로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마스터 프랜차이지의 후원을 제공받는다. 마스터 프랜차이지는 그의 지리적 사업 범위 내에서 새로운 프랜차이지를 발굴해야 할 뿐만 아니라, 프랜차이저에 의해 직원 프랜차이저를 발굴해야 하고, 프랜차이저에 의해 직접적이며, 정규적으로 마련되어진 최초의 교육훈련과 후원을 제공받아야 한다. 그리하여 한번 맺게 되면 프랜차이지는 프랜차이저에 의해 직접적간접적전반적으로 계속 공급을 받는다.
마스터 프랜차이지는 미래의 로열티 요금이나 광고비 요금을 계약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제공을 받으며, 프랜차이지는 그가 직접 프랜차이저에게 지불한 로열티 요금과 광고요금의 퍼센티지에 의한 프랜차이징과 연계된 정규직 이익을 계속적으로 받는다.
프랜차이저와 마스터 프랜차이지 사이의 계약은 각자의 요구되는 바와 마스터 프랜차이지가 대면해야만 하는 일정한 목적들 안에서 특별한 기간을 설정해야 하는 것 등을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
프랜차이저의 독점적인 지역시장을 위해 지불된 전후의 요금의 대가로 마스터 프랜차이즈는 프랜차이저로부터 프랜차이징에 의해 얻은 프랜차이지의 달성액(대개 총판매액을 의미)에 엄격한 근거를 둔 로열티 지불의 미래 흐름을 받는다. 마스터 프랜차이지는 사적인 이익을 도모하기 위해 사업의 시작에서부터 선택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연대관계의 공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 모델은 모든 주체에 성공적일 것이다.
<그림1-1> 마스터 프랜차이징 모델
프랜차이저(Franchisor)
마스터 프랜차이지
(Master Franchisee)
프랜차이지
(Franchisee)
프랜차이지
(Franchisee)
자료:The International Franchise Association(IFA), Franchise Opportunities Guide, Edition, 1995.
2). 서브 프랜차이지 모델 (Sub-Franchising Model)
서브 프랜차이징에 있어서는 서브 프랜차이지 역시 특정영역을 개발하며, 프랜차이지가 계약한 바탕위에 교육훈련의 시작과 점포입지 설정등을 공급한다. 마스터 프랜차이징 모델과 다른 점은 지속적인 관계위에 프랜차이지가 서브 프랜차이지와 직접적으로 거래를 한다는 점과 프랜차이저와의 직접적인 관계는 극히 제한되어 있다는 점이다. 프랜차이지는 프랜차이저에게 일정한 몫을 제공하는 서브 프랜차이지에게 의지한다. 서브 프랜차이지가 필요한 자본이 부족하고, 프랜차이저의 경영관리나 마케팅 기술이 수시로 필요할 때 프랜차이지는 곤란을 겪게 될 것이다.
<그림1-2> 서브 프랜차이징 모델
프랜차이저(Franchisor)
서브-프랜차이지
(Sub-Franchisee)
프랜차이지
(Franchisee)
프랜차이지
(Franchisee)
자료:The International Franchise Association(IFA), Franchise Opportunities Guide, Edition, 1995.
3). 지역개발 모델 (Area Development Model)
프랜차이저는 특정한 지역 범위 내에서 투자가들의 집단에게 독점적인 개발권리를 허가한다. 투자가들은 그들의 사업영역 안에서 조합개발을 위한 프랜차이지를 찾거나 그들 자신이 직접적으로 그들의 사업영역 안에서 개인적인 프랜차이지 조합을 개발하기도 한다. 후자의 경우, 지역 개발자(area developer)는 잉여 소유권 입장을 갖는다. 독점적인 사업영역을 개발하기 위한 권리에 대한 보상으로 지역 개발자는 프랜차이저에게 명시된 계약기간 내에 일정한 수의 조합개발이 요구되어 진다. 한번 계약이 성립되며 개인적인 프랜차이지는 모든 로열티와 광고비를 프랜차이저에게 지불한다. 지역 개발자의 몫은 프랜차이즈 비용이나 로열티와 광고비가 아니라 그가 설립한 개인 프랜차이지의 영업수익을 할당할 뿐이다.
<그림1-3> 지역개발 모델
프랜차이저(Franchisor)
지역개발자
(Area Developer)
프랜차이지
(Franchisee)
프랜차이지
(Franchisee)
자료:The International Franchise Association(IFA), Franchise Opportunities Guide, Edition, 1995.
II. 패스트푸드의 정의와 특징
1. 패스트푸드의 정의
패스트푸드(Fast-food)란 미국에서 발생한 편의 식품(Convenience food)이 식품 산업기술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8.11.14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19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